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1639438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4-12-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학년과 만나는 우리들의 마음가짐
제 1장 1학년의 발달 특성을 이해하기
긴장이 돼요
‘나’ 중심이에요
지금, 여기가 중요해요
손, 발, 입 계속 움직이고 싶어요
저절로 이렇게 되는 걸요
손으로 다 만져보고 싶어요
마음처럼 잘되지 않아요
수준 차가 커요
상상력과 그림적 사고
제 2장 1학년 어린이들이 ‘잘’ 공부하는 방법
마음속에 그림 그리기
몸을 움직이며 공부하기
교사를 따라서 모방하며 공부하기
아름답게 공부하기
꾸준히 반복하기
시와 노래로 공부하기
주변의 자연에서 공부하기
옛이야기로 공부하기
제 3장 1학년 눈높이에 맞는 효과적인 수업 계획
1학년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설계하기
1학년 특성에 맞는 수업 자료 만들기
수업 중 집중을 돕는 효과적인 방법
제 4장 1학년 제1의 사명, 한글 해득
요즘 1학년의 한글 해득 현황
한글 지도 방법의 양대 산맥
교실에서의 한글 교육
한글 교육과 기초 문해력 지도를 위한 책 소개
글을 읽는다는 것
제 5장 1학년 슬기로운 학교 생활 지도
하루에 한 가지씩, 3월 내내
같은 말 열 번 대신 한 번의 비유로
10분 앉아 있기 연습
정리와 집중의 상관관계
줄서기와 기다리기
올바른 발표 습관 기르기
인사로 시작하고 끝 마치기
5분의 매직: 이야기 나누기로 그날 감정 해소하기
갈등의 해결자보다 중재자
제 6장 1학년이어서 느린 걸까, 느린 학습자인 걸까
손뜨개, 율동, 종이접기로 느린 학습자 발견하기
느린 학습자에겐 끊임없는 칭찬을
‘천천히 놀이’를 통해 느린 학습자와 함꼐하기
제 7장 “학교 가기 싫어요” 등교 거부 이유와 지도 방법
등교 거부의 진짜 이유
엄마랑 떨어지기 싫어요, 분리 불안
친구들이 나랑 안 놀아줘요, 교우 관계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무기력
학생의 등교 거부를 다루는 어른들의 마음가짐
제 8장 학부모도 1학년, 학부모 소통
부담스러워도 꼭 필요한 학부모 소통
일상적인 안내에요: 전체 안내하기
특별한 일이 있어요: 개별 연락이 필요할 때
학생 성장을 돕기 위한 대화: 학부모 상담
곤란한 소통: 감정적인 상태의 학부모와의 소통
에필로그 여섯 선생님의 에필로그
리뷰
책속에서
그렇기 때문에 큰 동요 없이 1학년을 잘 지도하기 위해서는 1학년 지도에 적합한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필요한 마음가짐 첫 번째는 관찰자의 시선으로 학생을 바라보는 것이다. ‘음 1학년들은 이렇구나’ 또는 ‘이 학생은 이렇군’ 하고 관찰자의 시선으로 학생을 수용하면 감정보다 머리를 쓰게 된다. 즉, 학생들의 행동에 상처를 받지 않으면서 ‘앞으로 어떻게 하면 이 학생이 나아질까?’에 대해 이성적으로 생각하게 된다. 교사의 마음에 상처가 남지 않아야 객관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학생 지도와 학부모 상담을 할 수 있다. 이렇게 관찰자의 시선으로 학생들을 바라보는 것은 문제에 개입하기 전 교사의 마음 공간을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마음에 공간이 생겨야 적절하게 판단하고 해결할 수 있다.
급식 시간에 식판을 가장 많이 엎는 학생들도 1학년이다. 식판에 음식을 받아 국물을 쏟지 않게 들고, 자기 자리까지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 경로를 탐색하느라 곁눈질하며 걷는 것은 많은 감각의 협응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 1학년은 이렇게까지 협응이 되기가 어렵다. 그래서 1학년이 무사히 자기 자리로 식판을 들고 가서 밥을 먹는 것은 칭찬을 받을 만한 일이다. 만약 교실 급식이라면 상황은 더욱 복잡하다. 가방을 모두 닫도록 하고 책상 간격을 충분히 넓힌 뒤 줄을 서도록 해야 급식을 받아 자리로 돌아갈 때 넘어지는 일이 덜 발생한다.
실제로 1학년 아이들에게 학교생활의 힘든 점을 물어보면 많은 아이가 ‘자리에 앉아 있는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또한 같은 활동을 오랜 시간하면 집중력이 급격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학교적응 초반에는 10분 간격으로 활동을 전환해주고, 이후 활동 시간을 조금씩 늘려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렇지 않고 초반부터 쓰기, 그리기, 만들기 등 한 가지 활동을 장시간하게 되면 아이들은 특정 활동에 대한 부정적인 마음을 가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