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251918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11-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___4
2023년 콘텐츠 트렌드 키워드 12 ___14
Chapter.1 K-콘텐츠를 넘어 진짜 한국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OTT 주가 쇼크부터 디즈니의 마블 피로도까지 ___23
넷플릭스의 선택과 집중은 아시아와 K-콘텐츠 ___31
이제 OTT에서도 광고를? ___41
동서양 OTT가 결탁한 사정 ___53
한국과 한국인, 한국의 ‘Something’까지 궁금해! ___60
· 박민엽|길픽쳐스 대표, 드라마 PD / K-드라마, ‘이야기 자체의 힘’만으로 글로벌에 통하다 ___68
· 한정훈|JTBC 미디어 전문 기자 / 플랫폼은 죽고 콘텐츠는 사는 시대 ___27
Chapter.2 런닝맨-복면가왕-너목보를 지나 OTT 날개 단 K-예능
전 세계는 지금 ‘K-데이팅 리얼리티 쇼’ 앓이 중 ___79
K-예능의 레전드 포맷 변천사 ___83
솔로지옥으로 본 K-예능의 OTT 성공 법칙 ___98
TV 스타들, 유튜브 신대륙으로 대거 이동 ___106
· 지현숙|예능 작가 / K-예능의 탄생, 새로운 소재가 아닌 새로운 인물의 발굴 ___116
Chapter.3 어느 날 인스타에서 내 지인들이 사라졌다
동영상 플랫폼이 돼가는 소셜 네트워크 ___121
스낵형 미디어에서 비즈니스의 중심이 된 숏폼 ___134
스케치 코미디, 숏폼의 최강자는 바로 나 ___140
인생샷은 이제 그만, ‘리얼’을 향해가는 SNS ___148
크리에이터의 두 가지 무기: 커뮤니티와 찐팬 ___153
#HowtoMakeMoney, 이번엔 마이크로 실전 팁! ___162
· 너덜트|유튜브 크리에이터 / 유튜브 코믹 숏무비의 시작, ‘코믹+숏+공감’ ___171
· 최원준|케타포 대표 / K-팝 콘텐츠란 팬들과 연결되는 모든 것 ___174
Chapter.4 원작의 출발지에서 콘텐츠의 종착지가 된 K-웹툰
K-웹툰, 글로벌을 뒤흔들다 ___181
IP 확보, 총성 없는 전쟁이 시작되다 ___191
국내 웹툰 시장에 불어온 변화의 바람 ___204
미디어의 경계를 넘나드는 웹툰의 콘텐츠 확장 ___213
· 한산이가|웹소설 작가 / 나와 내 직업의 이야기가 ‘대중의 콘텐츠’가 되는 순간 ___225
· 비자|인스타툰 작가 / 결국 콘텐츠의 본질은 그 안에 담기는 이야기 ___228
Chapter.5 K-게임, 제2의 비상을 준비하다
게임 한류, 부활에 성공할 수 있을까? ___235
한국에선 콘솔이 안 된다고 누가 그랬나 ___253
마이크로소프트가 블리자드를 원했던 이유 ___261
LoL, LCK, 롤드컵, 트위치, ‘ㅁㅍ’를 아시나요? ___269
· 변지훈|111% 블록체인 게임 계열사 대표 / 심플함과 스피드로 글로벌 유저를 잡아라 ___280
Chapter.6 가장 현실적인 가상현실, 메타버스
메타버스 프롤로그 ___287
#HowtoMakeMoney @메타버스 1. ‘이것’ 해서 돈 번다 ___295
#HowtoMakeMoney @메타버스 2. 초기 플랫폼 선점 ___302
메타버스에 사는 또 다른 이들, 버추얼 인플루언서 ___310
메타버스 문화의 꽃, NFT ___323
· 오제욱|디오비스튜디오 대표 / 버추얼 휴먼의 경쟁력은 외면이 아닌 내면의 스토리텔링 ___330
감사의 말 ___334
리뷰
책속에서
2022년 현재 상황은 어떤가. 전 세계는 넷플릭스의 어닝 쇼크와 연결 지어, OTT 산업의 성장 정체를 우려한다. 2022년 7월을 기준으로 넷플릭스의 주가는 지난해 〈오징어 게임〉 효과로 최고치를 찍었을 때와 대비해 채 30%도 안 되는 수준이니 말 그대로 폭락이다. 이는 올해 상반기 미국 증시의 시총이 9조 달러 증발한 와중에도 눈에 띄는 하락 폭이다.
그동안 디즈니플러스나 쿠팡플레이에 비해 K-예능은 약하다는 평이 거슬렸던 걸까. 2022년 7월에는 보란 듯이 ‘한국 예능 상견례’라는 쌈박한 이름의 오프라인 행사를 열어 앞으로는 한두 달에 1편씩 새로운 K-예능 오리지널을 공개하겠다는 전략과 콘텐츠 라인업을 대대적으로 발표했다. 이쯤 하면 넷플릭스의 주가 하락이나 비용 감축이 K-콘텐츠와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없을 것으로 쉽게 추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