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49가지 결정

49가지 결정

(한국 경제의 운명을 바꾼 역사적 선택)

최성락 (지은이)
페이퍼로드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6,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760원 -10% 580원 10,000원 >

책 이미지

49가지 결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49가지 결정 (한국 경제의 운명을 바꾼 역사적 선택)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정책/비평
· ISBN : 9791190475303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0-10-23

책 소개

전작『말하지 않는 한국사』와 『말하지 않는 세계사』에서 역사의 뒤안길을 뒤져 맛깔난 에피소드들을 뽑아내고, 『규제의 역설』에서 세계의 온갖 규제를 시시콜콜 흥미진진하게 전해주었던 최성락 교수가 드디어 자기 전공 영역으로 돌아왔다. 『49가지 결정』은 한국 경제사 선택의 순간 가운데 가려 뽑은 49가지 결정적 선택 이야기다.

목차

들어가는 글 8

머리말 5

제1부 일제 강점기 ~ 1950년대


1905년 경부선 철도 개통 오늘날 대한민국 도시망의 형성 17
1912년 조선 민사령 공포 만백성의 사유 재산을 인정하다 22
1945년 미곡 시장 자유화 자유 시장경제로 발돋움하다 28
1949년 농지개혁 신분 차별의 종말을 예고하다 34
1950년 상속세 법 제정 재벌 후계자에게 내려진 특명! 상속세를 줄여라 40
1953년 주한 미군의 주둔 한국의 정치·경제·문화까지 뒤바꾸다 46
1957년 삼성의 공채 제도 시행 인맥이 아닌 실력을 보고 뽑겠습니다 53

제2부 1960년대

1961년 박정희-이병철 면담 재벌의 부정 축재, 처벌이냐 투자냐 63
1961년 은행 국유화 한국 금융이 국제 사회로부터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 70
1964년 수출주도 전략 전 세계에 유례없는 한국만의 경제 전략 77
1964년 베트남 전쟁 파병 목숨 걸고 얻어낸 해외 진출의 기회 83
1965년 한일협정 이 돈의 명목보단 공장부터 짓겠다 90
1967년 GATT 가입 자유로운 무역 거래의 시작 96
1967년 제철소 입지 결정 지역 간 경제 격차가 시작되다 102

제3부 1970년대

1970년 새마을운동 우리 농촌 마을 잘 살아보세! 111
1971년 그린벨트 지정 부동산 투기 문제의 원천 118
1970년 공기업 민영화 한국 재벌 그룹의 형성 125
1972년 기업공개촉진법 한국 재벌 문제의 시작 131
1970년 중화학공업 정책 루이스 전환점을 넘어선 경제 발전 138
1973년 중동 건설 중동 인부의 땀방울로 이룬 경제 발전 144
1973년 현대 vs. 포드 협상 결렬 현대 자동차 세계로 뻗어가다 150
1975년 압구정 현대아파트 건설 강남 문화의 시작 157
1977년 부가가치세 도입 세금 부담으로 국민의 반발을 사다 164
1979년 롯데백화점 개장 소비자 중심 사회의 시작 170

제4부 1980년대

1980년 인플레를 잡다 “경제는 당신이 대통령이야” 179
1980년 택지개발촉진법 신도시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등장 185
1983년 이병철의 도쿄 선언 삼성 반도체, 세계 일류 산업이 되다 191
1983년 중국민항 불시착 한국 정부의 진심이 중국의 마음을 열다 197
1985년 대졸 여직원 공채 여직원에게 정당한 업무와 임금을! 204
1986년 3저 호황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로 흑자를 달성하다 210
1987년 민주항쟁 혁명은 아래에서부터 시작된다 216
1988년 외국인 노동자 유입 한국 경제를 온몸으로 버티는 힘 222
1988년 서울올림픽 국제사회에 한국을 알리다 228

제5부 1990년대

1991년 낙동강 페놀 사건 환경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다 237
1992년 외국인 주식 구입 허용 주식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242
1993년 프랑크푸르트 선언 삼류가 아닌, 세계 최고의 제품을 만들어라 248
1993년 대우의 세계 경영 한국 경제 세계화의 발판을 마련하다 254
1993년 금융실명제 실시 국민의 예금을 장려하고 금융범죄를 방지하자 260
1997년 IMF 외환위기 한국 경제의 가장 충격적인 사건 267
1998년 신자유주의 정책 도입 한국의 규제 패러다임을 바꾸다 274
1998년 리니지 출시 디지털 경제에 충격을 안기다 280
1999년 분양가 상한제 폐지 타워팰리스의 등장 286
1999년 대우 그룹 파산 기업 부채비율이 200%를 넘어선 안 된다 292

제6부 2000년대 이후

2003년 NPT 탈퇴 북한의 핵개발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301
2003년 소버린 사태 한국 재벌 그룹의 민낯이 드러나다 308
2004년 KTX 개통 한반도를 일일생활권으로 만들다 315
2004년 바다이야기 출시 불법 사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성행하다 321
2009년 한국의 아이폰 출시 정보통신 정책 자체를 뒤바꾸다 327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원자력 발전의 분기점에 서다 334

참고문헌 341

저자소개

최성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SR경제연구소장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양미래대학교에서 17년 동안 교수로 일하다 2021년 연구와 투자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퇴직했다. 지은 책으로는, 《월급만으로는 돈이 돈을 버는 걸 절대 이기지 못한다》 《돈은 사람의 마음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월급쟁이로 살 때는 미처 몰랐던 것들》 《부를 부르는 50억 독서법》 《나는 자기계발서를 읽고 벤츠를 샀다》 《경제학 패러독스》 《교수의 속사정》 《나는 카지노에서 투자를 배웠다》 《50억 벌어 교수직도 던진 최성락 투자법》 《회사는 학교가 아니다》 《경영학은 쉽다》 《한국이 중국을 선택한다면》 《규제의 역설》 《49가지 결정》 《규제정책론》 《한국은 자본주의 사회인가》 《대한민국 규제 백과》 《말하지 않는 한국사》 《말하지 않는 세계사》 《100년 전 영국 언론은 조선을 어떻게 봤을까》 《우리는 왜 막장드라마에 열광하는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 백성의 힘겨운 삶은 외국인의 눈에도 훤히 보였던 걸까.《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을 쓴 영국의 탐험가이자 여행가인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1894년부터 1897년까지 조선을 여행하면서 조선 백성의 삶에 대해 기록했다. 그는 조선 백성이 무기력한 이유를 양반의 수탈 때문이라고 했다. 열심히 일해서 돈을 모아봐야 관리가 모두 빼앗아갈 것이 분명하니 굳이 노력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다.
_ <1912년 조선 민사령 공포: 만백성의 사유 재산을 인정하다> 중에서


미국은 자동차 국가였다. 미군이 진주한 국가에서도 커다란 대형 트럭이 오가야 했다. 해방 이후 미군이 본격적으로 주둔하면서부터 자동차가 다닐 수 있는 도로가 생겨난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전쟁 기간에도 군수품과 병력 이동을 위해 도로를 만들었다. 이후 한반도 전역에 미군이 배치되면서, 전국의 도로망이 만들어진다. 이때부터 한국은 자동차 도로를 갖추게 되었다. 이후 한국에서 현대자동차 같은 대기업이 등장하고 관련 분야 산업이 급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도로망이 이미 존재했기 때문이 아닐까. 실제로 주한 미군은 한국의 자동차 산업에 준 영향이 적지 않다. 당시 미군은 한국에서 트럭을 비롯한 막대한 양의 자동차를 운행했다. 자동차를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정비 작업을 거쳐야 한다. 이런 자동차 정비에 한국 인력이 투입되었다. 이로써 한국은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은 많지 않았지만, 자동차에 대해서 잘 알고 정비도 잘하는 사람이 많은 국가가 되었다. 한국이 자동차 산업에 뛰어든 것은 무모한 도전이 아니었다. 이미 자동차에 대해서는 그 어느 개도국보다 훨씬 더 많이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_ <1953년 주한 미군의 주둔: 한국의 정치·경제·문화를 뒤바꾸다> 중에서


그때까지는 한국에 지금 기준으로 대기업이라 할 만한 기업이 없었다. 따라서 사장은 직원을 구할 때 친척, 친구, 고향 사람 등 주변의 추천을 받아 채용했다. (…) 지금 시각에서 보면 친족과 친구를 데리고 회사를 운영했다고 비난할 수도 있다. 그런데 그 시절에는 가까운 사람 말고는 믿고 채용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다. 전쟁 이후 사회가 혼란스럽고 사람들은 서로 신뢰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나마 믿을만한 건 기존 인맥밖에 없었다. 공채 제도는 더는 가족과 친척, 동네 사람을 채용하지 않고, 실력있는 사람을 채용하겠다는 것이었다.
_ <1957년 삼성의 공채 제도 시행: 인맥이 아닌 실력을 보고 뽑겠습니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0475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