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주제평론
· ISBN : 9791193400265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25-07-2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5
제1부 낯섦의 미학
일상적 시공간을 뛰어넘는 미지의 세계- 송찬호 동시집 『고양이 사진관』 11
낯섦의 미학- 송현섭 동시집 『착한 마녀의 일기』 16
동심과 마주하는 따뜻한 시간- 조영수 동시집 『마술』 26
가슴에 초록 심장을 품다- 홍재현 동시집 『고래가 온다』 43
다채롭고 풍성한 동심의 세계- 전자윤 동시집 『부엉부엉 눈이 내려도』 55
가장 나답게, 가장 동시답게- 이옥용 동시집 『나는 “나표” 멋쟁이』 67
착하게 사는 것만큼 어려운 동시 쓰기- 김현숙 동시집 『아기 새를 품었으니』 77
도깨비의 재탄생- 권영상 동시집 『도깨비가 없다고?』 91
제2부 동시의 저울
따뜻한 시선과 명징한 이미지- 이영애의 동시 104
다섯 빛깔의 공감과 위로- 박혜선·송명원·이묘신·정진아·한상순의 동시 113
반세기 전, 아이들과의 만남- 신현득의 동시 122
세심한 관찰력과 배려의 미학- 신이림의 동시 127
동시의 저울- 임창아의 동시 138
한층 더 깊어진 시심과 사유의 힘- 곽해룡의 동시 149
생태적 상상력과 동화시의 가능성- 천선옥의 동시 161
언제나 새롭고, 언제나 특별한- 이옥용의 청소년시 174
제3부 치열한 자기 부정의 정신
권태응 문학의 가치와 의의 186
미래 일기와 동시의 씨앗 창고 206
동시, 위기의 시대를 노래하다 224
현대 동시에 나타난 생태적 상상력 239
동시와 관련한 몇 가지 짧은 생각 255
철학적 사유와 비평 정신 266
시적 사고와 시적 표현 276
치열한 자기 부정의 정신 285
낯선 시인과의 만남 295
저자소개
책속에서
송찬호의 동시는 여러 가지 수사법과 시적 장치를 사용해 시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특히 환유는 그의 동시에서 흔히 발견되는 것으로 구체적이고 생생한 이미지를 창조하는 데 크게 일조한다. 실제로 그는 “톱은/곡선으로 안 웃지”(「톱」), “비누의 옆구리를 살짝 간질이니/비누가 깔깔 웃는다”(「비누」), “바위가/똥을/누고 있다” (「바위도 변비는 힘들어」)와 같이 일상적 언어나 사고의 범위를 뛰어넘는 시어들의 결합을 통해 언어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일상적 시공간을 뛰어넘는 미지의 세계로 독자를 안내한다.
동시의 주된 독자는 어린이들이다. 그 때문에 내용과 형식에서 어느 정도 제약이 따른다. 주제가 어린이가 이해할 수 없을 만큼 어려워도 안 되지만, 너무 쉬운 주제에서 어린이가 전혀 흥미를 느끼지 못해서도 안 된다. 또한 어린이가 집중할 수 없을 만큼 행이 길어도 안 되지만, 행이 너무 짧아 아이들의 상상력이 전혀 작동할 수 없어도 안 된다. 그래서 성인시보다 더 쓰기 어려운 것이 동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