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민주주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민주주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피지배자의 정치학 : 대의제의 민주적 개혁)

김현철 (지은이)
PARK&JEONG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민주주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주주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피지배자의 정치학 : 대의제의 민주적 개혁)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주주의
· ISBN : 9791192663234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5-09-12

책 소개

대한민국헌법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는 명제의 실천 전략이다.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어떻게 이루어 낼 것인가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서문] 피지배자의 정치학 : 어떻게 해야 민주주의를 이룰 수 있을까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추천 글]
민주주의는 결코 그냥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곽노현 전 서울시 교육청 교육감의 추천 글]
<제왕의 자리>에 ‘국민’을 앉힌 민주헌정 설계도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의 추천 글]
‘저항으로 만든 민주주의’를 넘어 ‘제도로 지켜내는 민주주의’를!

[이화영 전 경기도 부지사의 추천 글]
이렇게 쉬운 민주주의를 왜 몰랐을까

제1장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민주주의’라는 용어의 과잉과 모호함
국민주권주의의 환상 : 국민은 지배자인가, 피지배자인가
공화주의와 민주주의의 구별 : 대의제는 민주주의가 아니다
‘민주적인 것’과 ‘민주주의’의 구별
‘공화주의의 세 가지 권리’와 ‘민주주의’의 구별
혁명 이후에 대중은 왜 권력 밖으로 밀려나는가
직접민주주의 : 스위스의 시민들은 시위를 하지 않는다
인민은 자기통치를 원하는가
영웅 숭배는 어떻게 민주주의를 가로막는가
대중은 왜 지도자에게 복종하고 그를 숭배하는가
광장의 대립 : ‘여의도의 광장’과 ‘광화문의 광장’은 어떻게 다른가

제2장 대의제의 민주적 개혁

독재는 왜 옳지 않는가
‘독재의 반대’는 무엇인가
과두寡頭 독재로서의 양당체제
나쁜 선거제도와 좋은 선거제도 : 단순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
결선투표제에는 어떤 문제가 있을까
대통령제, 이원정부제, 의원내각제 : 통치구조의 우열은 구분할 수 없는 것인가
‘세습되지 않는 군주君主’로서의 대통령
‘이원정부제’는 과연 ‘분권형 대통령제’인가
의원내각제의 이해

제3장 대통령제의 종언終焉

미국식 대통령제의 ‘2기 집권 패턴’
대한민국 총선의 ‘중간 선거’적 특징
‘제왕적 대통령’은 무엇으로부터 기인하는가
국정농단은 대통령제의 본질적 특징이다
독일에서는 박정훈 대령 사건이 발발할 수 없다
‘제왕적 대통령’과 ‘무기력한 대통령’의 모순
보수당과 민주당의 적극 지지자는 각각 몇 퍼센트 정도일까
대통령제는 ‘적대적 양당 체제’를 심화시킨다
양당체제가 해결하지 못하는 주택문제, 어떻게 해야 할까
‘국민의힘’은 결코 소멸하지 않는다
대한민국의 극우파는 왜 성조기를 들고 있을까
극우파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제4장 대통령제와 비교한 의원내각제의 이해

정치란 무엇인가, 정치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노무현의 ‘대연정大聯政 파동’, 그 환상과 오류
정치적 양극화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권력을 어떻게 분산시킬 것인가
‘대통령은 내가 뽑으니까 믿을 수 있지만,
수상은 의회가 뽑으니 믿을 수 없다’는 생각의 오류
이스라엘의 수상 직선제의 실패
의원내각제를 ‘통일주체국민회의’와 동일시 해서는 안된다
‘의원내각제는 불안정한 정국을 초래한다’는 평가는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일본식 내각제와 서유럽의 내각제는 어떻게 다른가
대통령제에서 제3당은 어떤 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제5장 민주주의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

4년 중임 대통령제는 우리의 대안이 될 수 없다
총선-대선을 함께 치르는 대통령제는 최악最惡의 개헌이다
대통령제를 폐지하지 않으면 윤석열 사태는 10년 후에 재현된다
저항권을 직접민주주의로 발전시켜야 한다
조희대 코트의 5ㆍ1 사법쿠데타와 법원 개혁
검찰개혁의 방향 : 보완수사권과 보완수사요구권 논쟁
표현의 자유와 제한, 그리고 언론의 민주화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
12ㆍ3 비상계엄과 시민의 승리
계엄권의 삭제
민주주의 리터러시
인류문명의 방향

제6장 통치구조의 진화

어떤 공화정이 독재로 타락하는가
독재의 조건
진화의 규칙The Rule of Evolution
통치구조의 진화進化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현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 남원 출생으로 1980년대 말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 입학하여 학생운동으로 반정부투쟁을 하다가 옥고를 치렀다. 대학을 졸업하고 제43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사법연수원을 제33기로 수료했다. 서울지방변호사회 인권위원(2012~2015), 공익소송위원(2014~2015), 대한변호사협회 세월호진상조사단(2016~2017)으로 활동했다. 법무법인 공존을 거쳐 법무법인(유한) 케이앤씨의 변호사로 일명 대북송금 사건의 피고인 이화영(전 경기도 부지사)을 변론하였고, 현재 더불어민주당 정치검찰조작기소대응 특별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지배당한 민주주의』(르네상스 2018), 『민주주의에 관한 공화주의적 왜곡』(솔과학 2021),『나는 고발한다 : 이화영 대북송금 조작사건의 실체』(PARK&JEONG 2024)를 썼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