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범죄문제
· ISBN : 9791190631136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20-1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사회적 테러'인 연쇄범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01 연쇄범죄의 정의와 심리적 단계
1. 연쇄범죄의 일반적 정의
2. 연쇄범죄의 심리단계별 특성
02 연쇄범죄의 유형과 사례 그리고 수사과정
1. 연쇄강간범죄
2. 연쇄방화범죄
3. 연쇄살인범죄
4. 결론 : 사례의 분석
03 연쇄범죄 수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에필로그
새로운 형태의 범죄에 철저하게 대비하기 위하여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권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가 선진화된 사회이다. 그렇지만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인권을 어떻게 철저히 보장할 것이며, 나아가 사회적 약자들을 상대로 무작위로 가해를 하는 연쇄범죄자들의 인권을 어느 선까지 보장하여야 할 것인가의 문제는 간단하게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가 아닐 수 없다.
연쇄살인(Serial Killing or Serial Murder)은 사회병리현상의 극단적인 형태로서 사람을 살해하는 살인행위와는 형식만 동일할 뿐 내용적인 부분에서는 극도로 고도화된 일종의 ‘사회적 테러행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 범죄를 모방한 범죄 혹은 유사한 범죄가 발생하는 등 일반적인 범행의 틀을 훨씬 초과하는 아주 잔혹한 사건의 내용으로 인하여 사회 전반에 미치는 충격, 사회 심리적 부작용의 극대화 등 실로 무수히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는 실정이다.
대중언론은 시청률이나 청취율, 조회수를 기준으로 하여 광고를 하여 판매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기존의 식상한 소재를 가지고는 이러한 광고판매를 위한 고객들의 콘텐츠 소비율을 높이기가 어려우며, 실제로 많은 수의 매체가 존재함으로 인해 획기적인 내용이 아니면 광고주들을 만족시키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가장 좋은 소재로 쓰이는 것이 다름 아닌 연쇄범죄이며, 일종의 신화까지 가미하여 부풀리기를 함으로써 사회혼란을 조성함은 물론 결과적으로 해당 연쇄범죄를 저지른 범죄자를 영웅이나 신화적인 존재로 만드는 상황이 되어버렸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