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91190498524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09-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새로운 경제학을 찾아서
1장 왜 기존 경제학으로는 세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가?
- 대답 없는 메아리가 된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질문은 무엇이었나
- 경제학의 핵심에는 어떠한 주장들이 존재하는가
- 사람을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여기는 데서 경제학은 시작된다
- 경제적 이익이 확정된 게 아니라면 어떻게 선택할 수 있을까
- 인간은 돈이 아니라 효용의 기댓값을 최대화하는 존재다
- 두 명의 베르눌리가 숙고했던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설은 무엇일까
- 국가의 경제를 대변한다는 국내총생산은 어떻게 계산되는가
- 이익의 기댓값을 최대화하면 막상 무슨 일이 벌어지나
- 국내총생산의 증가가 국민 모두에게 좋은 일이라고 말해도 될까
2장 새로운 패러다임, 에르고드 이코노미
- 월가의 현자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가 처음으로 균열을 감지하다
- 물리학자 루트비히 볼츠만이 에르고드 개념을 세우다
- 에르고드는 에너지의 길을 뜻한다
- 경제와 에르고드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나
- 우리는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을 살 뿐 평행우주를 살지 않는다
- 돈이 불어나는 과정과 경제는 덧셈일까 곱셈일까
- 경제학의 에르고드 가정을 찾아낸 사람은 누구였을까
- 다니엘 베르눌리가 저지른 실수는 무엇이었나
- 라플라스의 신사다운 수정을 카를 멩거가 완전히 오해하다
3장 에르고드 경제학의 목적: 일차원이 아닌 다차원의 세계관
- 경제란 곧 사람의 살림이다
-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는 누구의 말이었을까
- 합리성은 단순한 계산 능력에 지나지 않으며 이성과 다르다
- 한 가지 기준으로만 행동하는 경제학 인간을 다른 말로 한다면
- 에르고드 경제학은 일차원이 아닌 다차원의 목적을 가진다
- 애덤 스미스는 사리사욕과 자신의 염려를 분명하게 구별했다
- ESG와 임팩트 투자의 등장이 놀랍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4장 에르고드 경제학의 시간: 단기적 이익이 아닌 장기적 성장의 극대화
- 19세기 크레디모빌리에와 21세기 제네럴일렉트릭의 공통점은 뭘까
- 경제학은 단기적 관점의 이익을 계산하고 챙기라고 말한다
- 에르고드 경제학은 단기적 이익이 아닌 장기적 성장을 극대화한다
- 리스크와 손실 혐오는 불합리가 아니라 장기적 생존 추구의 결과다
- 효용에 관한 코펜하겐 실험은 우리에게 무엇을 알려주나
- 에르고드의 잘못된 가정이 아닌, 진정한 확보가 장기적 성장을 이끈다
- 어떻게 삶 자체를 에르고드하게 만들 수 있을까
5장 에르고드 경제학의 지표: 소수의 부자가 아닌 모두의 성장 추구
- 효율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만든 분야는 물리학과 기계공학이다
- 경제학의 최적과 효율은 오직 일차원적인 전체에만 관심을 둔다
- 불평등한 세계의 동역학은 균형을 믿는 경제학과 어떻게 다를까
- 왜 극소수의 승자가 사실상 모든 파이를 독차지하게 되는가
- 에르고드 경제학은 소수의 부자가 아닌 모두의 성장을 추구한다
- 국내총생산과 1인당 국민소득을 대신할 국내민주생산은 무엇인가
- 옵션 이론의 기하브라운 운동은 부의 재분배에 관해 무엇을 알려주나
나오는 말: 방탄복과 국가 경제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경제학이 전제하는 일명 ‘호모 에코노미쿠스’는 오로지 자신만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이기적 인간이다. 모든 사람이 호모 에코노미쿠스처럼 행동하면 그들로 구성된 사회는 17세기 토마스 홉스가 『리바이어던』에서 말한 “만인의 만인에 대한 전쟁” 상태에 놓일 터다. 그것은 곧 ‘지상 지옥’과 다름이 없다. 경제학은 지상 지옥에 대한 대답을 갖고 있다. 18세기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딱 한 번 언급한 ‘보이지 않는 손’이다.
에르고드 경제학은 최근 영국에서 정립되고 있는 새로운 경제학이다. 기존 경제학이 암묵적으로 전제한 일명 에르고드 가정이 실제의 경제에서 성립되지 않음에 주목하면서 생겨난 분야다. 에르고드라는 개념은 19세기 물리학에서 유래되었다. 에르고드 경제학은 물리학에서 확립된 방법론에 기반하여 실제의 경제를 진정으로 에르고드하게 만드는 길을 찾으려 한다. 그래야만 모두의 생존과 장기적 성장이 가능해진다.
마침내 우연의 게임을 제대로 풀어낸 사람이 17세기에 나타났다. 경제학자는 아니었다. 경제학의 비조 스미스가 18세기 사람이니 17세기에 이 문제를 풀 경제학자는 없었다. 그 주인공은 각기 취미 이상으로 노름에 빠져 지내던 팔방미인 사상가와 수학에 진지했던 판사라는 엉뚱한 2인조였다. 바로 『팡세』로 유명한 블레즈 파스칼과 자신의 이름을 딴 일명 ‘마지막 정리’로 이름난 피에르 페르마였다. 파스칼과 페르마는 서로 편지를 주고받으며 돈내기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했다. 뭔고 하니 ‘확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