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90864602
· 쪽수 : 175쪽
· 출판일 : 2020-12-1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왜 중동을 알아야 할까
1 _ 사우디아라비아 vs 이란 ; 중동의 맹주가 되려는 두 국가의 경쟁
모든 게 대조적인 나라
왕정 산유국 사우디의 약점
이란의 시아 벨트 전략
이란은 왜 사우디를 의식할까
사우디는 이란을 견제할 수 있을까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이란의 과제
2 _ 이스라엘 vs 팔레스타인 ; 중동 분쟁의 고전
아랍권에서 이스라엘은 어떤 의미인가
이스라엘의 안보 제일주의와 우경화
아랍 형제들의 무관심, 나아가 배신
트럼프 시대에 미국은 왜 이스라엘 편이었을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공존할 수 있을까
3 _ 아랍에미리트 vs 카타르 ; 강소국 간 경쟁에서 대립으로
중동의 허브를 꿈꾸는 두 나라
라이벌을 넘어 적대 관계로
깊어지는 반감과 적개심
단교 사태는 걸프 협력 회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4 _ 미국 vs 러시아 ; 세계 최강대국이 중동에서 벌이는 경쟁
트럼프가 발 빼던 중동에서 바이든의 선택은
새로운 중동의 중재자, 러시아
러시아를 환영하는 미국 동맹국
5 _ 터키와 중국 ; 본격적인 라이벌전의 출발점
터키 ; 다시 꾸는 오스만 튀르크의 꿈
중국 ; 경제를 앞세운 중동 진출
에필로그 ; 중동을 이해하는 두 번째 키워드
주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사건에서 이야기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란 핵 문제를 미국이 어떻게 다뤄 왔고, 향후 어떻게 다룰지는 북한 핵 문제 해결과도 연관될 수 있다. 미국의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 이스라엘, 이집트 등과의 관계에서는 동맹국에 대한 전략이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사우디의 국방비 지출 규모는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다음 수준이다. 프랑스, 독일, 일본보다 많은 건 물론이고 같은 중동 국가인 이스라엘의 3배에 이른다. 사우디와 미국의 관계가 얼마나 돈독한지 짐작할 수 있는 좋은 예다. 특히 ‘비즈니스 외교’를 중시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뒤 사우디와 미국의 관계는 더욱 돈독해졌다.
중동에서는 이란처럼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가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란을 제외하면 이스라엘, 튀니지, 터키 정도가 그래도 경쟁다운 경쟁이 존재하는 선거가 있는 중동 국가로 분류된다. 게다가 이란은 부패하고 무능한 왕정을 종교 지도자가 직접 몰아낸 경험을 가지고 있다. 왕정 국가인 사우디가 바다 건너에 위치한 이란을 의식할 수밖에 없는 또 다른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