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91190583749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3-10-04
책 소개
목차
✥ 태조 1년(918년)
918년 6월 15일 / 권1 / 왕이 고려를 개국하고 즉위하다 / 75
918년 6월 16일 / 권1 / 왕이 즉위 조서를 반포하다 / 81
918년 6월 / 권1 / 왕이 누명을 쓴 청주인들을 풀어주다 / 82
918년 6월 / 권1 / 태평을 순군낭중으로 삼다 / 82
918년 6월 / 권1 / 모반을 꾀한 환선길 일당을 처형하다 / 82
918년 6월 / 권1 / 김행도 등의 인사이동을 단행하다 / 83
918년 6월 / 권1 / 박질영을 시중으로 삼다 / 84
918년 6월 / 권1 / 궁예의 측근 종간과 은부를 처형하다 / 84
918년 6월 / 권1 / 은사 박유가 알현하다 / 84
918년 6월 / 권1 / 능범에게 창고의 곡식을 조사하게 하다 / 85
918년 6월 / 권1 / 관제를 개정하다 / 85
918년 6월 / 권1 / 능윤이 상서로운 풀을 바치다 / 85
918년 6월 / 권1 / 모반을 꾀한 이흔암을 처형하다 / 86
918년 7월 / 권1 / 백성들의 조세 부담을 줄여주다 / 87
918년 7월 / 권1 / 열평을 광평시랑에 임명하다 / 87
918년 7월 / 권1 / 청주인들을 통제하다 / 87
918년 7월 / 권1 / 직예를 광평시랑에 임명하다 / 89
918년 8월 / 권1 / 견훤이 교빙하지 않음을 신하들과 논의하다 / 90
918년 8월 / 권1 / 골암성의 윤선이 내부하다 / 90
918년 8월 / 권1 / 노비가 된 양민들을 속환하다 / 91
918년 8월 / 권1 / 각종 민생안정책을 시행하다 / 91
918년 8월 / 권1 / 공신을 책봉하다 / 92
918년 8월 / 권1 / 견훤의 즉위 축하 사신을 영접하다 / 92
918년 8월 / 권1 / 훤식을 내봉경에 임명하다 / 92
918년 8월 / 권1 / 웅주 등이 배반하니 김행도를 보내 방비하다 / 93
918년 8월 / 권1 / 유문률을 광평낭중에 임명하다 / 93
918년 9월 / 권1 / 모반을 꾀한 임춘길 등을 처형하다 / 94
918년 9월 / 권1 / 배현경 등의 반대로 청주인 현률을 병부낭중에 임명하다 / 94
918년 9월 / 권1 / 구진을 나주도대행대시중에 임명하다 / 95
918년 9월 / 권1 / 상주의 아자개가 내부하다 / 95
918년 9월 / 권1 / 왕식렴 등을 보내 평양을 재건하다 / 95
918년 9월 / 권1 / 유척량을 광평시랑에 임명하다 / 96
918년 10월 / 권1 / 능률과 직예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97
918년 10월 / 권1 / 청주인 진선 등이 모반을 꾀하다가 처형되다 / 97
918년 11월 / 권1 / 팔관회를 개설하고 상례로 삼다 / 97
✥ 태조 2년(919년)
919년 1월 / 권1 / 도읍을 정하고 정비하다 / 99
919년 3월 / 권1 / 양경의 불교 시설을 개창 및 보수하다 / 99
919년 3월 / 권1 / 태조의 선대 3대에게 시호를 추증하다 / 100
919년 8월 / 권1 / 왕이 청주에 행차하여 민심을 위무하다 / 100
919년 8월 / 권1 / 예산현을 설치하고 홍유 등을 보내 정비하다 / 101
919년 9월 / 권1 / 오월국에서 추언규가 내투하다 / 101
919년 10월 / 권1 / 평양에 성을 쌓다 / 101
919년 / 권1 / 용강현에 성을 쌓다 / 101
✥ 태조 3년(920년)
920년 1월 / 권1 / 신라가 비로소 사신을 보내다 / 102
920년 1월 / 권1 / 강주의 윤웅이 귀부하니 사신을 보내 위유하다 / 102
920년 3월 / 권1 / 유금필을 파견하여 골암진을 지키게 하다 / 102
920년 9월 / 권1 / 견훤이 선물을 보내다 / 103
920년 9월 / 권1 / 함종과 안북에 성을 쌓다 / 103
920년 10월 / 권1 / 신라를 두고 견훤과 마찰을 빚기 시작하다 / 103
920년 / 권1 / 왕이 북계 지역을 순행하고 오다 / 103
✥ 태조 4년(921년)
921년 2월 / 권1 / 흑수의 고자라 등이 내투하다 / 104
921년 2월 / 권1 / 신라를 침략하는 달고적을 견권이 차단하다 / 104
921년 4월 / 권1 / 흑수의 아어간이 내투하다 / 104
921년 9월 / 권1 / 찬행을 파견하여 변방민들을 위무하다 / 104
921년 10월 / 권1 / 대흥사를 창건하고 이언을 모시다 / 105
921년 10월 / 권1 / 왕이 서경에 행차하다 / 105
921년 12월 / 권1 / 왕자 무를 정윤으로 책봉하다 / 105
921년 / 권1 / 귀부해 온 후백제인들을 포상하다 / 105
921년 / 권1 / 운남현에 성을 쌓다 / 105
✥ 태조 5년(922년)
922년 2월 / 권1 / 거란이 낙타 등을 선물하다 / 106
922년 4월 / 권1 / 개경에 일월사를 창건하다 / 106
922년 6월 / 권1 / 하지현의 원봉이 내투하다 / 106
922년 7월 / 권1 / 명주의 순식이 내투하다 / 106
922년 11월 / 권1 / 진보성의 홍술이 항복을 청하다 / 107
922년 / 권1 / 서경에 질영 등의 가족과 군현 양가 자제들을 이주시키다 / 107
922년 / 권1 / 왕이 서경에 행차하여 관료를 배치하다 / 107
922년 / 권1 / 서경에 재성을 쌓기 시작하다 / 107
922년 / 권1 / 왕이 아선성 백성들의 거주지를 정하다 / 107
✥ 태조 6년(923년)
923년 3월 / 권1 / 하지현을 순주로 승격하고 원봉을 원윤에 임명하다 / 108
923년 3월 / 권1 / 명지성의 성달 등이 내부하다 / 108
923년 4월 / 권1 / 유금필이 북번을 초유하여 큰 성과를 거두다 / 108
923년 6월 / 권1 / 오월국의 박암이 내투하다 / 108
923년 8월 / 권1 / 벽진군의 양문이 투항해 오다 / 109
923년 11월 / 권1 / 진보성의 홍술이 갑옷을 헌상하다 / 109
✥ 태조 7년(924년)
924년 7월 / 권1 / 견훤이 조물군을 공격하나 실패하다 / 110
924년 9월 / 권1 / 신라왕이 서거하고 새 왕이 즉위하다 / 110
924년 / 권1 / 외제석원 등을 창건하다 / 110
✥ 태조 8년(925년)
925년 3월 / 권1 / 발해국이 투탁해 올 징조가 나타나다 / 111
925년 3월 / 권1 / 왕이 서경에 행차하다 / 111
925년 9월 / 권1 / 매조성의 능현이 항복을 청하다 / 111
925년 10월 / 권1 / 고울부의 능문이 내투하다 / 111
925년 10월 / 권1 / 유금필을 보내 연산진과 임존군에서 승리하다 / 112
925년 10월 / 권1 / 왕이 조물군에 행차하여 견훤과 전투를 벌이다가 화친을 맺다 / 112
925년 11월 / 권1 / 탐라가 토산물을 바치다 / 112
925년 12월 / 권1 / 거란이 발해를 멸망시키자 세자 대광현 등이 내투하다 / 112
✥ 태조 9년(926년)
926년 4월 / 권1 / 볼모의 사망으로 후백제와 갈등이 고조되다 / 114
926년 12월 / 권1 / 왕이 서경에 행차하여 순찰하고 돌아오다 / 114
926년 / 권1 / 장빈을 당에 파견하다 / 115
✥ 태조 10년(927년)
927년 1월 / 권1 / 왕이 용주를 정벌하여 항복시키다 / 116
927년 1월 / 권1 / 견훤이 볼모 왕신의 시신을 보내오다 / 116
927년 3월 / 권1 / 왕이 운주성과 근품성을 함락시키다 / 116
927년 4월 / 권1 / 영창 등을 파견하여 강주 등을 공략하다 / 116
927년 4월 / 권1 / 왕이 웅주를 공격하나 실패하다 / 117
927년 7월 / 권1 / 재충 등을 파견하여 대량성을 함락시키다 / 117
927년 8월 / 권1 / 왕이 고사갈이성을 지나가자 성주 흥달이 귀부하다 / 117
927년 8월 / 권1 / 배산성을 보수하고 방어를 강화하다 / 117
927년 8월 / 권1 / 명주의 순식이 아들을 보내 숙위시키다 / 117
927년 9월 / 권1 / 견훤이 경주를 함락시키고 태조를 공산에서 패배시키다 / 117
927년 10월 / 권1 / 견훤이 벽진군 등을 공략하다 / 119
927년 11월 / 권1 / 견훤이 벽진군을 공격하여 색상을 죽이다 / 119
927년 12월 / 권1 / 견훤이 서신을 보내 위협하다 / 119
927년 / 권1 / 임언을 당에 보내다 / 120
- 이하 목차 생략 -
책속에서
서언
<고려사절요>는 고려 32대에 걸친 역대 왕들의 주요한 일들과 행적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국가의 치란흥망에 관계된 기사로서 귀감이 될 수 있는 기사, 왕이 직접 참여한 제사, 외국의 사신 관련 기사, 천재지변에 관한 기사, 왕의 수렵 활동, 관료의 임명과 파면 관련 내용, 정책에 받아들여진 상소문 등 군주에게 교훈을 주기 위한 내용들이 상세하게 기록되었다.
권수에는 김종서가 고려 역대 왕의 사적을 빠짐없이 기록하였다는 「진고려사절요전」과 4가지 기준을 정해 편찬하였다는 「고려사절요 범례」, 편찬에 참여한 김종서, 정인지, 신숙주, 박팽년, 양성지 등 28명의 기록을 담은 「수사관修史官」이 수록되었다.
1452년(문종 2년)에 김종서 등이 왕명을 받고 <고려사>를 저본으로 내용을 축약하여 5개월 만에 찬수한 편년체 역사서이다.
세종이 1449년(세종 31년) 2월에 지춘추관사 김종서에게 <고려사>를 다시 교정하여 편찬하기를 명하였다. 이에 김종서 등은 1451년(문종 1년) 8월에 139권 75책의 <고려사>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고려사>의 분량이 너무 방대하고 산만한 부분들이 많아 5개월 뒤인 1452년(문종 2년) 2월에 <고려사>를 요약하여 35권 35책의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를 간행하게 되었다.
금속활자본(초주갑인자)으로 된 1권1책(권20)이다. 이 책의 크기는 세로 34.0㎝, 가로 21.4㎝이고, 광곽匡郭의 크기는 세로 25.0㎝, 가로 16.8㎝이다. 제책은 오침안 선장본五針眼線裝本이고 제첨제와 권수제는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이다. 변란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고, 본문에는 계선이 있다. 행자수는 10행 19자이고, 주는 쌍행이며 어미의 형태는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이다.
<고려사절요>는 <고려사>보다 내용에 있어서 소략하다. 그러나 <고려사>에서 찾을 수 없는 기록도 있으며, <고려사>가 세가世家·지志·열전列傳으로 나누어 기술됨으로써 연월의 기록이 누락된 것이 많은 데 비해, 연·월순으로 기술되었으므로 사료적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특히, 정치적 사건의 추이를 이해하는 데는 <고려사>보다 월등히 좋은 자료이다.
그리고 역대 역사가들이 썼던 사론을 모두 실었으므로 사학사상을 연구하는 사학사 연구에 있어서 귀중한 사서이다. 이처럼 <고려사절요>는 <고려사>를 보완해 주는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고려사절요>의 편찬자 18인은 모두 <고려사>를 편찬한 사람들이고, 편찬 시기가 5개월의 차이밖에 없으므로, 이에 나타나는 역사관도 <고려사>의 그것과 거의 일치한다.
<고려사절요>는 <고려사>와 마찬가지로 찬자들의 사론을 써넣지 않았다. 그러나 <고려사절요>는 후대의 군주로 하여금 정치에 참조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편찬되었기 때문에, 교훈적 성격이 <고려사>에 비해 강하게 반영되었다.
즉, 고려시대 실록에 수록되었던 고려시대 사신史臣의 사론, <국사>에 실렸던 이제현의 사론, 정도전·정총 등이 <고려국사>에 써넣었던 사론 등 총 108편의 사론을 실었다. 이는 <고려사>에서 세가에만 34편을 실은 것에 비해 대단히 많은 사론을 실은 것이다.
한편, <고려사>는 수사의 주체가 군주이기 때문에 군주 중심의 경향이 강하고, <고려사절요>는 그 주체가 신료臣僚이기 때문에 신료 중심의 사서적 성격을 띤다.
1452년(문종 2년) 김종서가 편찬한 <고려사절요>는 <고려사>와 달리 편년체로 기록되었다. <고려사절요>는 <고려사>에 비해 내용이 풍부하지는 못하지만, <고려사>에 없는 사실들을 많이 수록하고 있다. 이는 편찬 당시 고려의 실록과 사초 등 관련 기록들을 널리 참고하였기 때문이다.
편년체 역사서인 <고려사절요>는 고려시대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사료이다.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내용들을 다수 수록하고 있다.
<고려사절요> 1권을 출간하면서 에디터 이남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