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교육
· ISBN : 979119309220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4-04-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_ 1세기 교회는 어떻게 어린이를 교육했을까?
Section 1. 신약시대 어린이는 어떻게 살았을까?
지중해 세계와 어린이
유대인과 어린이
이방인과 어린이
Section 2. 복음서의 어린이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어린이 예수님과 탄생 이야기
하나님 나라, 예수님과 어린이
Section 3. 초기 교회는 어린이 교육을 어떻게 했을까?
신약성경 서신과 어린이
초기 교회와 어린이
Section 4. 어린이는 언제부터 세례를 받았을까?
수수께끼 같은 어린이 세계
유아 세례 vs 어른 세례
어린이를 위한 성찬식
Section 5. 어린이를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
어린이를 사랑하라
주님 안에서 가르치라
성경적으로 가르치라
▶ 특별수록. 유대인은 어린이 교육을 어떻게 했을까?
옮긴이 후기 _ 저출산 문제와 교회의 새로운 대안
책속에서
“1세기 지중해로 순간 이동을 한다면 어린이들이 어째서 그렇게 많은지 놀랄 수 있다. 유아 사망률이 아주 높다 보니 가족 규모가 클 수밖에 없었다. 전체 어린이의 절반 이하가 다섯 번째 생일까지 살아남았고 겨우 40퍼센트가 20세까지 생존한 것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자녀 둘이 가임기까지 생존할 가능성을 보장하려면 한 부부가 다섯 명까지 자녀를 낳아야 했다. 특히 출생 전후가 위험했다. 로마에서 여자아이는 태어난 지 8일째 이름을 받았고, 남자아이는 9일째 ‘정화의 날’(dies lustricus)에 이름을 받았는데 그날에 제물을 바치고 의식을 치르면 아이가 정화된다고 해서 그렇게 불렀다. 유대인 남자아이는 8일째 할례를 치렀다. 갓 태어난 아이가 살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 보니 위태로운 첫 주가 지나갈 때까지는 존재를 인정하지 않은 것 같다. 실제로 어느 시기에는 출산율이 너무 낮아서 인구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상당하기도 했다. 이런 우려는 특히 제국의 지배 엘리트들에게 컸다. 로마 당국은 율리우스 카이사르 시대부터 적어도 로마 시민 사이에서는 대가족을 장려하는 법안을 제정했다.”
지중해 세계와 어린이 중에서
“따라서 1세기 유대 문화에서 자녀는 사회의 미래를 보장하는 데 있어 몹시 중요한 존재였다. 유대인끼리 결혼해서 잉태하고 조상의 전통을 좇아 엄격하게 양육한 자녀는 계약 신앙에 대한 충성에 생존이 걸린 공동체의 미래를 보장했다. 바울이 빌립보 교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는 팔 일 만에 할례를 받고 이스라엘 족속이요 베냐민 지파요 히브리인 중의 히브리인이요 율법으로는 바리새인이요”(빌 3:5)라고 어린 시절과 양육 환경을 회상할 정도였다. 많은 유대인 남성은 이런 어린 시절을 만족스럽게 회상했다. 물론 아이는 언제나 미래를 위한 씨앗이었다. 농경 사회에서 가족의 안녕은 자녀, 특히 남자아이가 잘 자라서 결국 가계를 이어받는 데 달려있었다. 다산은 주요 관심사였다. 자녀가 없다는 것은 개인의 슬픔을 넘어 공동체에서 수치스럽고 체면을 잃는 일이었다.”
유대인과 어린이 중에서
“로마 사회에서, 적어도 비문에 기록된 부유한 사람 사이에서는 우리 예상보다 다소 늦게 결혼을 계약하는 게 관습이었던 것 같다. 로마법에 따르면 결혼할 수 있는 법적 최소 연령이 여자는 12세, 남자는 14세로 정해져 있었고,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결혼할 수 있는 최소 연령을 10세로 정했다. 그러나 비문 연구에 따르면 신부의 첫 결혼 연령은 15세 미만보다 10대 후반일 가능성이 컸다. 남성은 다소 늦어서 보통 20대 후반에 결혼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부유한 로마인은 일반적으로 결혼 당시 연령차가 컸겠지만 높은 사망률을 감안할 때 많은 사람이 첫 번째 배우자를 잃은 후 재혼했을 것이다. 다른 계층이나 로마제국에 속한 다른 지역에서는 신랑과 신부 간의 연령차는 더 적었고 결혼은 아마도 더 일찍 했을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이방인 사회의 일부 지역에서는 사춘기에 아동에서 성인으로 갑자기 넘어가지는 않았다. 많은 소녀가 사춘기가 시작될 때까지 미혼으로 남아 있었다. 마찬가지로 상당수 청년 역시 성인 남성용 토가를 입었으면서도 여전히 결혼할 책임이 없었고 계속 교육과 양육을 받았다.”
이방인과 어린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