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img_thumb2/9791128864995.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4995
· 쪽수 : 558쪽
· 출판일 : 2022-10-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디지털미디어-소비-젠더, 관계의 탐색 / 이동후
1부 미디어와 소비
01 커머스와 미디어, 이종 생태계의 결합과 진화 / 최선영
온라이프 시대의 디지털 커머스
디지털 커머스 시장의 성장
디지털 커머스 진화의 특징
콘텐츠 마케팅의 진화
미디어 커머스 이용 경험
디지털 커머스 주요 이슈와 전망
참고문헌
02 플랫폼 공연 유통과 온라인 콘서트 소비 / 오현주
온라인 콘서트 현황
온라인 콘서트를 소비하는 관객들
콘서트 소비의 차이: 장소와 현장성 & 사람
문화콘텐츠, 온라인 플랫폼 소비에 한계
참고문헌
03 어린이들의 유튜브 이용과 영향 / 반옥숙
디지털 미디어 이용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 배경 : 제작 및 수익 구조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 현황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 영향 : 모방과 학습
유튜브 콘텐츠 이용과 어린이의 성(性) 정체감 형성
어린이의 건강한 유튜브 이용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04 온라인 사과 문화와 진정성의 소비 / 강보라
온라인 사과 문화?
유명인, 인플루언서, 평판경제
진정성 개념의 변화와 온라인에서의 진정성
진정성이 소비자와 만나는 곳
영원한 구경꾼은 없다
참고문헌
2부 소비와 젠더
05 방송 플랫폼의 다변화와 콘텐츠 소비 변화 그리고 젠더 / 정사강 · 백지연
OTT 서비스는 어떻게 'Over The Top'이 되었나
나는 '어디'에서 '무엇'을 '어떻게' 본다
알고리즘, 플랫폼의 전략 그리고 나와의 관계
무한해 보이는 콘텐츠, 다양한 읽기는 가능할까
페미니즘 관점에서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배제하기, 불편해지지 않고 힘을 얻기
참고문헌
06 젠더화된 게임 소비와 디지털 문화 / 홍남희
여성의 게임 소비와 남성성
게임과 젠더화된 독성 문화
네트워크 미디어 환경에서 여성의 대응
여성 게이머의 가시화와 변화 조짐
참고문헌
07 로맨스 웹소설을 읽는다는 것 / 윤현정
여성 선호 장르에 대한 전통적 인식
로맨스 소설에서 로맨스 웹소설로
PC통신문학, 인터넷 소설, 웹소설
성별에 따른 선호 장르
왜 여성들은 로맨스 소설을 읽는가?
로맨스 소설의 장르적 속성은 변화했는가?
태그로 읽는 로맨스 웹소설
막장 드라마를 보는 이유
조롱적 시청에서 유희적 댓글놀이로
새로운 변화
참고문헌
08 “혹시…뭐 돼?”: PC 묻은 퀴어물의 소비 / 차유리 · 김정남
OTT 이용자의 퀴어물 소비 과정상 반발 심리와 효과
결과주의 윤리관과 퀴어 친화적 태도를 매개하는 자유 위협감 및 문제해결 상황적 제약인식의 조절 효과
청개구리가 되지 않는 법: 관련 행동주의자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09 주체성 신장인가, 현대판 갈라테이아 탄생인가 / 문현영
가상 인플루언서의 탄생과 여성 독점
디지털 소비와 여성
여성 소비자 권력의 표현일까? 여성의 도구화일까?
로지는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을까?
가상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은 '현실'
참고문헌
3부 정동, 돌봄, 그리고 공동체
10 팬데믹 속 미디어 소비와 치유의 정동 / 김은진
<전원일기>를 지금 보는 이유
드라마 <전원일기>
정동 이론과 미디어
감각-익숙함과 편안함, 그리고 안전함
정동-불안으로부터의 대피
의미-치유와 회복의 코나투스(conatus)
엔데믹(Endemic)과 새로운 정동
참고문헌
11 반려동물 돌봄과 인터넷 소비 / 한희정
반려동물 돌봄, 새로운 소비의 시작
소비의 철학적, 사회학적 의미
반려동물 돌봄과 인터넷 소비
동물권 신장과 함께 해야 할 인터넷 소비
참고문헌
12 취미 발레 커뮤니티와 소비 / 권경은
미디어 소비
소셜과 소비
소셜과 소비가 교차하는 세 가지 방식
참고문헌
13 지진 재난 속 여성 돌봄자들의 지역기반 소셜미디어 이용과 연대 / 김진희 · 서미혜 · 김용찬 지진 재난과 자아 불확실성(self-uncertainty)
내집단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자아 불확실성 누그러뜨리기
내집단 규범 위반에 대한 부정적 반응
무분별한 동조(conformity) 경계 필요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보스턴컨설팅그룹은 <2022 세일즈 및 마케팅의 미래> 보고서에서 소비자 행동 진화가 더 다양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 보고서는 초개인화, 실시간, 편리성, 첨단기술 경험, 커뮤니티 연결성, 지속가능성 등과 같은 가치가 소비 활동과 더욱 연결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온라인 경험이 익숙해진 소비자는 맞춤형 구매 제안이나 할인을 위해 개인정보를 공유할 의사가 있고 제품뿐 아니라 결제, 배송, A/S 등 구매 과정이 소비의 중요한 고려사항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_ “01 커머스와 미디어, 이종 생태계의 결합과 진화” 중에서
어린이가 출연하지 않는 일반 채널로 운영되고 있지만 주시청층은 어린이들이며, 재생 목록의 대부분은 젤리, 매운 음식, 초콜릿 등 자극적인 간식을 먹으며 리뷰하는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인기 동영상의 경우 5억∼7억 뷰를 상회하는 조회수를 확인할 수 있는데, 얼굴만한 크기의 '눈알젤리'를 먹거나 어린이들이 섭취하기 어려운 '매운 라면'을 먹는 영상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_ “03 어린이들의 유튜브 이용과 영향” 중에서
능력주의에 기반한 게임 디자인은 경쟁과 순위 매기기를 필연적으로 구조화한다. 여기서 여성 게이머는 '게임을 못하고', '남성의 도움을 받아 레벨을 올리는' 무임 승차자로 규정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 게이머는 한국의 게임 장에서 '혜지'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_ “06 젠더화된 게임 소비와 디지털 문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