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90777254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1-10-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9p
1장. 한국 민족주의 세력의 독립전쟁과 민족국가 건설구상
Ι 망국과 망명, 민족주의 세력의 형성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1. 망국과 의병전쟁, 항일 민족주의세력의 형성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대한제국의 멸망 - 19p
국권회복운동과 의병전쟁 - 27p
민족종교운동과 민족주의 세력의 형성 - 33p
2. 공화주의 이념의 확산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외 독립운동 근거지의 건설 - 40p
공화주의 이념의 확산 - 47p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51p
ΙΙ 1920~30년대 민족주의 세력의 독립전쟁과 민족협동전선운동
1. 만주의 무장투쟁과 민족유일당 운동
만주 독립군의 독립전쟁과 자유시참변 - 63p
만주 삼부(三府)의 형성 - 68p
민족유일당 운동과 삼부의 통합 - 75p
만주 조선혁명당과 한국독립당의 독립국가 건설론 - 78p
2. 반제 민족협동전선과 독립국가 건설론
신간회의 민족통일전선운동 - 84p
상해 한국독립당의 이념, 삼균주의 - 91p
중국 관내지역 정당통일운동 - 96p
우익 3개 정당의 민주공화국 건설론 - 100p
ΙΙΙ 중·일 전쟁 시기 중경 임시정부의 활동과 건국강령
1. 임시정부와 정당통일운동
중일전쟁과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 107p
중경 한국독립당의 독립국가 건설구상과 신민주국 - 111p
2. 중경 임시정부의 건국강령
중경 임시정부의 활동 - 117p
중경 임시정부의 건국강령 - 123p
2장. 한국 사회주의 세력의 독립전쟁과 국가 건설 구상
Ι 한국 사회주의 세력의 형성과정
1. 한국인들의 사회주의 수용
일본 유학생들의 사회주의 만남 - 133p
러시아와 중국 망명객들의 사회주의 수용 - 140p
2. 한국 사회주의 세력의 형성과 사상분화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 공산당의 형성과 대립 - 146p
아나키스트들과 공산주의자들의 사상분화 - 152p
ΙΙ 한국 사회주의·공산주의자들의 항일투쟁과 국가 건설론
1. 아나키스트들의 의열투쟁과 자유연합적 신사회 건설구상
허무주의에서 자유연합주의로 - 161p
자유 공산주의와 만주 독립기지 건설 구상 - 169p
국제연대투쟁에서 민족통일전선으로 - 174p
2. 의열단과 조선혁명당의 민주공화국 건설론
의열단 강령에 나타난 진정한 민주국 - 182p
조선혁명당의 민주공화국 건설론 - 187p
3. 조선공산당의 항일투쟁과 인민공화국 건설론
창당과 시련, 그리고 혁명적 인민공화국 건설론 - 191p
조선공산당 재건운동과 인민전선론 - 204p
ΙΙΙ 한국 사회주의 세력의 연대 활동과 독립 준비
1. 민족전선론과 조선민족전선연맹의 결성
민족혁명당의 창당과 민족전선론의 대두 - 213p
조선민족전선연맹의 결성과 민주공화국 건설론 - 221p
2. 조선독립동맹과 동북항일연군의 독립국가론
화북조선독립동맹의 항일투쟁과 신민주주의론 - 226p
동북항일연군의 항일투쟁과 조국광복회 - 232p
3장. 좌우 연합정부의 구성과 국가 건설 구상, 그리고 환국
1. 좌·우 연합정부의 구성
조선의용대의 광복군 편입 - 241p
통합의회와 좌우연합정부의 구성 - 245p
2. 좌우 연합정부의 건국 준비활동과 환국
좌우연합정부의 건국 준비활동 - 253p
좌우연합정부의 환국방침과 국가건설 구상 - 261p
맺음말 - 269p
참고문헌 - 27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