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91307658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21-08-12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이 책에 등장하는 주요 영양소
제1장 영양소란 어떤 물질일까?
01 영양이란 무엇일까?
02 영양소란 무엇일까?
03 영양소가 몸에 들어오면 어떻게 될까?
04 영양소가 부족하면 어떻게 될까?
05 칼로리란 무엇일까?
06 칼로리와 다이어트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07 대사란 무엇일까?
제2장 우리 주위에 있는 3대 영양소
08 단백질은 어떤 영양소일까?
09 단백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10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란 무엇일까?
11 단백질은 어떤 구조일까?
12 단백질이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13 탄수화물이란 어떤 영양소일까?
14 당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15 녹말과 셀룰로스는 무엇이 다를까?
16 왜 쌀은 익히면 부드러워질까?
17 지질이란 어떤 영양소일까?
18 몸에 좋은 지질과 나쁜 지질이 있을까?
19 트랜스지방은 몸에 해로울까?
20 핵산이란 영양소일까?
21 산성 식품과 염기성 식품은 무엇일까?
제3장 우리 주위에 있는 비타민과 미네랄
22 비타민이란 어떤 영양소일까?
23 비타민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24 비타민이 부족하면 어떻게 될까?
25 비타민은 식물에만 포함되어 있을까?
26 호르몬이란 영양소일까?
27 미네랄이란 어떤 영양소일까?
28 미네랄은 어떤 것들에 포함되어 있을까?
29 미량 원소란 무엇일까?
30 연수와 경수는 무엇이 다를까?
31 비타민과 미네랄은 항산화 작용을 할까?
제4장 요리와 영양소
32 요리를 하면 식재료의 영양소가 변화한다?
33 식재료를 씻으면 영양소가 달아난다?
34 생선을 민물이 아닌 소금물에 씻는 이유는 무엇일까?
35 무딘 칼로 식재료를 자르면 영양소가 손실된다?
36 단백질을 가열하면 어떻게 될까?
37 고기는 구우면 딱딱해지지만
오래 삶으면 부드러워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38 고기에 따라 포함된 영양소는 다를까?
39 탄수화물을 가열하면 어떻게 될까?
40 술은 당질의 변화를 이용해서 만들어진다?
41 지질을 가열하면 어떻게 될까?
42 소기름과 돼지기름의 차이는 무엇일까?
43 비타민을 가열하면 어떻게 될까?
44 미네랄은 조리법에 따라 변화할까?
45 냄비 요리의 떫은맛을 걷어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제5장 질병과 영양소
48 왜 질병이 생기는 걸까?
49 영양소가 부족하면 질병에 걸리는 걸까?
50 질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어떤 영양소를 섭취하면 좋을까?
51 건강기능식품은 몸에 좋을까?
52 칼로리를 제한하면 오래 살 수 있을까?
53 질병에 걸렸다면 어떤 영양소를 섭취하면 좋을까?
54 건강에 해로운 음식물이란 어떤 것일까?
55 독이 들어 있는 음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56 왜 식중독이 생기는 걸까?
57 패류독소란 무엇일까?
제6장 생활 습관과 영양소
58 왜 콜레스테롤은 몸에 해로울까?
59 매일 차나 커피를 마시면 건강에 좋을까?
60 왜 숙취가 생기는 걸까?
61 술안주로 어떤 영양소를 섭취하면 좋을까?
62 어린이는 어떤 영양소를 섭취하면 좋을까?
63 고령자는 어떤 영양소를 섭취하면 좋을까?
64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려면 어떤 영양소를 섭취하면 좋을까?
65 1일 3회 식사는 건강에 좋을까?
66 간식으로 어떤 영양소를 섭취하면 좋을까?
67 왜 비만이 생기는 걸까?
참고문헌
책속에서
‘영양’은 일반적으로 ‘영양 만점’, ‘영양 부족’이라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본래의 의미는 전혀 다르다. 영양이란 생물이 체외로부터 음식이나 음료와 같은 물질을 체내로 받아들이고, 에너지나 몸을 구성하는 성분을 만드는 등,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즉 영양이란 ‘활동’을 나타내는 말이다. 한편 영양소는 음식물에 포함된 ‘몸에 필요한 성분’을 말한다.
01 영양이란 무엇일까?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원료가 된다. 단백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아미노산 중 어느 하나라도 부족하면 다른 아미노산을 충분히 섭취했더라도 단백질이 충분히 합성되지 않는다. 다음 그림처럼 통의 어느 하나가 짧은 판자로 되어 있으면 아무리 물을 넣어도 통의 위쪽 부분까지 물이 차지 않는다. 단백질을 합성할 때는 가장 적은 아미노산 부분까지만 활용되기 때문에 많이 섭취한 다른 아미노산은 아무 쓸모가 없다. 즉 아미노산 중 어느 하나를 많이 섭취해도 의미가 없으며, 균형 있게 섭취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09 단백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