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 살 적 배움, 평생을 이끈다

세 살 적 배움, 평생을 이끈다

(사소절 동규편)

이덕무, 김윤섭 (지은이), 김종권, 조인상, 황효숙 (해설)
명문당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 살 적 배움, 평생을 이끈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 살 적 배움, 평생을 이끈다 (사소절 동규편)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91757248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21-11-17

책 소개

사소절은 실학자인 아정 이덕무(1741~1793)의 저작이다. 남자의 예법을 다룬 사전편(제1~5권), 부녀자의 예절을 다룬 부의편(제6~7월), 어린이의 규범을 다룬 동규편(제8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1. 행동거지〔動止동지〕
童規-動止 1 “어린이의 성장과 발전은 천천히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한다.”
童規-動止 2 “어린이의 성정을 헤아리면서 가르친다.”
童規-動止 3 “어린이의 급한 성정은 어릴 때 바르게 잡아야.”
童規-動止 4 “독서할 때는 집중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童規-動止 5 “어린이가 참을성을 갖도록 가르쳐야 한다.”
童規-動止 6 “호기심에 이끌리지 말고 검소한 태도를 갖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7 “집안일을 하는 사람을 함부로 대하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8 “음식을 먹는 일에도 절제를 가르친다.”
童規-動止 9 “출입 시에는 문을 잘 닫고 다니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10 “심한 장난버릇은 일찍 고치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11 “몸가짐을 안정되게 가지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12 “반듯한 행동을 몸에 익히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13 “어릴 적부터 반듯하게 앉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童規-動止 14 “바른 걸음걸이를 하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15 “남의 흉내를 내는 일을 삼가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16 “남의 잘못하는 습관을 흉내 내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17 “치아 건강에 유념토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18 “옷을 바르게 입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19 “남과 마주할 때는 다른 일을 하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20 “입을 벌리고 있거나 눈동자를 굴리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21 “글씨 쓰는 태도를 잘 익히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22 “손님의 물건을 만지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23 “심한 장난을 치지 않도록 늘 주의를 준다.”
童規-動止 24 “위험한 물건을 가지고 놀지 않도록 한다.”
童規-動止 25 “주의를 요하는 물건은 조심하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26 “바르게 걷는 습관을 기르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27 “지필묵을 함부로 다루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28 “남을 비하하여 부르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29 “신체장애가 있는 사람을 배려하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30 “아이의 발달 단계에 맞는 바른 성의식을 가르쳐야 한다.”
童規-動止 31 “바른 몸가짐 교육은 아이 때부터 해야 한다.”
童規-動止 32 “경조 관례를 가르치는 일, 필요하다.”
童規-動止 33 “아동 중심의 관점에서 아이들을 지켜보라.”
童規-動止 34 “경솔하고 산만한 습벽, 조기에 잡아줄 수 있다.”
童規-動止 35 “아이들과 부모가 함께하는 가족문화를 실천하자.”
童規-動止 36 “어른을 속이려는 기질을 바로잡아줘야 한다.”
童規-動止 37 “바른 마음가짐을 가르쳐야 한다.”
童規-動止 38 “자기가 배울 수 있는 벗을 사귀도록 가르친다.”
童規-動止 39 “반듯한 선생을 만나도록 이끌어줘야 한다.”

2. 가르쳐 익힘〔敎習교습〕
童規-敎習 1 “교육정의敎育正義를 구현하라.”
童規-敎習 2 “아이들의 교육에는 인내와 관용이 필요하다.”
童規-敎習 3 “정서함양교육, 중요하다.”
童規-敎習 4 “바른 학습태도를 길러야 한다.”
童規-敎習 5 “바른 마음가짐 공부는 부모가 먼저 실천해야 한다.”
童規-敎習 6 “학습량에 욕심내지 말고 정독精讀하라.”
童規-敎習 7 “우애 교육은 어릴 적부터 해야 한다.”
童規-敎習 8 “율곡 선생 훈육 십칠조栗谷先生訓育十七條”
童規-敎習 9 “체벌은 바람직하지 않다.”
童規-敎習 10 “진정한 자부심을 가지도록 가르쳐야 한다.”
童規-敎習 11 “바른 스승관을 고민해보자.”
童規-敎習 12 “적성에 맞는 교육이라야 한다.”
童規-敎習 13 “참된 인간교육을 구현해 나가자.”
童規-敎習 14 “민주적, 수용적 교육이 ‘바른 교육’이다.”
童規-敎習 15 “후대後代를 위한 바른 교육관을 생각해 보자.”
童規-敎習 16 “편견 없는 교육이 인간 교육의 정도이다.”
童規-敎習 17 “인간의 심성을 닦아 나가는 것이 교육의 본질이다.”
童規-敎習 18 “양서良書를 찾아 읽어야 한다.”
童規-敎習 19 “학습의 기초를 튼튼히 다져야 한다.”
童規-敎習 20 “바른 독서법을 훈련할 필요가 있다.”
童規-敎習 21 “정독精讀하는 습관을 길들이자.”
童規-敎習 22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길들이자.”
童規-敎習 23 “책 읽기는 모든 공부의 첫걸음이다.”
童規-敎習 24 “학습의 기초는 독서력이다.”
童規-敎習 25 “적정 학습량으로 반복학습하자.”
童規-敎習 26 “바른 학습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가르친다.”
童規-敎習 27 “이른바 ‘군자교육君子敎育’의 요체는 신독愼獨에 있다.”
童規-敎習 28 “공부 잘하는 습관과 요령을 가르치자.”
童規-敎習 29 “글씨를 반듯하게 쓰도록 가르친다.”
童規-敎習 30 “인성의 토양을 ‘사람다움’에 두고 가르친다.”
童規-敎習 31 “명예名譽와 실용實用을 공히 지향한다.”
童規-敎習 32 “가정교육의 격格을 세우는 일.”
童規-敎習 33 “소학小學공부의 의의.”
童規-敎習 34 “이른바 후사서後四書 공부의 의의.”
童規-敎習 35 “나쁜 습벽은 스스로 고쳐나가야 한다.”
童規-敎習 36 “절제와 근면을 실천토록 가르친다.”
童規-敎習 37 “신중함을 실천토록 가르친다.”
童規-敎習 38 “스스로 면학을 실천하도록 격려한다.”

3. 어른을 공경함〔敬長경장〕
童規-敬長 1 “교만을 경계하도록 가르친다.”
童規-敬長 2 “자녀의 잘못은 즉시 잡아줘야 한다.”
童規-敬長 3 “공경과 사랑으로 부모를 섬기도록 가르친다.”
童規-敬長 4 “스승을 공경하도록 가르친다.”
童規-敬長 5 “상대를 존중하도록 가르친다.”
童規-敬長 6 “나이가 위인 사람을 윗대접을 하도록 가르친다.”
童規-敬長 7 “어른을 분별, 대접하도록 가르친다.”
童規-敬長 8 “어른들 존중하는 태도를 가르친다.”
童規-敬長 9 “어른들 존중하는 태도를 가르친다.”
童規-敬長 10 “어른들 존중하는 태도를 가르친다.”
童規-敬長 11 “어른들 존중하는 태도를 가르친다.”
童規-敬長 12 “어른들 존중하는 태도를 가르친다.”
童規-敬長 13 “남을 보살펴줄 땐 따뜻한 마음으로 하도록 가르친다.”
童規-敬長 14 “자신의 일은 스스로 하되 남도 도울 줄 알게 가르쳐야 한다.”
童規-敬長 15 “어른 말씀 중 끼어들지 않도록 가르쳐야 한다.”
童規-敬長 16 “어른 대접할 줄 알게 가르쳐야 한다.”
童規-敬長 17 “어른 대접할 줄 알게 가르쳐야 한다.”
童規-敬長 18 “어른 대접할 줄 알게 가르쳐야 한다.”
童規-敬長 19 “어른 대접할 줄 알게 가르쳐야 한다.”
童規-敬長 20 “개방적 창조적 가족문화를 실천으로 가르친다.”
童規-敬長 21 “바른 법도를 실천으로 가르친다.”
童規-敬長 22 “바른 법도를 실천으로 가르친다.”
童規-敬長 23 “바른 법도를 실천으로 가르친다.”

4. 이런 일 저런 일〔事物사물〕
童規-事物 1 “바른 학습태도를 가르친다.”
童規-事物 2 “바른 생활 태도를 가르친다.”
童規-事物 3 “바른 마음씨를 가지도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4 “나쁜 습관을 자제토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5 “바른 교육풍토를 조성하여야 한다.”
童規-事物 6 “욕심을 부리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7 “형제 우애는 일찍 가르쳐야 한다.”
童規-事物 8 “나쁜 습관은 고치도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9 “유희에 집착하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10 “유희에 집착하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11 “책 사랑이 성공의 길임을 가르친다.”
童規-事物 12 “바른 마음씨를 가지도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13 “바른 학습태도를 가르친다.”
童規-事物 14 “나쁜 습관은 고쳐 가르친다.”
童規-事物 15 “바른 습관을 가지도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16 “규칙적 생활태도를 갖도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17 “바른 학습태도를 가르친다.”
童規-事物 18 “나쁜 버릇은 고쳐 가르친다.”
童規-事物 19 “나쁜 습관은 고쳐 가르친다.”
童規-事物 20 “나쁜 습관은 고쳐 가르친다.”
童規-事物 21 “나쁜 습관은 고쳐 가르친다.”
童規-事物 22 “유희에 빠지지 않도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23 “나쁜 습관은 고쳐 가르친다.”
童規-事物 24 “나쁜 습관은 고쳐 가르친다.”
童規-事物 25 “나쁜 습관은 고쳐 가르친다.”
童規-事物 26 “나쁜 습관은 고쳐 가르친다.”
童規-事物 27 “바른 학습태도를 가르친다.”
童規-事物 28 “부모 섬김의 정성을 익히도록 가르친다.”
童規-事物 29 “손님 접대의 태도를 가르친다.”
童規-事物 30 “자녀의 장래를 위한 교육을 하라.”
童規-事物 31 “바르고 고운 마음씨를 가르친다.”

저자소개

이덕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후기 『관독일기』, 『편찬잡고』, 『청비록』 등을 저술한 유학자이자 실학자이다. 1741년(영조 17)에 태어나 1793년(정조 17)에 사망했다. 독학으로 경서와 사서 및 고금의 기문이서에 통달했다. 문장도 뛰어나 명성이 중국에까지 알려질 정도였다. 북학파 실학자들과 깊이 교유했고 중국 고증학 대가들의 저서에 심취해 서장관으로 연경에 가서 청의 문물에 대해 자세히 기록해오고 고증학 관련 책들도 들여왔다. 서자여서 크게 중용되지 못했으나 규장각 검서관으로서 많은 서적의 정리와 교감에 종사했다. 글씨와 그림에도 뛰어났다.
펼치기
김윤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국제대학교 교수
펼치기
김종권 (해설)    정보 더보기
펼치기
조인상 (해설)    정보 더보기
오산대학교 교수
펼치기
황효숙 (해설)    정보 더보기
국제대학교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