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1215175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1-08-2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5장. 고려시대의 시작
1 태조와 광종의 개혁 정책
2 고려와 거란의 전쟁
3 고려의 문예부흥과 경제진흥
4 문벌귀족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6장. 고려와 몽골의 투쟁
1 무신 정변과 농민 항쟁의 시대
2 여몽 전쟁과 삼별초의 항쟁
3 몽골 100년 지배와 공민왕의 자주 개혁
4 여말선초, 요동 정벌과 위화도회군
7장. 조선 전기, 훈구의 시대
1 태종과 정도전, 왕권과 신권 정치
2 세종, 유교국가의 체계화
3 세조와 성종, 훈구파의 등장
4 4대 사화, 사림파의 도전
8장. 조선 중기, 양란의 시대
1 사림파, 성리학의 집권 세력
2 임진왜란, 해상 세력의 시대
3 광해군과 인조, 중립 외교와 사대의리
4 병자호란, 친명 정책과 명청 교체
9장. 조선 후기, 붕당의 시대
1 붕당정치, 선비들의 배반
2 영조, 노론 벽파와 탕평책
3 개혁군주 정조와 조선의 르네상스
4 세도정치, 망국으로 가는 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서희의 외교론이 받아들여지고 고려는 안북부에 사령부를 설치했다. 고려군을 지휘하는 상군사 박양유는 중군사 서희에게 봉산성을 탈환하도록 했다. 거란군은 고려의 군세가 만만치 않다고 판단하고는 전면전을 피하고 먼저 화의를 제안했다. 그러면서 협상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자 안북부를 협공하기 위해 별동대를 서쪽으로 우회시켜 영변 쪽으로 이동시켰으나 연주성에서 고려 군민들의 완강한 저항을 받아 패퇴했다.
인종은 이자겸의 난으로 개경의 궁궐이 불타고 민심도 흉흉하며 금나라의 동향도 불안하던 차에 묘청이 천도를 건의하니 마음이 움직였다. 인종이 흔들리자 개경파는 태조 이래 끈질기게 제기된 서경 천도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이를 막고자 했다. 그들은 고려가 신라의 계승국이라는 논리를 제기하며, 유교의 정치 질서인 조공책봉 제도에 따라 금나라에 사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서경 천도를 놓고 신라계 개경파와 고구려계 서경파가 한치의 양보도 없는 치열한 권력 투쟁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