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88613962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0-12-28
책 소개
목차
엮은이의 말 _ 재난 속에서도 삶을 기획할 용기
1부 다시, 교육이란 무엇인가
온라인 수업이 교육에 던지는 질문│이충일
온라인 학습과 새로운 교육의 상상력│김성우
교육, 서로를 연결하는 일│현병호
장기 비상시대의 교육│정형철
2부 재난의 시대, 아이들의 몸과 마음 돌보기
재난의 시대를 사는 어느 가족 이야기│문선종
이 아이들의 몸과 마음은 누가 돌보나│성태숙
비대면 시대의 체육 수업│김의진
놀이 현장에서 만난 걱정과 희망│최재훈
우리 몸의 면역계와 아이들의 몸│이낙원
3부 그럼에도 연결되기를 바라는
코로나 시대에 친구 사귀기│성화숙
코로나 19가 만들어준 밀도 높은 만남│김경옥
이 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부모의 역할│이현주
교사와 아이들, 온오프를 넘나들며 관계 맺기│송주현
4부 재난사회와 교육의 전환
우리는 서로의 환경이다│장희숙
변화는 주변에서부터│곽진아
기후위기와 교육의 생태적 전환│한윤정
재난은 사회를 어떻게 바꾸는가│엄기호
삶의 전환, 교육의 전환│조한혜정
저자소개
책속에서
잠시 코로나 이후의 학교 모습을 상상해보자. 수업에 걸림돌이 되었던 각종 디지털 기자재가 확충되고, 온라인 교수학습 플랫폼도 다양하게 구축되고, 교사들은 능숙한 디지털 사용자가 되기 위해 자기계발에 매진할 것이다. 개별화 교육에 대한 고민도 심도 있게 이루어질 테다. 온라인을 통한 학생, 학부모와의 관계 맺기, 학교 행사 추진 등도 다양한 형식들이 제기될 것이다. 하지만 배움과 교육이라는 궁극적인 물음과 마주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노력도 유통기한이 오래가지는 못할 것이다. 요컨대 ‘지식 전달 중심의 입시교육’이라는 목표가 변하지 않는다면, 디지털은 오히려 학교의 종언을 앞당기는 빌미가 될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_<온라인 수업이 교육에 던지는 질문>, 이충일
이렇게 난리를 치고 있는데, 저 멀리 문 닫힌 학교는 휑한 채로 아무 말이 없다. 그저, 학교에 오지 마세요, 언제까지 온라인 수업을 들으세요, 숙제를 해서 어디에 어떻게 올리세요, 뭐 하세요, 뭐 하세요. 끝도 없이 뭘 그렇게 해내라고만 한다. (...) 교문을 닫는다고 아이들이 사라지는 게 아닌 줄 뻔히 알면서, 너희들은 어디서 놀고 어떻게 지내고 있니, 살갑게 묻는 법이 없다. ‘어쩔 수 없지, 네 엄마 아빠가 알아서 잘 돌봐야지’ 그렇게 생각하는 모양이다. 그러니 아이들이 그런다. 세상에 부모 잘못 만난 아이들 서러워서 살겠냐고. 불행인지 다행인지, 아이들은 아직 모르는 모양이다. 사실은 사회를 잘못 만난 건데 말이다. _<이 아이들의 몸과 마음은 누가 돌보나>, 성태숙
등교 개학을 하자마자 아이들은 집에 돌아와 누구누구를 만났는지, 어떤 새로운 친구를 사귀었는지 그 소식부터 전했다. 전화 통화로만 이야기 나눴던 담임선생님을 직접 만난 이야기도 신나게 했다. 한 번의 등교 이후 한 교실에 스무 명도 많다고 한 반의 등교 일을 다시 요일별로 나누자 “그러면 학교에 가도 못 만나는 반 친구들이 있다는 거야?” 하면서 아쉬워하는 아이를 보면서 놀랐다. 그동안 교실 안에서의 관계가 아이들에게 주는 피로감이 더 클 거라고 생각했는데 아이들은 관계에 대한 기대가 더 컸다. 또래를 만나지 못하는 동안 느낄 고독감과 소외감은 아마 이 시절이 지난 뒤에 어떤 비용을 들여도 메우기 어렵지 않을까 싶다. _<이 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부모의 역할>, 이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