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32925165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5-05-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노동 세계의 혁명
거대한 변혁: 어떤 일이 닥칠까?
거대한 불안: 경제학자들이 미래를 조사하다
경보 해제의 목소리: 경제학자들이 과거를 미래의 지침으로 삼다
경험 이성 비판: 격변은 계산할 수 있을까?
자연법칙과 인간 세계: 보상인가, 퇴출인가?
격변의 시대가 불러올 승자와 패자: 미래의 노동 시장
경제적 막다른 골목: 이제는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
노동이란 무엇인가?
노동: 모순덩어리
<labour>와 <work>: 노동 사회의 탄생
<사람> 대신 <노동>: 노동의 경제적 개념
노동 환멸과 노동 정체성: 사회 민주주의의 모순적 노동 개념
노동 세계의 해방: 자유주의적 노동 개념
오늘날의 노동과 사회
함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오늘날 우리는 무엇을 위해 일하는가?
<labour>는 <work>가 아니다: 낡은 노동 사회는 무엇으로 무너지는가?
견고한 난간: 노동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구해야 할까, 교체해야 할까?: 노동의 인간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자: 의미 사회
후기 산업 사회의 생계 보장: 연금 제도의 종말
무조건적 기본 소득
낙원에서의 굶주림: 진보의 역설
나라 없는 민족: 기본 소득의 기원
기본 소득의 재장전: 산업 발전과 사회적 유토피아
수단인가, 기본권인가?: 자유주의적 기본 소득
자유, 지속 가능성, 시스템 변화: 좌파 인본주의적 기본 소득
오늘날의 기본 소득: 현실적인 무조건적 기본 소득을 위한 좌표
게으른 사람들: 무조건적 기본 소득에 대한 인간학적 반론
억만장자에게도 돈을 주자고?: 무조건적 기본 소득에 대한 사회 복지적 차원의 반론
돈은 누구보고 내라고?: 무조건적 기본 소득에 대한 경제적 반론
실험이 명확한 증거가 될까?: 모의 테스트가 별 소용이 없는 이유
유토피아에서 현실로: 기본 소득은 어떻게 실현될까?
의미 사회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자기 역량 강화: 21세기 교육
호기심을 키워라: 시대에 맞는 교육학의 목표
열두 가지 원칙: 미래의 학교
주
참고 문헌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책속에서
약속은 거창했다.
노동 세계는 농업 및 목축업의 도입에서부터 견실한 수공업과 매뉴팩처를 거쳐 폭발적인 산업 생산과 거대한 서비스 부문에 이르기까지 숱한 혁명을 겪어 왔다. 그러나 까다로워지는 기술 적응에 대한 요구를 과거와 동일한 수단으로 무한정 감당할 수는 없음을 보여 주는 여러 단서가 존재한다. 나쁜 소식은 인간 정신이 더 이상 폭넓은 기술적 진보에 직업적으로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고, 좋은 소식은 꼭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서구 세계에서 노동에 관한 관념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은 프로테스탄트였다. 이후 노동은 전 사회적으로 단순히 생계 보장의 수단을 넘어 삶의 목적으로 정의되었고, 그로써 엄청난 가치 상승을 경험했다. 노동은 단순히 필요악이 아니라 인간은 원래 일하기 위해 태어났다는 것이다. 게다가 개인이 자신의 일상적 노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수록 사회적 지위는 더 높아진다. 노동은 고대나 봉건 시대와 달리 우리를 노동과 그 노동의 결과물로 지위가 결정되는 사회적 존재로 만든다. 이로써 돈으로 보상받는 활동이 곧 자신의 정체성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