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사/연극.희극론/연극비평
· ISBN : 9791192404165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22-11-09
책 소개
목차
● 읽어두기 2
● 서두언 박근형 _배우가 되게 해주는 시스템 4
● 추천사 배종옥 _스타니스랍스키 7
● 배우·교수의 코멘트
강양은 _경하드려요 12
김명국 _이 책을 교재로 하여 함께 공부하고 싶다 13
김현희 _목표를 내포하는 소제목이 궁금증과 핵심 14
배민희 _시스템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첫 발걸음 15
유지인 _흥미를 일으키고 가슴 설레게 16
차두옥 _연기의 바이블 17
● 감수의 말 나상만 _이 땅의 진정한 연기자들을 위하여 22
● 책머리에 이종한 26
제1권 배우수업
1장 첫 시험 The First Test 38
2장 연기가 예술일 때 When Acting is an Art 46
3장 행동 Action 55
3-1장 <행동>의 장에 대한 보충 66
4장 상상력 Imagination 73
5장 주의집중 Concentration of Attention 83
6장 근육의 이완 Relaxation of Muscles 95
7장 비트와 과제 Bits and Tasks 102
8장 신뢰와 진실의 감각 Faith and a Sense of Truth 108
8-1장 배우의 순박성 126
9장 정서 기억 Emotion Memory 132
10장 교류 Communication 147
10-1장 <교류>의 장에 대한 보충 163
11장 적응 Adaptation 173
11-1장 배우와 관객의 상호관계 185
12장 내적 원동력 Inner Motive Forces 189
13장 끊어지지 않는 선 The Unbroken Line 194
14장 내적 창조 상태 The Inner Creative State 201
15장 초과제 The Super Task 208
16장 잠재의식의 문턱에서 On The Threshold of The Subconscious 214
제2권 성격구축
1장 신체적 인물화 Toward A Physical Characterization 240
2장 인물에 옷 입히기 Dressing A Character 242
3장 인물과 유형 Characters And Types 246
4장 표현력 있는 몸 만들기 Making The Body Expressive 252
5장 동작의 유연성 Plasticity of Motion 258
6장 절제와 통제 Restraint and Cotrol 270
7장 화법과 노래 부르기 Diction and Singing 275
8장 억양과 포즈 Intonations and Pauses 289
9장 강세: 표현적인 단어 Accentuation: The Expressive Word 315
10장 성격 형상화의 퍼스펙티브Perspective In Chracter Building 329
11장 움직임의 템포와 리듬 Tempo-Rhythem In Movement 336
12장 화술에서의 템포-리듬 Speech Tempo-Rhythm 363
13장 무대 매력 Stage Charm 382
14장 연극윤리 Toward An Ethics For The Teatre 386
15장 성취의 도표화 Patterns Of Accomplishment 391
16장 연기에 관한 몇 가지 결론 Some Conclusion On Acting 402
제3권 역할창조
제1부 그리보예도프의 <지혜의 슬픔> Griboyedov's
1장 연구 시기 The Period of Study 416
2장 정서적 경험의 시기 The Period Of Emotional Experience 442
3장 신체적 구현의 시기 The Period of Physical Embodiment 468
제2부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4장 작품과의 첫 만남 Fist Aquaintance 482
5장 역할의 신체적 삶 창조 Creating the Physical Life of a Role 494
6장 분석 A nalysis 507
7장 작업결과 확인 및 요약 Checking Work done and Summing up 533
제3부 고골리의 <검찰관> Gogol's The Inspector General
8장 신체행동을 생생한 이미지로 from physical actions to living image 548
부록 Appendices
A <역할창조> 보충 Supplement to Creating a Role 586
B <오셀로>의 연출플랜 Improvisations of on Othello 592
● 미주 616
● 참고서적 621
책속에서
1. 우리의 첫 수업(our first lesson)
토르초프 연출선생은 첫 수업을 시작하면서 우리들과 친해지고 싶으니 마음에 드는 희곡의 한 부분을 연기해 보여 달라고 선언을 해서 우리는 모두 어리둥절하고 별로 달가워하지 않는다. 소극장 배우 경력이 있는 그리샤와 소냐와 바냐만 찬성을 한다. 그러나 우리 모두는 차츰 이 시험
이 재미도 있고 꼭 필요하다고 느끼게 된다.
나(코스챠)는 <오셀로>의 오셀로 역을 맡고, 폴이 이야고 역을 맡기로 한다.
1) 집에서의 연습(exercises at home)
나는 집에 돌아와서 <오셀로> 대본을 꺼내서 책 읽기를 시작하는데행동의 충동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편지 칼을 허리에 차고 목욕수건을 터번으로 쓰고 시트를 가운처럼 걸치고 쟁반으로 방패를 드니 무사가 된 느낌이 들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거의 5시간을 연습하고 밤 늦게 잠자리에 든다.
2. 예술가 인생의 첫 연습(first rehearsal in an artist's life)
나는 평소보다 너무 늦게 잠을 깨서 허겁지겁 학교에 가니 모두가 예행연습을 못하고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너무 당황하여 사과도 못하고 “좀 늦었네요” 하고 얼버무리다가 라흐마노프 조연출에게 무섭게 혼쭐이 난다. 나 때문에 모두의 창조욕구가 허물어졌다며, 우리는 집단작업을 해야 하므로 철저히 규율을 지키라는 경고를 받는다. 우리의 ‘예술가 인생의 첫 연습’이 나의 잘못으로 엉망이 되어, 나는 앞으로 15분 전에 꼭 도착하겠다는 맹세를 하고, 내일의 연습을 기원한다.
* * *
밤에 집에서 다시 연습을 해본다. 초코렛을 버터로 녹이니 갈색의 죽이 된다. 그것을 얼굴에 바르자 내가 무어인으로 변한다. 그래서 분장을 하고 의상도 입고 반복해서 연습을 하는데 생김새는 비슷해도 무언가 핵심 빠진 느낌이 든다.
11-1장 스타니스랍스키의 <배우수업> 유고 _ 배우와 관객의 상호관계
1. 분장실에서의 휴식
분장실에서의 휴식시간에 배우와 연출가의 아래의 대화를 살펴보자.
배우 : 나는 울었는데 관객은 감동하지 않은 이유가 뭐지요?
연출 : 당신 옆에 있는 배우도 울었나요?
배우 : 기억나지 않습니다. 옆의 배우에게 조금도 신경을 쓰지 않았으니까요.
연출 : 당신의 체험이 상대 배우에게 전해졌는지가 생각나지 않는다구요?
배우 : 난 흥분해서 관객에게만 주의 집중해서 다른 배우의 일은 생각나지 않습니다.
연기에 열중해서 나 자신과 관객의 일만 생각한 것입니다.
연출 : 무엇을 위해서 무대에 올랐는지는 생각했을 것 아닙니까?
배우 : 무엇을 위해 무대에 오르다니 무슨 의미지요?
연출 : 당신은 희곡의 등장인물과 관계를 갖기 위해 무대에 오른 거지요. 무대에 오르는 배우에게 그 외의 어떤 목적이 있습니까?
배우 : 하지만 관객은요?
1) 배우의 연기는 관객을 위해서 하는가?
연출가는 배우가 상대역에게 자기의 느낌을 전하여 움직일 수 있다면 관객의 마음도 움직일 수 있고, 자기 느낌이 옆에 있는 상대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멀리 있는 관객에게 전달하기는 더 어려우니 먼 관객보다는 옆의 등장인물에게 감정전달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라고 한다. 배우는 우리가 연기를 하는 것은 관객을 위해서지 동료 배우를 위해서가 아니라고 한다. 동료와는 연습 때 실컷 했으니, 이제 작가가 우리에게 원하는 것은 우리가 관객에게 가까이 가라는 것이라고 항변한다.
6장 절제와 통제(Restraint and Control)
1. 제스처(gestures)
1) 과잉 제스처 없애기(rid oneself of superflous gestures)
종이에 그림을 그릴 때 종이 위에 낙서나 얼룩이 있으면 그것부터 지우고 그림을 그려야 한다. 좋은 그림을 그리려면 무엇보다 먼저 깨끗한 화폭이 있어야 된다. 배우가 하는 연기도 마찬가지니 쓸데없는 제스처를 늘어놓는 배우의 연기는 지저분한 종이와 같다. 배우가 내적 삶을 형상화하기 전에 자기의 쓸데없는 ‘과잉제스처 없애기’를 해야 한다. 배우가 자신이 제스처를 통제해야지 제스처가 자신을 통제해서는 안 된다.
2) 이질적 감상 제거(get rid of every sentiment alien)
배우는 역에 어울리지 않거나 장애가 되는 모든 감상을 제거해야 한다. 자기감정에 못 이겨서 목소리가 갈라지고 혼란스러움을 극복하지 못하면 안 된다. 스스로 감동받는 연기가 아니고 관객을 감동시키기 위한 연기를 해야 한다. 배우는 항상 모든 내재된 힘을 비축한 상태에서 맡은 역의 삶을 연기하다가 집중적인 힘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역할을 제대로 연기하고 있으면서도 뭔가 모자란다는 생각에 이질적인 감상과 불필요한 제스처를 사용해서 연기를 애매하고 불분명하게 만드는 배우가 많다. 그래서 훌륭한 자질을 관객에게 보여주는 것을 스스로 방해하여 스스로가 자신의 최악의 적을 만들게 된다.
3) 좋은 포도주에 물타는 배역 희석 (dilutes a part as water does good wine)
과도한 제스처의 사용은 ‘좋은 포도주에 물을 타서 배역을 희석’시키는 것과 같다. 값비싸고 좋은 포도주에 물을 타면 색깔과 맛이 희석되어 포도주를 망치게 되듯이 배역의 진정한 흐름이 과도한 제스처의 혼돈으로 배우의 좋은 연기를 망치고 마는 어리석음을 저질러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