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91190583770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23-09-28
책 소개
목차
✥ 명종 18년(1188년)
1188년 1월 / 권13 / 금에서 하생신사가 오다 / 68
1188년 3월 / 권13 / 왕이 수령의 침탈을 막고 민생을 안무하라는 명을 내리다 / 68
1188년 5월 / 권13 / 가뭄 때문에 2죄 이하를 사면하다 / 69
1188년 5월 / 권13 / 주인 가족을 몰살한 평량과 관련자들을 처벌하다 / 69
1188년 6월 / 권13 / 이당모 등에게 급제를 하사하다 / 69
1188년 6월 / 권13 / 동주와 봉주에 홍수가 발생하다 / 69
1188년 7월 / 권13 / 정주 등이 수재를 당하고 진명은 누리·황서 피해를 입다 / 70
1188년 8월 / 권13 / 등주와 진명 등이 수재를 당하다 / 70
1188년 8월 / 권13 / 수재를 겪은 관동의 백성들을 구휼하다 / 70
1188년 10월 / 권13 / 큰 비바람이 이어지자 2죄 이하를 용서하다 / 70
1188년 10월 / 권13 / 동교에서 열병하다 / 70
1188년 10월 / 권13 / 팔관회의 전약을 위하여 농우를 손상시키는 것을 금하다 / 71
1188년 11월 / 권13 / 금에 사은사와 하정사를 보내다 / 71
1188년 11월 / 권13 / 헌대에서 근신을 줄이자고 청하였으나 따르지 않다 / 71
1188년 12월 / 권13 / 이의민의 아들 이지영이 불법을 자행하다 / 71
✥ 명종 19년(1189년)
1189년 1월 / 권13 / 서북면병마사로부터 금 세종의 부고를 듣다 / 72
1189년 1월 / 권13 / 금에서 하생신사가 오다 / 72
1189년 2월 1일 / 권13 / 일식이 일어나다 / 72
1189년 3월 / 권13 / 금에 사신을 보내어 조문하고 세종의 장례에 참석하다 / 72
1189년 3월 / 권13 / 금에서 고애사가 오다 / 72
1189년 4월 / 권13 / 금에 사신을 보내어 장종의 즉위를 하례하다 / 73
1189년 윤5월 / 권13 / 가뭄 때문에 군망에 비를 빌고 억울한 죄수를 사면하다 / 73
1189년 7월 / 권13 / 금에 사신을 보내어 천수절을 하례하고 방물을 바치다 / 73
1189년 8월 7일 / 권13 / 선경전에 벼락이 떨어지다 / 73
1189년 9월 / 권13 / 문극겸이 사망하다 / 73
1189년 11월 / 권13 / 금에서 횡선사가 오다 / 74
1189년 12월 / 권13 / 최세보 등을 임명하다 / 74
✥ 명종 20년(1190년)
1190년 1월 / 권13 / 금에서 하생신사가 오다 / 75
1190년 1월 / 권13 / 동경에서 도적이 봉기하다 / 75
1190년 2월 / 권13 / 금에서 개원을 알리는 첩문을 보내다 / 75
1190년 2월 / 권13 / 동경의 백성을 안무하고 도적을 습격하다 / 75
1190년 5월 / 권13 / 황보위 등에게 급제를 하사하다 / 75
1190년 8월 / 권13 / 경령전에 배알하다 / 76
1190년 8월 / 권13 / 한문준이 사망하다 / 76
1190년 9월 / 권13 / 수령의 현부를 가려 출척하도록 하다 / 76
1190년 9월 / 권13 / 경령전에 배알하다 / 77
1190년 9월 / 권13 / 민생을 침탈한 충주목사를 징계하다 / 77
1190년 10월 / 권13 / 백임지가 사사로운 일로 왕을 알현하다 / 77
1190년 10월 / 권13 / 백좌회를 열고 반승하다 / 78
1190년 11월 / 권13 / 금에 사은사와 하정사를 보내다 / 78
1190년 12월 / 권13 / 강순의를 남로착적사로 삼다 / 78
1190년 12월 / 권13 / 최세보 등을 임명하다 / 78
✥ 명종 21년(1191년)
1191년 1월 / 권13 / 이지명이 사망하다 / 79
1191년 1월 / 권13 / 금에서 하생신사가 오다 / 79
1191년 2월 / 권13 / 금에서 황태후의 상을 알리자 조위사·제전사를 보내다 / 80
1191년 2월 / 권13 / 백임지가 사망하다 / 80
1191년 3월 / 권13 / 박순필이 사망하다 / 80
1191년 8월 / 권13 / 서해도·청주·덕수현에 재해가 발생하다 / 80
1191년 10월 / 권13 / 이영진이 사망하다 / 81
1191년 11월 / 권13 / 임항이 사망하다 / 81
1191년 12월 / 권13 / 두경승 등을 임명하다 / 81
✥ 명종 22년(1192년)
1192년 1월 / 권13 / 금에서 하생신사가 오다 / 83
1192년 2월 / 권13 / 이혁유가 사망하다 / 83
1192년 4월 / 권13 / 『자치통감』을 교정·판각하여 시종하는 유신들에게 나누어주다 / 83
1192년 4월 / 권13 / 손희작 등에게 급제를 하사하다 / 83
1192년 5월 / 권13 / 연회에서 사치를 금하고 검약을 따르도록 하다 / 84
1192년 6월 / 권13 / 금에서 횡선사가 오다 / 84
1192년 7월 / 권13 / 금에 사신을 보내어 방물을 바치고 천수절을 하례하고 사은하다 / 84
1192년 8월 22일 / 권13 / 태백성이 하늘을 가로지르다 / 84
1192년 8월 / 권13 / 송 상인이 <태평어람>을 헌상하다 / 84
1192년 8월 / 권13 / 덕녕공주가 사망하다 / 85
1192년 9월 / 권13 / 김원의 등을 보내어 서도 기내의 밭을 측량하다 / 85
1192년 10월 / 권13 / 소군 선사를 출가시키다 / 85
1192년 10월 / 권13 / 염신약이 사망하다 / 85
✥ 명종 23년(1193년)
1193년 1월 / 권13 / 금에서 하생신사가 오다 / 86
1193년 2월 / 권13 / 두경승을 삼한후벽상공신으로 삼다 / 86
1193년 2월 / 권13 / 동남로안찰부사가 적을 토벌할 원군을 청하다 / 86
1193년 3월 / 권13 / 경상도·전라도·양광도의 굶주린 백성을 구휼하다 / 86
1193년 3월 / 권13 / 어사대에서 잡미의 사용을 금하다 / 87
1193년 3월 / 권13 / 임민비가 사망하다 / 87
1193년 4월 / 권13 / 억울한 옥사를 심리하도록 하다 / 87
1193년 5월 / 권13 / 영일현에서 마노를 헌상하다 / 87
1193년 7월 / 권13 / 금에 사신을 보내어 방물을 바치고 천수절을 하례하다 / 88
1193년 7월 / 권13 / 이지순의 반역행위로 김사미 등 남적을 토벌하지 못하다 / 88
1193년 8월 / 권13 / 이공정 등이 남적에게 패하다 / 89
1193년 9월 / 권13 / 경성의 굶주린 백성을 구휼하다 / 89
1193년 9월 / 권13 / 까막눈인 두경승을 감수국사로 삼다 / 89
1193년 10월 / 권13 / 최세보가 사망하다 / 89
1193년 10월 / 권13 / 백좌도량을 열고 반승하다 / 90
1193년 11월 / 권13 / 금에 사은사와 하정사를 보내다 / 90
1193년 11월 / 권13 / 공예태후에 기일에 신하들이 음식을 공헌하다 / 90
1193년 11월 / 권13 / 최인을 남로착적병마사로 삼아 남적을 토벌하게 하다 / 90
1193년 12월 9일 / 권13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 하늘을 가로지르다 / 90
1193년 12월 / 권13 / 남적의 괴수 득보가 대궐에 와서 항복하다 / 90
- 이하 목차 생략 -
책속에서
서언
<고려사절요>는 고려 32대에 걸친 역대 왕들의 주요한 일들과 행적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국가의 치란흥망에 관계된 기사로서 귀감이 될 수 있는 기사, 왕이 직접 참여한 제사, 외국의 사신 관련 기사, 천재지변에 관한 기사, 왕의 수렵 활동, 관료의 임명과 파면 관련 내용, 정책에 받아들여진 상소문 등 군주에게 교훈을 주기 위한 내용들이 상세하게 기록되었다.
권수에는 김종서가 고려 역대 왕의 사적을 빠짐없이 기록하였다는 「진고려사절요전」과 4가지 기준을 정해 편찬하였다는 「고려사절요 범례」, 편찬에 참여한 김종서, 정인지, 신숙주, 박팽년, 양성지 등 28명의 기록을 담은 「수사관修史官」이 수록되었다.
1452년(문종 2년)에 김종서 등이 왕명을 받고 <고려사>를 저본으로 내용을 축약하여 5개월 만에 찬수한 편년체 역사서이다.
세종이 1449년(세종 31년) 2월에 지춘추관사 김종서에게 <고려사>를 다시 교정하여 편찬하기를 명하였다. 이에 김종서 등은 1451년(문종 1년) 8월에 139권 75책의 <고려사>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고려사>의 분량이 너무 방대하고 산만한 부분들이 많아 5개월 뒤인 1452년(문종 2년) 2월에 <고려사>를 요약하여 35권 35책의 <고려사절요>를 간행하게 되었다.
금속활자본(초주갑인자)으로 된 1권1책(권20)이다. 이 책의 크기는 세로 34.0㎝, 가로 21.4㎝이고, 광곽匡郭의 크기는 세로 25.0㎝, 가로 16.8㎝이다. 제책은 오침안 선장본五針眼線裝本이고 제첨제와 권수제는 <고려사절요>이다. 변란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고, 본문에는 계선이 있다. 행자수는 10행 19자이고, 주는 쌍행이며 어미의 형태는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이다.
<고려사절요>는 <고려사>보다 내용에 있어서 소략하다. 그러나 <고려사>에서 찾을 수 없는 기록도 있으며, <고려사>가 세가世家·지志·열전列傳으로 나누어 기술됨으로써 연월의 기록이 누락된 것이 많은 데 비해, 연·월순으로 기술되었으므로 사료적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특히, 정치적 사건의 추이를 이해하는 데는 <고려사>보다 월등히 좋은 자료이다.
그리고 역대 역사가들이 썼던 사론을 모두 실었으므로 사학사상을 연구하는 사학사 연구에 있어서 귀중한 사서이다. 이처럼 <고려사절요>는 <고려사>를 보완해 주는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고려사절요>의 편찬자 18인은 모두 <고려사>를 편찬한 사람들이고, 편찬 시기가 5개월의 차이밖에 없으므로, 이에 나타나는 역사관도 <고려사>의 그것과 거의 일치한다.
<고려사절요>는 <고려사>와 마찬가지로 찬자들의 사론을 써넣지 않았다. 그러나 <고려사절요>는 후대의 군주로 하여금 정치에 참조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편찬되었기 때문에, 교훈적 성격이 <고려사>에 비해 강하게 반영되었다.
즉, 고려시대 실록에 수록되었던 고려시대 사신史臣의 사론, <국사>에 실렸던 이제현의 사론, 정도전·정총 등이 <고려국사>에 써넣었던 사론 등 총 108편의 사론을 실었다. 이는 <고려사>에서 세가에만 34편을 실은 것에 비해 대단히 많은 사론을 실은 것이다.
한편, <고려사>는 수사의 주체가 군주이기 때문에 군주 중심의 경향이 강하고, <고려사절요>는 그 주체가 신료臣僚이기 때문에 신료 중심의 사서적 성격을 띤다.
1452년(문종 2년) 김종서가 편찬한 <고려사절요>는 <고려사>와 달리 편년체로 기록되었다. <고려사절요>는 <고려사>에 비해 내용이 풍부하지는 못하지만, <고려사>에 없는 사실들을 많이 수록하고 있다. 이는 편찬 당시 고려의 실록과 사초 등 관련 기록들을 널리 참고하였기 때문이다.
편년체 역사서인 <고려사절요>는 고려시대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사료이다.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내용들을 다수 수록하고 있다.
<고려사절요> 4권을 출간하면서 에디터 이남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