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언니가 들려주는 한국사 이야기

언니가 들려주는 한국사 이야기

(선사시대부터 대한제국까지)

최은서, 서영지, 박지아, 방서희, 방소연, 이준, 정다빈, 정윤지, 박가람 (지은이), 서금열 (감수), 김영옥, 황왕용
기역(ㄱ)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15,3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30원
13,7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언니가 들려주는 한국사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언니가 들려주는 한국사 이야기 (선사시대부터 대한제국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91191199550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11-30

책 소개

역사에서 길을 찾는다고 한다. 과거를 꿰뚫어 미래를 개척하는 일, 그래서 역사는 나침반이라고 하기도 한다. 누구나에게 이렇게 소중한 바탕, 역사 속으로 들어가는 문턱을 낮춰보자.

목차

005 펴내는글

선사시대와 고조선
014 고인돌 ― 고인돌이 돼~
018 움집 ― “내가 바로 선사시대 원뿔 집”
022 연맹왕국 ― 공주가 되는 방법
026 8조법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029 천신신앙 ― 하늘 만세!

삼국시대
034 임신서기석 ― 임신년, 대문자 J의 스터디 플래너
037 연호 ― 제발 한 명당 한 개씩만!
040 녹읍 ― 노동력을 봉급으로?
042 진대법 ― 우리나라 최초의 복지제도
045 골품제 ― 금수저, 은수저 말고 뼈수저?
051 율령 ― 국왕을 제일 꼭대기로!
054 조공 책봉 관계 ― 언니, 나 ‘삥 ’그만 뜯어

남북국시대
058 신라 촌락 문서 ― 이걸로 세금을 매길지어다!
060 해동성국 ― 고구려를 품은 발해

고려시대
064 호족 ― 협력과 탄압
068 노비안검법 ― 노비를 위한 법?
071 시무28조 ― 이제부터 도덕으로 통치한다
074 전시과 ― 전 좋아해? 전 싫어요
077 과거제 ― 시험을 통해 관리를 뽑도록 하지!
081 문벌 ― 악법도 법! 그럼 문벌도 벌?
085 무신정변 ― 군인들이 왜 화가 났을까?
090 속현 ― 사또 없는 고을?
093 신진사대부 ― old문세족 vs. new진사대부

조선시대
098 경국대전 ― 조선의 통치제도를 정리한 책
101 대간 제도 ― 아⋯⋯, 님, 그거 그렇게 하는 거 아닌데
104 지방관 ― 고을은 내가 책임진다
106 사대교린 ― 굽신굽신?
108 사화 ― 훈구 vs 사림?
113 서원 ― 사립과 공립
116 양천제와 4신분제 ― 조선시대 신분제도
119 병자호란 ― 두 달간의 전쟁, 그리고 항복
126 대동법 ― “보여줄게, 완전히 달라진 나”
129 예송 ― 어차피 결론은 1년
133 실학 ― 실용성을 추구하는 학문이 있다고?
137 세도정치 ― 조선 왕실의 잃어버린 60년
143 강화도조약 ― 평온했던 하늘이 무너지고
148 의병 ― 나라를 위해 무기 들고 우두다다!
155 동학농민운동 ― 농민들의 봉기를 외국 세력으로 진압했다고?
161 갑오개혁 ― 낡은 조선을 새롭게 만들다

대한제국시대
166 독립협회 ― 독립협회와 독립신문
169 광무개혁 ― 옛것을 근본으로 새것을 받아들이자
174 을사늑약 ― 조약인가 늑약인가
177 애국계몽운동 ― 실력을 키워 빼앗긴 권리를 되찾자!

182 닫는글
185 함께읽기
190 함께저자

저자소개

최은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서영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꼼꼼하고 섬세한 고3. 한국사 공부가 어렵다는 걸 잘 알기에 후배들은 조금 더 쉽고 재밌게 공부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역사책 만들기에 도전했다. 긴 글을 쓰는 게 처음이라 막막했지만, 무한 열정으로 막막함 극복! 금방 적응해서 나중엔 책의 프롤로그와 에필로그까지 맡아서 작성했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하루하루 성장하는 중.
펼치기
박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마고등학교 3학년. 문학과 철학, 역사서의 친구. 새로운 지식을 탐구하며 소화하는 것이 최애 활동. 하지만 혼자서는 너무 어렵다! 이해하기 위해 맥락을 알고 모두와 함께 페이지를 채웠다. 최근 고민은 시간이 너무 빠르다는 것.
펼치기
방서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마고 3학년. 재미있어 보이는 일이 있으면 슬그머니 다가가 기웃댄다. 결국 출판 프로젝트에도 한 자리 들여놓았다. 세계 각국의 독립서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인생 목표.
펼치기
방소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노는 게 제일 좋은 고3. 작가라는 말에 멋져 보여 무작정 프로젝트에 참가하게 되었다. 무작정 참가했지만 활동에 흥미를 갖게 되어 즐거워하는 중. 최종 목표는 돈 많은 백수! 지만 앞으로 어려가지 일을 도전해 보고 싶다.곧 있으면 어른이 된다는 사실에 어른이 되기에는 아직 준비가 안된 거 같고 더 놀고 싶어 고민이다.
펼치기
이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마고등학교 3학년 학생. 고3이라고 딱히 공부를 하는 건 아니지만 주변에서 공부하는 분위기라 따라서 학업 스트레스 받음. 아직도 장래희망 수시로 바뀜. 최근엔 흑백요리사 심사위원이 꿈이었음. 이 책에서는 글도 쓰고 일러스트 작업도 했다. 선배 된 도리가 없다. 표지도 후배 그리라고 시킴(완전 잘 그림). 그래도 그림 그리는 건 좋아함. 삽화 일부와 간지를 그림.
펼치기
정다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마고등학교 3학년 학생. 고3이라고 딱히 공부를 하는 건 아니지만 주변에서 공부하는 분위기라 따라서 학업 스트레스 받음. 아직도 장래희망 수시로 바뀜. 최근엔 흑백요리사 심사위원이 꿈이었음. 이 책에서는 글도 쓰고 일러스트 작업도 했다. 선배 된 도리가 없다. 표지도 후배 그리라고 시킴(완전 잘 그림). 그래도 그림 그리는 건 좋아함. 삽화 일부와 간지를 그림.
펼치기
정윤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마고 1학년 학생. 해보고 싶은 게 많아서 찾아보다가 책 써보는 활동에 지원해서 한 부분을 맡아 글을 썼다. 해보고 싶은 거 하면 해보고 싶은 게 줄어들 줄 알았는데 더 생겨버려서 큰일이다.
펼치기
박가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마고등학교 1학년 학생. 태어나길 내향인 중에서도 내향인이다. 그림 그리느라 공부와는 영 거리가 먼 인생을 살다가 최근 성적의 위기감을 느끼고 공부 중. 여전히 영양가 없는 생각을 즐긴다. 이 책에서 표지와 삽화를 그렸다. 최근 취미는 한국 신화 읽기, 고민은 사람 이름을 잘 못 외우는 것.
펼치기
황왕용 ()    정보 더보기
광영고등학교 사서교사. ‘관종’인 듯. 학생들에게 관심 받고 싶어서 다가가려고 노력한다. 이제 꼰대임을 느낀다. 예전처럼 쉽게 다가가기 어렵다. 이래저래 노력하다 상처받기도 하고, 학생들에게 위로를 얻기도 한다. 사서 고생하는 교사다. 쓴 책으로는 『괜찮아, 나도 그래』, 『급식체 사전』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옥 ()    정보 더보기
중마고등학교 역사교사. 투머치토커. 수업 시간에 너무 많은 말을 한다. 가끔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폭주한다. 학창시절에 ‘왜 역사 교과서에 나온 문장들이 이렇게 불친절하지?’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인과관계가 잘 이해 되지 않았다. 역사교사가 되고 난 후 문장과 문장 사이에 빠진 맥락을 알아내고 채워넣어 학생들이 알기쉽게, 이해할수 있게 설명하려고 애쓰는 중.
펼치기
서금열 (감수)    정보 더보기
중마고등학교 교장. 후배 교사가 자꾸 일을 시킨다. 학생들이 쓴 책이 있으니 감수를 해달라고! 바쁜 시간을 쪼개 검토를 하고 있노라면 빨리 해달라고 재촉하는 김영옥, 황왕용 선생님 덕분에 오랜만에 긴장감을 느꼈다. 다행히 역사를 전공해서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을 조언했다고 생각한다. 의미있고 즐거운 작업이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안녕! 이 책을 펼쳐 든 너에게 먼저 반가운 인사를 전해. 우리는 너의 언니 혹은 누나, 오빠가 될 수도 있는 사람이야. 너에게 한국사를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알려주고 싶어서 이 책을 쓰게 되었어.
한국사,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질 때가 많지? 교과서만 봐도 졸리고, 왜 알아야 하는지 모르겠고, 그런 느낌 들 때가 있을 거야. 사실 우리도 그랬어. 오래전 과거의 일을 왜 우리가 배워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지. 하지만, 한국사는 단순한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야. 우리가 누구인지, 어디서 왔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떤 길을 걸어왔고, 어떤 길을 걸어가야 하는지를 알려주거든. 말하자면 한국사는 우리 자신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되고, 더 나은 미래를 꿈꿀 수 있게 해.
그래서 우리는 어렵게만 느껴졌던 역사 이야기를 언니가 동생에게 이야기하듯이, 너에게 한국사의 재미있는 이야기와 중요 개념을 쉽게 설명해 주려고 해. 어려운 단어는 가능한 한 피하고, 쉽게 풀어서 설명할 거야. 너와 대화하듯 묻고 답하면서, 서로 이야기 나누는 것처럼 말이야.
이 책에서는 선사시대부터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의 큰 흐름을 다룰 거야. 각 시대 중요한 사건들, 인물들, 그리고 그들이 남긴 발자취를 따라가면서, 당시 사람들이 왜 그런 선택을 했고, 그 선택에 따라 어떤 결과에 이르렀는지를 살펴볼 거야.

이 책을 통해 너의 문해력이 쑥쑥 자라기를, 한국사를 점점 더 친근하게 느끼기를 바라. 책을 읽는 동안 웃기도 하고, 때로는 진지하게 생각하다 보면 한국사에 대한 너의 시야가 넓어질 거야. 역사는 단순히 과거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비추는 거울이라는 것을 기억해. 언젠가 너도 이 책을 통해 배운 것들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할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우리 함께 한국사 여행을 시작하자.
참! 우리는 너를 책 속에서 ‘도담’이라고 부를 거야. ‘도담’은 ‘도담하다’라는 단어의 어근으로, 순우리말이야. ‘도담하다’는 야무지고 탐스럽다, 아이들이 즐겁고 건강하게 무럭무럭 자라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우리는 네가 한국사를 즐겁게 느끼며 성장하길 기대하며 ‘도담’이라고 부르기로 했지. 너를 대신하는 ‘도담’이라는 이름이 너의 마음에도 꼭 들기를 바라며 우리 이제 정말로 출발해 볼까?

중마고등학교 도서관 책뜨락에서
저자 모두가


벌써 다시 인사를 할 시간이 왔네. 도담아, 너와 함께 한국사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정말 기뻤어. 한국사에는 수많은 고난과 영광, 그 속에서 빛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어. 그들의 삶을 통해 우리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고, 지금의 우리가 있기까지 얼마나 큰 노력을 기울였는지 알 수 있지.
책 속에서 우리가 만난 수많은 인물 중에는 왕과 장군, 학자들이 있었어. 그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역사를 빛냈지. 어떻게 보면 그들은 삶에 최선을 다한 것일 수도 있겠다. 역사 속에는 이름 없는 수많은 사람의 삶도 있어. 그 모든 사람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오늘의 우리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 그래서 우리는 그들의 삶을 기억하고, 그들의 정신을 이어받아야 해.
한국사는 긴 세월 동안 많은 변화를 겪었어. 고대부터 현대까지, 각 시대마다 다양한 인물과 사건들이 우리 역사를 만들어왔지. 선사시대의 움집에서부터 시작된 우리 이야기는,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끊임없이 도전하고 극복해 왔어.

이 책의 마지막 개념은 애국계몽운동이야. 그 후에도 끊임없이 많은 역사적 사건이 있었어. 독립운동과 광복, 한국전쟁, 민주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우리는 그 연장선에서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해.
우리가 함께 나눈 이야기가 너에게 작은 영감이 되면 좋겠어. 앞으로도 우리 민족의 역사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그 지식을 바탕으로 너의 꿈을 키워나가길 바라. 우리의 역사는 아직 끝나지 않았고, 너는 지금도 너만의 역사를 만들어 나가고 있으니까. 너의 열정과 노력으로 너만의 역할을 하리라 믿어.
함께해줘서 정말 고마워. 누군지는 모르겠지만, 너와 함께한 이 시간이 우리에게는 정말 소중한 추억이야. 언젠가 너도 다른 사람에게 한국사 이야기를 들려줄 날이 오게 될 거야. 그때, 오늘 우리가 나눈 이 이야기가 작은 씨앗이 되어 많은 사람에게 전해지면 좋겠어. 우리의 여정은 여기서 마무리되지만, 성장의 여정은 계속될 거야. 한국사를 더 깊이 이해하고, 그 속에서 우리의 미래를 밝혀나가자.

한국사가 어려운 세상 모든 도담이에게
사랑과 존경을 담아,
언니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