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328950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5-06-18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에 앞서 - 긍정과 감사의 철학, 『도덕경』과 『장자』에 대하여
들어가는 말 - 물처럼 유연하게, 공기처럼 가볍게, 자유로운 인생을 위한 고전의 지혜
제1부 내려놓기 - 비교할수록 불행해지는 세상으로부터
《 1 》 곤과 붕 -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 2 》 호접지몽 - 모든 가치는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것
《 3 》 백정의 칼 - 비판을 위한 비판의 어리석음
《 4 》 새옹지마 - 때로는 무용함이 유용함보다 낫다
《 5 》 감정의 총량 - 행복과 불행은 정비례 관계
《 6 》 무위 - 태어났으니 그냥 산다
《 7 》 무지무욕 - 보고 듣고 비교할수록 불행한 세상
《 8 》 자정 작용 - 비워낼수록 넉넉해지는 기적
제2부 둘러보기 - 사소한 것들에 휘둘리지 않는 지혜를 찾아서
《 9 》 목수의 지혜 - 고수는 계획을 고집하지 않는다
《 10 》 매도매독 - 작은 만족이 행복의 시발점
《 11 》 상선약수 - 욕심이 없는 마음은 훔칠 수 없다
《 12 》 지, 욕, 작위 - 가벼운 인생을 위해 멀리해야 할 것들
《 13 》 안지약명 - 안 되는 일에 전전긍긍하지 않는다
《 14 》 태풍의 눈 - 칭찬이나 비난에 흔들리지 않는 고요
《 15 》 시의적절 - 방향이 잘못된 노력은 적중하지 못한다
《 16 》 서여기인 - 멈출 줄 알아야 오래 간다
《 17 》 빈곤의 미학 - 없음으로 바뀔 때 쓸모가 생긴다
《 18 》 기의 깨우침 - 다름에는 틀림이 없고 우열이 없다
《 19 》 지락무락 - 영원한 즐거움이라는 망상
《 20 》 심재좌망 - 두려움을 없애는 망각의 힘
《 21 》 계곡의 신 - 인생에 오르막길만 있는 사람은 없다
《 22 》 벌거벗음 - 잘하는 사람은 꾸미지 않는다
《 23 》 현동 - 함부로 이해하는 척하지 않기
제3부 채우기 - 눈치 보지 않는 당당한 인생으로
《 24 》 무위와 무명 - 오만과 편견의 껍데기를 벗어내며
《 25 》 상통과 공감 - 입은 다물고 귀는 기울인다
《 26 》 각양각색 - 평범함이 가장 특별하다
《 27 》 우환의 덫 - 눈치 보지 않고, 시중들지 않는 당당한 인생
《 28 》 주관과 객관 - 굽힐 줄 아는 사람이 진짜 강한 사람
《 29 》 본말전도 - 배움의 목적은 성공이나 돈이 아니다
《 30 》 경세제민 - 부는 아무리 채워도 채우지 못한다
《 31 》 진실함 - 순수가 결여된 가짜 노력의 한계
《 32 》 천성 - 하늘의 그물은 넓지만 빠뜨리지 않는다
《 33 》 경위본말 - 높을수록 낮은 곳으로 임하는 어른의 자세
《 34 》 무소부재 - 누구의 인생도 틀리지 않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장자』의 세계관은 역려과객(逆旅過客)이다. ‘세상은 여관이고 인생은 그곳에 잠시 머무는 나그네’라는 뜻이다. 떠도는 나그네의 특징은 무엇일까? 첫째, 여유롭다. 둘째, 미련과 집착이 없다. 셋째, 바라는 게 없다. 넷째, 두려울 게 없다. 다섯째, 자유롭다. 나그네의 삶은 매일이 소풍이다. 장자는 매일 소풍처럼 사는 삶을 소요유(逍遙遊)로 개념 짓는다. 소요유란 ‘슬슬 거닐며 노ㅤㄴㅣㄻ’이다. 소요유의 공통분모가 쉬엄쉬엄 간다는 뜻의 착(辶)이다. 쉬엄쉬엄 사는 삶은 가볍고, 전전긍긍 사는 삶은 무겁다.
- <들어가기에 앞서> 중에서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 늘 행복하겠다는 의지는 욕심이자 교만이다. 행복은 불행에서 솟아나고, 불행은 행복이라는 옷을 벗으면 드러난다. 그러므로 늘 불행한 사람도 없다. 자신이 늘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스스로를 방임하는 게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감정의 총량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은 있을지언정, 아예 없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행복을 좋아하고 불행은 미워하는 나의 감정을 먼저 돌아보자. 행복만 추구하고 불행은 기피하는 나의 의지를 반성하자. 행복한 사람은 불행이 없는 사람이 아니다. 불행한 와중에도 계속해서 나를 아끼고 사랑할 수 있는 사람이다.
- <행복과 불행은 정비례 관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