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91193482063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4-08-19
책 소개
목차
한국 독자들에게
1. 들어가는 글: 오늘날의 경제 위기
2. 경제학을 발견한 철학자: 애덤 스미스
평생 가장 중요한 사람이었던 어머니
일류 대학에 실망한 애덤 스미스: 옥스퍼드를 지루하게 느끼다
글래스고의 경제: 독점과 노예무역
경쟁자와의 만남: 중농주의자
어느 연금 생활자의 눈부신 성취: 『국부론』
자유무역에 대한 요구: 스미스가 세관원이 되다
3. 제빵사의 이기심에서 자유무역의 원리로: 『국부론』(1776)
중상주의자들의 오해: 부를 만드는 건 황금이 아니다
핵심 원칙: 분업이 모든 것을 설명한다
이기심을 통한 공익의 실현: 거시경제학은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수수께끼로 남은 수수께끼: 가격과 이윤은 어떻게 생겨날까?
노동자의 운명: “아프리카의 추장”보다 부유하다
전 세계로 확장된 자유무역: 세계화의 시작
식민지와 노예제: 착취는 착취자도 가난에 빠뜨린다
스미스와 마르크스의 매개자: 데이비드 리카도
4. 한 공산주의자가 자본주의를 분석하다: 카를 마르크스
파격적인 결혼: 연상의 예니
헤겔의 유산: 과정의 변증법
마르크스가 프롤레타리아트를 발명하다
단순한 “재능” 이상의 인간: 프리드리히 엥겔스
영국 노동계급의 상황
혁명은 더 빨랐다: 『공산당 선언』
런던에서 불행한 망명 생활을 하다
마르크스에서 마르크스주의까지
5. 사회주의가 과학이 되다: 『자본론』(1867)
착취는 공정하다: ‘잉여가치’의 논리
자본은 소유가 아니라 과정이다
자본의 변증법: 경쟁은 독점으로 끝난다
오류 1: 노동자들은 가난하지 않다
오류 2: 착취는 있지만 잉여가치는 없다
오류 3: 돈은 상품이 아니다
천재도 실수할 수 있다: 마르크스의 의의
6. 자본주의에는 관심이 없는 신고전주의자들
주관적인 이득만이 중요하다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은 수수께끼: 가격은 어떻게 생기는가?
현실이 무시되다: 대기업은 비경제적이다
슘페터가 신고전주의를 비웃다: “가련한” 경제 주체들
위기? 어떤 위기?
7. 돈은 어디에 있을까?! 존 메이너드 케인스
부모의 자랑거리: ‘왕의 학자’ 케인스
유능한 수학자이지만 수학 천재는 아니다
할 일이 없는 인도 사무소에서 박사학위 논문을 쓰다
전쟁 배상금의 지불 불능 논리: 케인스가 베스트셀러를 쓰다
대학 강사 수입은 너무 적다: 케인스가 투기꾼이 되다
케인스의 사생활: 블룸즈버리와 리디아 로포코바
신고전주의와의 기나긴 작별
불치병
8. 확실한 건 오직 불확실성뿐이다: 『일반 이론』(1936)
자기 자신의 이론도 제대로 이해 못 하는 신고전주의
저축은 미덕이 아니라 위험이다
짧은 여담: 돈은 어디서 올까?
신고전주의가 풀지 못한 미스터리: 이자는 어떻게 작동할까?
관건은 이자가 아니라 투기다
호모 에코노미쿠스에게는 기회가 없다: 위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위에 선 금융시장
시장이 실패하면 국가의 개입이 필요하다
자유로운 돈 거래는 안 된다
9. 오늘날의 주류: 어떤 자본주의도 해결책이 아니다
‘경제 기적’의 한복판에서: 신자유주의자들이 승리의 진군을 계획하다
산업 로비스트: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1973년의 전환점: 금융 카지노가 다시 문을 열다
밀턴 프리드먼: 케인스에 맞선 ‘반혁명’
통화주의는 실패했지만 금융시장은 호황을 누리다
잘못된 이론의 대가는 비싸다: 금융 위기가 발생하면 수조 달러의 비용이 든다
위기 후가 곧 위기 전이다
10. 스미스, 마르크스, 케인스에게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추천의 말
주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왜 부자는 점점 더 부유해지고 가난한 사람은 점점 더 가난해질까? 돈은 어떤 원리로 움직일까? 성장의 원동력은 무엇이고, 경제 위기는 언제 발생할까? 실업자는 왜 생길까? 아이들도 던질 법한 질문이지만, 경제학자들은 명확히 답하지 못한다. 오히려 이런 질문은 무시한 채 현실과 아무 상관 없는 수학적 모델에만 집착한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는 대기업이 지배하고 은행이 허공에서 돈을 만들어내는, 완전히 무르익은 자본주의 속에서 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른다. 그렇기에 경제학자들은 금융 위기가 발생할 때마다 어쩔 줄 모르고 우왕좌왕한다.
주류 경제학의 오류는 대안으로서 스미스와 마르크스, 케인스의 경제학을 알아야만 보인다.
자본주의는 경제뿐 아니라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깊숙이 스며든 총체적 시스템이다. 그게 흥미로운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자본주의라는 이름의 이 모험적 시스템은 그것의 가장 명석한 이론가들, 그러니까 스미스, 마르크스, 케인스를 알 때 우리 눈에 가장 선명하게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