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92647012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22-09-10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1장 환경사 개념
환경사의 주제
여러 학문 분과 사이에서
환경사와 낡은 역사학
2장 환경사의 선구자들
고대 세계
중세와 근대 초기의 환경 사상
20세기 초
3장 미국 환경사의 출현
자연보존에서 환경까지의 미국사
미국 환경사의 주류
환경사의 협력자들
4장 지방, 지역, 국가의 환경사
캐나다
유럽
지중해
중동과 북아프리카
인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태평양 제도
아프리카
남미
고대와 중세
결론
5장 글로벌 환경사
세계 환경사 도서
전 지구적 주요 쟁점
환경운동
세계사 교재
6장 환경사의 쟁점과 향방
전문가주의
옹호주의
환경결정론
현재주의
환경종말론
정치경제학
향후 쟁점
7장 환경사 연구 방안
연구 방법
자료조사
자료 출처
8장 환경사의 미래
미주
참고문헌
책속에서
환경사가들은 각자의 관심과 접근 방식, 역사방법론과 연구 주제 및 환경철학에 따라 다양한 집단으로 분류된다. 그들이 선택하는 주제는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 ① 환경적 요소가 인류사에 미치는 영향, ② 인간 행위가 환경에 일으킨 변화와 그 환경 변화가 인간 사회의 변화 과정에 다시 영향을 미치는 방식, ③ 인류의 환경 인식 변화와 자연을 대하는 태도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 행동을 추동하는 방식.
중세 연대기에는 환경법의 변화가 너무 무차별적이어서 일반 사람들이 싫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예컨대,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등장하는 익명의 문필가는 대규모의 왕령지 숲을 만들고 왕에게 사냥권을 부여하는 노르만의 산림법을 영국에 도입하는 것에 반대했다.
2012년, 밍펑 샤Mingfeng Xia는 중국인민대학에 생태사연구센터를 설립하고 현재까지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환경사가인 도널드 워스터가 이곳의 외국인 석좌교수로 있다. 캔자스대 학에서 환경사를 주제로 박사학위논문을 쓴 선 허우Shen Hou가 이 연구센터의 부소장이다. 중국의 다른 지방에도 여러 연구소에 환경사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생태 특수지역에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