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295954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5-07-0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CHAPTER 1.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DEI란 무엇인가?
• 순수, 다양, 포용
• 포용의 사전적 의미
• 가장 유연하면서도 적극적인 관계 맺기
• 포용력, 생존하고 번영하는 핵심
•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DEI란 무엇인가
CHAPTER 2. 인류 역사와 포용성
오래 번영한 문명 vs. 붕괴되어 사라진 문명
• 인류의 뿌리, 아프리카
• 우리는 단일민족인가?
• 총, 균, 쇠
• 그린란드 이야기
• 포도밭의 일꾼
•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CHAPTER 3. 정치와 형평성
상생을 추구한 리더 vs. 독존을 선택한 리더
• 로마인과 제국의 조건
• 진나라와 이사의 간축객서
• 세종대왕의 부패 사건 처리
• 링컨과 오바마, 라이벌로 이루어진 팀
• 포키온의 아테네와 병자호란의 조선
CHAPTER 4. 리더십과 다양성
최고 정예를 선택하느냐 vs. 너른 포용력을 발휘하느냐
• 신입사원 잘 뽑기
• 돌탑 쌓기
• 초원의 치타와 생활의 달인
• 팔라디움 선물 거래의 결과
CHAPTER 5. 경영과 포용성
소통하는 조직 vs. 소통이 단절된 조직
• 협상과 포용
• 위험과 다양성
• 집단사고와 이단자
• 실패의 수용과 과정의 인내
•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 DEI의 시대가 온다
CHAPTER 6. 진화생물학과 포용성
살아남은 것 vs. 사라져버린 것
• 포용, 진화의 교훈
• 유성생식과 DNA
• 미토콘드리아
• 공룡과 개미
• 면역체계와 기생충
• 충수와 편도선
• 암
• 심장마비와 혈액응고
• 근친교배와 집단유전
• 생물종 다양성
CHAPTER 7. DEI를 방해하는 8가지 덫
• 무엇이 DEI를 방해하는가
• ① 타성
• ② 선입견
• ③ 도그마
• ④ 휴브리스
• ⑤ 연고주의
• ⑥ 서열 매기기
• ⑦ 동조화
• ⑧ 완벽주의
CHAPTER 8. 진정한 DEI를 위한 10가지 가치
• ① 자아 확장
• ② 역지사지
• ③ 경청과 관찰
• ④ 여유와 기다림
• ⑤ 호기심과 회의
• ⑥ 능동성과 유연성
• ⑦ 재분류
• ⑧ 뒤섞기
• ⑨ 군것들
• ⑩ 나를 포용하기
참고서적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는 또 한 번의 중대한 갈림길 앞에 서 있음을 느낍니다. 세상은 쉼 없이 변해 왔지만 ‘포용’이라는 가치의 무게는 더욱 커졌습니다. 변화의 방향은 예측할 수 없지만, 그 속에서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태도가 무엇인지는 더욱 분명해졌습니다.
때맞춰 DEI(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포용성Inclusion)라는 새로운 관점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미 미국 등의 글로벌 기업에서는 폭넓게 받아들여져서 전략회의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핵심 키워드가 되었고, 윤리적 차원을 넘어 생존과 성장의 전략이자 혁신의 전제조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많이 생소합니다.
포용이 단지 ‘좋은 사람 되기’의 덕목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기 위한 전략이고, 더 나아가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지탱하는 힘이 되듯이, DEI는 단지 ‘옳은 일’을 하기 위한 제도나 문화적 구호가 아닙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차이가 갈등이 아닌 자산이 되는 조직을 만들기 위한 시스템이며, 조직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근본적 관점의 전환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조직은 DEI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를 두고 혼란을 겪습니다. 저는 ‘포용’과 마찬가지로 DEI 또한 개인의 태도나 사회적 감수성에 머무르지 않고, 시스템과 제도, 그리고 시장의 구조 속에서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 프롤로그
이들은 국가의 경제적 성과를 결정짓는 핵심요소로 포용적 제도와 착취적 제도를 제시했습니다. 포용적 제도는 개인의 자유와 사유재산권을 보장하고, 공정한 경쟁과 창조적 파괴가 허용되며,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 등이 담긴 경제 제도를 의미합니다.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기회를 많은 사람들에게 분배하고, 자연스럽게 사회 내 다양한 계층이 공정한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DEI 관점에서 형평성이 보장된 시스템으로, 경제적 기회를 분배하고 사회적 약자나 마이너리티 그룹도 기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반면, 착취적 제도는 엘리트 계층이 권력을 독점하고, 다수의 사람들에게는 경제적 기회와 정치적 권리를 제한하는 구조를 유지합니다. 소수의 집단에 부와 권력이 집중된 사회로, 경제 활동을 자극할 만한 인센티브를 만들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으로 불평등inequality을 심화시키고, 다양한 사회적 그룹들이 공정한 경쟁의 기회를 얻지 못하게 만듭니다. 이런 불평등은 단지 경제적인 차이를 넘어서, 정치적 권리, 사회적 존중, 교육적 기회, 건강 관리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으로 나타납니다. - CHAPTER 2. 인류 역사와 포용성 중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