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문학 > 청소년 소설
· ISBN : 9791191266283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22-01-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부. 학교, 달콤 쌉싸름함을 이야기하다
좋아하면 울리는, 손안의 작은 세계 ∥ 《열흘간의 낯선 바람》, 〈새로고침〉
사랑하기 충분한 나이, 십대 ∥ 《키싱 마이 라이프》, 〈12시 5분 전〉
지금 꿈꾸고 있나요? ∥ 《잘 먹고 있나요?》, 《나도 낙타가 있다》
선생님의 무거운 어깨 ∥ 《용기 없는 일주일》, 《괴물, 한쪽 눈을 뜨다》
2부. 가족, 사랑의 의미를 묻다
분명한 거짓, ‘사랑’의 매 ∥ 《Welcome, 나의 불량파출소》, 《소년은 자란다》
형제자매의 별칭, 적과 동지 ∥ 《의자 뺏기》, 《#구멍》
비법 탐구! 슬기로운 부모 생활 ∥ 《변신 인 서울》, 《페인트》
순도 99.9퍼센트, 조부모 사랑 ∥ 《도미노 구라파식 이층집》, 《맹탐정 고민 상담소》
3부. 우리, 함께 세상을 바라보다
삶의 중심 변두리 ∥ 《변두리》, 《창밖의 아이들》
부려 먹기 쉬운 존재, 청소년 알바 ∥ 《편순이 알바보고서》, 〈헬멧〉
잊지 않고 기억해야 하는 이유 ∥ 《1분》, 《우연한 빵집》
하나가 되기 위한 노력 ∥ 《난민 소녀 리도희》, 《통일한국 제1고등학교》
4부. 과학, 인간에게 질문하다
로봇만 성장한다면 ∥ 《로봇 교사》, 〈로봇 짝꿍〉
아름다우면 행복한가요? ∥ 〈아아마〉, 《가면생활자》
동물을 사랑한다면, 사랑하지 않아도 ∥ 〈살아있는 건 다 신기해〉, 〈돌아온 우리의 친구〉
미래 사회를 상상하다 ∥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해방자들》
세상을 마주하는 청소년 문학 추천 도서
리뷰
책속에서
청소년 문학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 중 학교, 가족, 이웃 사회, 미래 사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우선 ‘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환경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선생님에 대한 시선과 친구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 양상의 변화, 청소년들의 관심사와 진로에 대한 고민을 알아봅니다. 둘째 ‘가족’ 문제를 다루는 작품에서는 다양한 가족의 형태와 가족 질서의 변화가 청소년의 자아 형성에 끼치는 모습을 살펴보고 변화된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 양상을 알아봅니다. 셋째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모습이 담긴 작품에서는 급변하는 사회와 사회 문제 속에서 공동체 윤리가 달라진 양상을 짚어보고 작품 속 청소년이 사회적 주체로 성장하는 모습을 살펴봅니다. 넷째 ‘미래 사회와 과학 기술’을 소재로 한 작품에서는 인간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와 과학 기술의 발달이 가져오는 문제를 청소년 문학이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알아봅니다.
이 책은 2000년 이후 청소년 창작물을 주제별로 선정하여 변화된 가치관을 알아보고 세대 간 차이를 작품 속 담화와 담론을 통해 분석해보았습니다.
SNS는 진실을 알 수 없는 숨겨진 세계입니다. 못난 것보다 잘나고 행복한 것만 선택해서 올리는 왜곡된 모습이며 포장된 나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SNS가 우리의 인생과 다른 점은 ‘새로고침’처럼 편집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SNS를 통해 자기표현의 욕구를 드러내다 보면 시각적인 겉모습에 집중하게 됩니다. 하지만 SNS에 예쁜 얼굴을 올려 자기를 표현하고 인정받으려는 이들에게 화살을 겨눌 수는 없습니다. 예쁘고 멋진 사람을 원하는 우리 모두의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 하지만 자신이 보여주고 싶은 모습만 보여주는 관계를 통해 서는 진정한 감정의 교류를 느낄 수 없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있고 관계를 통해 정서를 형성할 것이라 고 기대하지만 진정으로 사람을 사귀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지요. 결국 SNS라는 가상 세계에서 벗어나 현실 세계로 돌아가는 길을 찾는 해답은 사람입니다.
학교 폭력을 다루고 있는 청소년 소설이 많습니다. 이런 작품들은 폭력을 경험하지 못한 청소년들에게는 간접 경험을 통해 폭력에 대한주의를 주고, 폭력을 경험한 청소년들에게는 마음을 쓰다듬어주는 위로의 역할을 합니다. 청소년들은 책을 읽으며 가해자와 피해자, 방관자의 마음이 되어 자신을 그 자리에 세워보기도 하고 폭력에서 자신을 지키는 방법을 찾기도 합니다.
학교 폭력을 다룬 작품 중에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행동과 심리를 다룬 내용이 많습니다. 하지만 가해자 규명과 처벌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학교 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법이 될 수 없으며 학교 폭력 예방과 대처 방법에 대한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학교 폭력을 옆에서 지켜보는 교사의 모습이 담긴 작품을 통해 학교 폭력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