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1215151
· 쪽수 : 840쪽
· 출판일 : 2021-08-20
책 소개
목차
1권.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
책머리에
1장. 한국사의 첫걸음
1 선사시대, 우리나라 역사가 시작되다
2 농경, 인류 최초의 혁명이 일어나다
3 단군, 고조선을 세우다
4 조선후와 위만, 고조선인가 제후국인가
2장. 삼국시대의 시작
1 열국시대에서 삼국시대로
2 삼국시대가 열리다
3 삼국과 가야의 발전
4 고구려와 백제의 해상 경쟁
3장. 삼국의 경쟁과 통일
1 고구려 중심의 천하 질서
2 한강을 둘러싼 삼국의 각축
3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4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4장. 남북국, 신라와 발해의 흥망성쇠
1 신라의 통일과 발해 건국
2 불국토 신라와 해동성국 발해
3 후삼국시대의 개막
4 고려와 후백제의 통일 전쟁
---------------------------------------------
2권.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5장. 고려시대의 시작
1 태조와 광종의 개혁 정책
2 고려와 거란의 전쟁
3 고려의 문예부흥과 경제진흥
4 문벌귀족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6장. 고려와 몽골의 투쟁
1 무신 정변과 농민 항쟁의 시대
2 여몽 전쟁과 삼별초의 항쟁
3 몽골 100년 지배와 공민왕의 자주 개혁
4 여말선초, 요동 정벌과 위화도회군
7장. 조선 전기, 훈구의 시대
1 태종과 정도전, 왕권과 신권 정치
2 세종, 유교국가의 체계화
3 세조와 성종, 훈구파의 등장
4 4대 사화, 사림파의 도전
8장. 조선 중기, 양란의 시대
1 사림파, 성리학의 집권 세력
2 임진왜란, 해상 세력의 시대
3 광해군과 인조, 중립 외교와 사대의리
4 병자호란, 친명 정책과 명청 교체
9장. 조선 후기, 붕당의 시대
1 붕당정치, 선비들의 배반
2 영조, 노론 벽파와 탕평책
3 개혁군주 정조와 조선의 르네상스
4 세도정치, 망국으로 가는 길
---------------------------------------------
3권. 근대시기부터 당대까지
10장. 근대 시기, 반봉건 반외세
1 흥선대원군, 내정 개혁과 외세 침탈
2 갑신정변과 갑오농민전쟁
3 대한제국, 독립협회와 광무개혁
4 을사늑약과 경술국치, 항일의 시대
11장. 현대, 민주국가의 수립
1 상해 정부, 무장투쟁과 실력양성운동
2 해방 전후사, 분단이냐 통일이냐
3 냉전 시대, 한국 전쟁과 반공 독재
4 박정희 정권, 유신 독재와 민주항쟁
12장. 당대, 민주항쟁의 시대
1 광주항쟁, 신군부와 시민 항쟁
2 제5공화국, 전두환 독재와 스포츠 공화국
3 6·10항쟁, 시민사회의 성장과 북방 정책
4 민주정부, 남북 정상회담과 통일 정책
저자소개
책속에서
청동기 문명을 바탕으로 발전하던 고조선은 철기시대의 도래와 중국의 전국시대라는 격변기를 맞아 서서히 쇠퇴의 길을 걸었다. 정치·종교·교역 등 여러 방면에서 주도권을 잃어갔고, 제후국 또는 거수국으로 불리던 여러 소국들이 고조선의 통치권에서 벗어나 곳곳에서 독립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에 이승휴가 지은 《제왕운기》는 고조선의 뒤를 이어 대략 70여 개의 나라가 들어섰다고 전한다. 이를 근거로 이 시기를 열국시대라고 부르며, 조선후·위만조선·부여 등이 고조선을 대체하여 치열한 경쟁 관계에 돌입했다.
이규보의 〈동명왕편〉, 《삼국유사》 등의 기록에 따르면, 북부여의 건국자인 해모수는 임술년(B.C. 239) 4월 8일에 신검 용광검(龍光劍)을 들고 다섯 마리 용이 이끄는 수레 오룡거(五龍車)를 타고 하늘에서 웅심산으로 내려와 그곳에 도읍으로 정하고 나라 이름을 북부여라고 했다. 웅심연에서 하백의 장녀인 유화를 만나 혼인했지만, 나중에 유화를 버리고 하늘로 돌아갔다고 한다. 오룡거와 용광검은 북부여 세력이 철기 문명을 가졌다는 걸 뜻한다. 해모수가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천손 신화를 반영하며, 그가 천손족(태양족)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웅심산에 내려왔다는 것은 모계나 처계가 웅족(곰 부족)일 가능성을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