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담론의 계보와 미래

동아시아담론의 계보와 미래

(대안체제의 길)

백영서 (지은이)
나남출판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220원
21,780원 >
20,900원 -5% 0원
카드할인 10%
2,090원
18,8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담론의 계보와 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담론의 계보와 미래 (대안체제의 길)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92275086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2-09-05

책 소개

동아시아 대안체제론, 그 백 년의 사상적 계보와 나아갈 길을 탐구하다. 수십 년간 동아시아담론 연구에 천착한 백영서 연세대 명예교수는 동아시아 대안체제론의 사상적 계보를 추적하고, 세계적 차원의 과제까지 시야를 확장하는 담론의 혁신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 이 책을 기획했다.

목차

책을 펴내며 5
프롤로그 11

제 1부 동아시아담론이 온 길: 대안체제론을 중심으로

1장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동아시아담론의 탄생
1. 《동양평화론》이란 텍스트 28
2. 20세기 초 한국 사상계 지형 속의 위치 33
3. 현재적 의미 40
4. 동아시아 대안체제론의 원천 44

2장 일제강점기 개벽사상과 대안문명론: 〈개벽〉을 중심으로
1. 세계 대개조 시기 〈개벽〉의 창간 49
2. 〈개벽〉이라는 텍스트와 이동곡 54
3. 정세론 58
4. 문명론 66
5. 1920년대 한국 사상계 지형 속의 위치 75
6. 동아시아 대안체제론의 연결고리 85

3장 냉전기 동아시아론의 분기(分岐): 〈사상계〉와 〈청맥〉을 중심으로
1. 해방 직후 아시아론의 현장 89
2. 〈사상계〉의 동양/아시아론 94
3. 4ㆍ19혁명의 영향: 아시아 민족주의의 재인식과 새로운 민족문화 건설 107
4. 〈청맥〉의 동아시아론: 〈사상계〉와의 비교 117
5. 냉전기 동아시아론의 의의와 한계: 동아시아 대안체제론에서의 위치 131

4장 탈냉전기 동아시아담론의 귀환: 〈창비〉를 중심으로
1. 균열하는 냉전 시기의 탈냉전 선취 145
2. 탈냉전기의 사상적 고투와 대안체제 165
3. 동아시아 대안체제론의 사상사적 위치 183

제 2부 동아시아담론이 갈 길: 미시적 분석

5장 동아시아, ‘지적 실험’에서 ‘실천과제’로

6장 연동하는 동아시아의 이중적 주변과 핵심현장
1. 이중적 주변의 시각이란? 209
2. 핵심현장, 왜 제기했나? 216
3. 핵심현장에 관한 다양한 반응 221
4. 핵심현장이 감당할 과제 225

7장 주권의 재구성과 복합국가론
1. 왜 복합국가론인가? 237
2. 복합국가론의 계보: 천관우와 백낙청 242
3. 복합국가로의 확장과 동아시아 250
4. 복합국가론의 의의와 동아시아담론의 과제 258

에필로그 271
찾아보기 291

저자소개

백영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세교연구소 이사장.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사학과에서 중국현대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림대학교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학술 활동으로 현대중국학회 회장, 중국근현대사학회 회장을, 사회 활동으로 계간 『창작과비평』 주간을 역임했다. 세계중국학공헌상(2023년)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나남출판), 『중국현대사를 만든 세 가지 사건: 1919, 1949, 1989』(창비), 『사회인문학의 길: 제도로서의 학문, 운동으로서의 학문』(창비),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공생사회를 위한 실천과제』(창비), 『동아시아의 귀환: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창비), 『중국현대대학문화연구: 정체성 위기와 사회변혁』(일조각) 등이 있고, 『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책과함께), 『생각하고 저항하는 이를 위하여: 리영희 선집』(창비), 『내일을 읽는 한·중 관계사』(알에이치코리아), 『한국의 미美를 읽다』(연립서가), 『한국의 마음心을 읽다』(독개비) 등 다수의 책을 엮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