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더 나은 오늘을 위한 불교 강의](/img_thumb2/979119262807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불교철학
· ISBN : 9791192628073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2-08-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_ 「계초심학인문」은 어떤 글인가?
갓 출가한 이를 경계함 [「계초심학인문」 전문]
1부 나를 어떻게 다듬을 것인가
1장 ― 처음 마음을 일으킨 사람들에게
2장 ― 벗을 대하는 마음
3장 ― 수행자의 몸가짐(1)
4장 ― 수행자의 몸가짐(2)
5장 ― 예불의 의미
6장 ― 연기, 나누지 않는 마음
2부 세상에서 수행하기
7장 ― 다른 사람과 있을 때
8장 ― 세속에서의 몸가짐
9장 ― 선방에 머무를 때
10장 ― 법을 배우는 자세(1)
11장 ― 법을 배우는 자세(2)
12장 ― 탐진치를 딛고 정진하기
13장 ― 만나기 어려운 불법 만났으니
「계초심학인문」 낭송용 원문
저자소개
책속에서
언제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금구성언에 의존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걸 떠나서는 안 돼요. 가끔 성인의 말씀을 가볍게 여기는 사람들이 있어요. 이렇게 성인을 우습게 보고 성인의 말씀을 쉽게 취급하는 사람들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훌륭한 사람도 100년 동안 이름이 남기가 어렵습니다. 사람 많이 죽이고, 역사적인 큰일을 해서 이름을 낼 순 있겠죠. 나폴레옹이라든지, 알렉산더라든지. 그러나 그런 게 아니라 진리를 이야기하고, 삶의 이상을 이야기한 것으로 천 년, 이천 년, 몇 천 년을 인류의 스승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것이거든요. 성인이라고 일컬어지는 분들…. 부처님뿐만 아니라 공자, 예수, 소크라테스 이런 분들은 정말 위대한 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 죽인 것도 아니고 전쟁 일으킨 것도 아니고, 단지 정말 진리를 얘기하고 올바른 이상을 이야기한 것으로 몇 천 년 이름을 남긴 이런 분들의 말씀을 금구성언으로 여겨야 한다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런 분들의 말을 아주 가볍게 여기는 사람들은 정말 위험합니다.
내가 잘못해서 누군가가 잘못됐다라고 생각하는 것도 굉장한 망상이에요. 그 사람은 그 사람대로 헤쳐 나갈 줄 아는 사람인데, 나 때문에 저 사람이 잘못됐다고 생각하는 건, 정말 남을 무시하는 업장입니다. 내가 잘못한 건 반성해야 되지만, 나 때문에 저 사람의 모든 것이 결정되었다? 그런 일은 없어요. 특히 부모들이 아이에게 이런 마음을 갖기가 쉬운데, 그러면 안 돼요. 내가 잘못 키워서 애가 이렇게 됐다고 생각하는 부모가 많은데, 아니에요. 내 잘못도 있을 수 있지요. 하지만 다 내 잘못이라고 스스로 죄를 다 걸머지기 시작하면 아이를 더 잘못되게 만들어요. 아이들도 다 부처님이에요. 다 이겨 갈 만한 힘이 있습니다. 그 아이를 내가 결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 그건 오만이에요. 내 잘못을 아는 것과 그것 때문에 자책해서 죄의식에 빠지는 건 별개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불교가 마음만 먹으면 된다고 계속 주장하는 것이 참 위험한데요. 그렇게 자꾸 강조하다 보면 불교는 최면술이 됩니다. 최면을 걸어서 현실을 망각하게 하는 거예요. 불교는 최면술이 아니에요. 마음을 잘 먹어서 현실도 바꾸고 그렇게 바뀐 현실이 다시 마음을 바꾸고 하는 게 불교입니다. 마음과 현실이 둘이 아니고 세상과 내가 둘이 아닌 것이 불교지요. 그런데 지금 불교가 너무 마음타령만 합니다. 마음이 바뀌면 세상이 바뀌어야 돼요. 그리고 세상이 바뀐 만큼 마음이 바뀌는 겁니다. 이게 건강한 불교의 사고방식이란 말이죠. 부처님이 열어 놓은 연기설의 장점이 이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