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img_thumb2/9791192169101.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에세이
· ISBN : 9791192169101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2-09-2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006
001 들어가며
우리는 학교에 무엇을 기대하는가 015
어떤 교사들의 딜레마 030
1부 교실이라는 정글
102 한 교실 속의 두 세계
모든 수업이 의미 없는 ‘널브러진 애들’ 043
어떤 수업은 필요 없는 ‘공부하는 애들’ 059
103 학생들의 분노와 학교 폭력
섬바디와 노바디의 먹이사슬 073
건드리면 폭발한다, 적대화되는 교사와 학생 083
‘착한 아이들’은 어떻게 두려운 학생들이 되었나 095
104 서로를 믿지 못하는 교사와 학부모
입시 앞에선 무력해지는 협력 관계 113
누가 내 아이를 지켜주나 125
2부 교무실, 침묵의 공간
205 혼자 바쁜 교사들
두 교사의 하루 139
교사의 ‘진짜’ 일은 퇴근 시간 후에 시작된다 152
206 토론이 사라진 교무실
벌떡 교사의 멸종 163
혼자 맞서야 하는 교사들 173
교사들의 대화에 교육이 없다 180
207 교사, 교무실의 외로운 섬들
‘내 수업’을 할 수 없는 교사들 195
무한책임과 무책임으로 나뉜 교무실 213
3부 성장 대신 무기력만 남은 학교
308 교사들은 어떻게 ‘순응’하게 되었나
같은 교사, 다른 신분 233
교직이 아직도 철 밥그릇이라고? 242
성과급, 돈이 아니라 가치를 둘러싼 싸움 249
309 교무실의 세대 갈등, 이어지지 않는 경험
불화했던 선배 교사와 순응하는 후배 교사 259
‘꼴통’ 편인 선배 교사 대 ‘범생이’ 후배 교사 272
010 학교는 다시 가르침의 공간이 될 수 있을까
침묵, 자신과 타인을 지키는 방법 289
타자와 만나지 않고 교육은 불가능하다 296
교사들이 둥그렇게 모여 앉아야 하는 이유 310
참고문헌 322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들에게 인문학 공부는 해결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이 꽉 막힌 현재의 상황이 왜 이렇게까지 되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는 더 이상 발견할 수 없는 ‘삶의 의미’를 찾고 싶어했다. 이들은 이제 학교에서는 자신들이 원하는 배움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도 학교 안에서는 배움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교탁 앞까지 나와 답을 외치며 점수 달라고 소리소리 지르고, 어차피 해도 점수 따기 그른 녀석들은 수업을 방해하기 시작했죠. 노래를 부르고 핸드폰을 꺼내 게임을 하고 바닥에 엎드려 자고……. 아비규환이 따로 없었어요. 더 이상 수업을 진행할 수 없어서 입을 다물었어요. 그 순간 왈칵 눈물이 솟더군요. 이게 뭔가, 내가 지금 여기서 뭘 하고 있지?
이름만 적힌 출석부는 집어치우고 사진을 보면서 외웠죠. 그랬더니 학생들이 신기해하더군요. 학생들이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어요. 생활기록부에 있는 자기 사진이 마음에 안 든다고 다른 사진을 주는 아이들도 있었어요. 또 “이름을 왜 불러요?”라고 묻는 학생들도 있었어요. “제 이름 뭐게요?”라고 테스트하는 학생들도 있죠. 그렇게 한 이후부터 수업이 잘되고 있어요. 이제 아이들이 수업 내용을 들어주는 것 같아요. 고맙게도 들어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