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2706160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3-11-2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_ 다문화/상호문화교육은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교육입니다
제1부 다문화사회 이해하기
제1장 다문화/상호문화교육이 필요한 이유
제2장 다름을 차별하는 사회
제2부 이주배경학생이 겪는 현실
제1장 학교에서 차별받는 아이들
제2장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제3부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
제1장 다문화교육
제2장 상호문화교육
제4부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제1장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가이드라인
제2장 다문화교육,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제5부 다문화/상호문화교육의 교과연계
제1장 국어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2장 영어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3장 수학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4장 사회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5장 역사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6장 지리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7장 과학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8장 기술·가정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9장 미술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10장 음악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11장 체육 교과와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12장 교과 외 창의적 체험활동과 다문화/상호문화교육
제6부 이주배경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
제1장 한국어 교육
제2장 이중언어 교육
제7부 다문화 친화적 교육환경
제1장 다문화 친화적 학교환경 만들기
제2장 다문화 친화적 사회환경 만들기
제8부 다문화 선진국의 사례 및 조언
제1장 유럽의 상호문화교실 만들기
제2장 아일랜드의 상호문화교실 만들기
제3장 캐나다의 상호문화교실 만들기
제4장 호주의 상호문화교실 만들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다문화사회에서는 모든 사람이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렇게 차이를 존중해야 한다는 신념이 곧 ‘다양성(diversity)’입니다. 이는 네이버 사전에 따르면 “모양, 빛깔, 형태, 양식 따위가 여러 가지로 많은 특성”이라는 뜻이지만, 서로의 차이를 존중해야 한다는 신념이기도 합니다. 요컨대 ‘차이는 우리가 처한 현실이고 다양성은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라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지능정보사회는 차이를 허용하라고 요구하고, 다문화사회는 차이를 존중하라고 요구합니다. 다문화교육이나 상호문화교육은 이런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려는 교육입니다.
이렇게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주민은 2020년 기준 215만 명에 이릅니다. 요컨대, 외국인주민은 한국 사회의 구조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궁여지책’으로 받아들인 사람들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한국 사회에 일정 부분 기여하는 사람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이민자들은 정부의 사회복지 정책에 따라 받는 혜택보다 노동력과 소득세 등을 통해 정부 재정에 더 많이 기여한다”라고 합니다. 지금부터라도 외국인주민과 관련해서는 ‘기여’라는 단어를 많이 떠올렸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