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91384178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22-02-0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4
1장. 첫 번째 오후 -
내성적 성격이 문제가 아니다 - 17
우리는 철학 상담을 하고 있는가? - 22
남의 눈치를 얼마나 봐야 하는가 - 30
2인칭 관점의 세상을 보라 - 35
현실을 보는 눈 - 44
다수의 힘을 어떻게 볼 것인가 - 50
자존감이란 무엇인가 - 63
주체성과 가스라이팅 - 71
자신에 대한 착각 - 80
타인에게 휩쓸리지 않기 위하여 - 90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하여 - 98
자신의 한계 알기 - 106
2장. 두 번째 오후
인간은 신만큼 알 수 있는가 - 116
자기객관화는 왜 연구가 없었나 - 122
소수를 존중할 수 있는가 - 128
자신을 의심하기의 장점 - 137
긍정적인 마음의 문제점 - 146
나답게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154
세상의 중심은 어디인가 – 162
자기객관화의 힘 - 174
타인의 마음의 문제 – 184
우리 모두는 타인의 시선을 받는다 - 193
자기객관화를 잘 하는 방법 – 205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 212
3장. 세 번째 오후
개성과 자유를 표현할 수 있는가 - 220
낯선 타인들과 만나기- 226
외국까지 범위를 넓혀야 하는가 – 233
노출되지 않은 것의 객관화 – 239
어떤 시점에서의 객관화인가 – 251
가까운 사람과의 소통 – 259
언어에서 객관화의 중요성 – 265
능력이란 무엇인가 – 273
왜 종종 악이 승리하는가 - 283
자신을 지켜주는 장치 - 296
비즈니스에의 확장 - 307
소통과 컨트롤의 문제 - 316
에필로그 - 326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를 들어 무인도에 홀로 사는 어떤 사람이 엄청난 능력을 발휘해서 미래의 날씨를 매우 정확하게 예측하는 방법 혹은 그런 기계를 발명했다고 해봅시다. 그 기계는 실제로 훌륭하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어요. 하지만 그것을 아는 사람은 그 사람 밖에 없지요. 그러면 그 사람과 그 기술은 권위가 있나요?
그러면 그 가스라이팅 상황에서 객관적 상태를 잘 알 수 없는 이유에 대해 더 이야기 해볼게요. 그 피해자가 자신이 속고 있고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진 기존의 생각을 강하게 믿고 유지해야 할까요? 아니면 자신의 닫힌 생각에서 벗어나 현실을 직시해야 할까요?
자기객관화에서 타인들의 생각은 단지 현재의 모습일 뿐, 미래가 아니라고 생각하세요. 미래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간혹 ‘타인이 나를 어떻게 봐주었으면 좋겠다’와 ‘타인이 나를 어떻게 본다’를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요. 전자는 자신의 희망이거나 미래의 모습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