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ESG 기반 기업가치평가

ESG 기반 기업가치평가

(장기적 가치 창출을 위한)

Dirk Schoenmaker, Willem Schramade (지은이), 배연주 (옮긴이)
탐진출판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ESG 기반 기업가치평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ESG 기반 기업가치평가 (장기적 가치 창출을 위한)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91193595206
· 쪽수 : 694쪽
· 출판일 : 2025-03-12

목차

Part Ⅰ 장기적 가치 중심 기업재무
1. 사회 및 지구적 경계 내의 기업
1.1 전체 세계에서 사회 및 지구적 경계
1.1.1 지구적 경계
1.1.2 사회적 기초
1.2 지속가능발전목표
1.2.1 글로벌 전략
1.2.2 시스템 관점
1.3 기업의 목적
1.3.1 주주모형
1.3.2 정제된 주주모형
1.3.3 이해관계자모형
1.3.4 통합모형
1.4 기업재무의 지속가능성 통합
1.5 결론

2. 통합적 가치창출
2.1 통합적 가치창출의 기초
2.2 가치창출과 가치파괴의 식별
2.3 통합적 가치창출의 계량화
2.4 가치창출의 원천: 목적, 전략, 비즈니스 모델
2.5 전환
2.6 통합적 가치 추구
2.7 결론

3. 기업지배구조
3.1 현재 기업지배구조 모형
3.1.1 주주모형
3.1.2 이해관계자모형
3.1.3 지배구조와 기업가치
3.2 기업지배구조의 통합적 모형
3.2.1 이익균형 추구
3.2.2 통합적 측정
3.3 소유권과 통합적 가치창출
3.3.1 상장회사
3.3.2 대안적 기업 형태
3.3.3 기관투자자의 역할
3.4 기업지배구조의 메커니즘
3.4.1 회사법의 역할
3.4.2 기업 수준의 이사회 메커니즘
3.5 결론

PartⅡ 할인율과 가치평가 방법론
4. 할인율과 자본 희소성
4.1 할인율과 화폐의 시간가치
4.2 금융자본의 할인율 결정요인
4.3 사회 및 환경적 자본의 할인
4.4 통합적 자본의 할인
4.5 결론

5. 사회 및 환경적 가치의 측정
5.1 가치 측정의 기초
5.2 중대한 사회 및 환경적 요인
5.3 사회 및 환경적 임팩트의 정량화
5.4 사회 및 환경적 임팩트의 화폐화
5.5 결론
[첨부] 그림자 가격과 자연자원 회계

6. 투자결정 규칙
6.1 NPV를 통한 재무적 가치 계산
6.2 기타의 투자결정 규칙
6.2.1 회수기간 규칙
6.2.2 IRR 규칙
6.2.3 NPV vs. IRR과 회수기간
6.3 투자결정에 대한 행태적 효과
6.4 통합적 투자결정 규칙
6.4.1 제한적 PV
6.4.2 확장된 PV
6.4.3 통합적 PV(IPV)
6.5 내부화
6.6 결론
[첨부] 확장된 IPV모형의 활용

7. 자본예산
7.1 전통적 자본예산
7.1.1 자본예산 절차
7.1.2 현금흐름의 계산
7.1.3 추정 현금흐름
7.1.4 증분 현금흐름
7.1.5 증분 현금흐름에 기회비용 반영
7.1.6 프로젝트 분석의 합리성 점검
7.2 자본예산의 행태적 문제
7.2.1 매몰비용 오류
7.2.2 외삽 편향
7.2.3 몰입 상승
7.2.4 할인율에 대한 영향
7.2.5 행태적 편향의 대응
7.3 자본예산에 지속가능성 통합
7.3.1 제한적 NPV
7.3.2 확장된 PV
7.3.3 통합적 PV(IPV)
7.4 내부화
7.4.1 비대칭적 혹은 비선형적 내부화
7.4.2 IPV vs. 내부화
7.5 결론

PartⅢ 기업가치평가
8. 채권가치평가
8.1 채권의 유형과 가격결정
8.2 이자율의 기간구조
8.3 국채와 회사채
8.4 채권의 가치평가에 지속가능성 통합
8.5 S&E의 가치평가와 통합적 가치
8.6 그린본드와 소셜본드
8.7 결론

9. 상장주식 가치평가
9.1 주식의 기초
9.1.1 주식의 유형
9.1.2 주식시장의 유형
9.1.3 주식가치평가와 그 동인
9.1.4 주식과 채권 가치평가의 연결
9.2 배당 또는 잉여현금흐름 기반 가치평가
9.2.1 배당할인모형
9.2.2 현금흐름할인모형
9.2.3 상대가치평가 방법의 비교
9.3 비교기업 기반 가치평가
9.3.1 주식가치 멀티플(배수)
9.3.2 기업가치(EV) 멀티플(배수)
9.4 F에 대한 S와 E의 통합: 가치동인에 지속가능성 통합
9.4.1 가치동인조정 접근법
9.5 S와 E의 가치평가와 통합적 가치평가
9.6 결론
[첨부] 사례 연구 템플릿–재무적 가치평가에 지속가능성 통합

10. 비상장주식 가치평가
10.1 사모펀드의 기초
10.2 비상장주식의 가치평가
10.3 PE에서 F에 대한 S와 E의 임팩트
10.4 PE에서 S와 E의 가치평가와 통합적 가치
10.5 결론

11. 통합적 가치평가 사례 연구: 인디텍스
11.1 인디텍스의 소개
11.2 인디텍스의 비즈니스 모델과 전환에 대한 도전
11.2.1 비즈니스 모델
11.2.2 기업의 목적
11.2.3 이해관계자
11.2.4 재무적으로 중대한 지속가능성 이슈
11.2.5 외부적 임팩트(외향적 관점)
11.2.6 전환
11.2.7 경영진
11.3 인디텍스의 재무적 가치평가(내향적 관점)
11.3.1 기본 모형: 전환 고려 전
11.3.2 가치동인의 조정
11.3.3 전환의 가치평가 시나리오
11.4 인디텍스의 S와 E 가치평가(외향적 관점)
11.4.1 정량화: 고유 단위로 E와 S를 표현
11.4.2 화폐화: E와 S를 화폐적 단위로 표시
11.5 인디텍스의 통합적 가치평가
11.6 결론

PartⅣ 위험과 수익 그리고 임팩트
12. 위험-수익 분석
12.1 역사적인 재무적 위험과 수익
12.2 전통적인 위험과 수익의 척도
12.2.1 분산과 표준편차
12.2.2 역사적 수익률과 변동성
12.3 포트폴리오를 통한 재무위험의 분산
12.3.1 포트폴리오 수익률
12.3.2 두 주식 포트폴리오의 분산
12.3.3 대규모 포트폴리오의 분산
12.4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
12.5 지속가능성 조정 재무 위험-수익 분석
12.5.1 사회 및 환경적 요인 포트폴리오
12.5.2 다요인모형의 문제점
12.5.3 다요인모형의 적용
12.6 사회 및 환경적 위험-수익 분석
12.7 통합적 위험-수익 분석
12.8 전방주시적 위험
12.8.1 시나리오 분석
12.8.2 인디텍스 사례 연구
12.8.3 전략 설정
12.8.4 전환 경로
12.8.5 불확실성
12.8.6 전방주시적 지표
12.9 결론

13. 자본비용
13.1 재무적 자본비용
13.1.1 자기자본비용
13.1.2 부채자본비용
13.1.3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13.1.4 프로젝트의 자본비용
13.2 재무적 자본비용에 지속가능성 통합
13.2.1 조정 자기자본비용
13.2.2 조정 부채지본비용
13.2.3 조정 WACC
13.3 사회 및 환경적 자본비용
13.4 통합적 자본비용
13.4.1 조정 자본비용
13.4.2 인디텍스 사례 연구
13.4.3 자산 vs. 부채
13.5 결론

14. 자본시장 적응성, 투자자 행동 그리고 임팩트
14.1 효율적 시장 가설
14.2 투자자 행동
14.2.1 재무적 투자자와 자본시장의 경쟁
14.2.2 행동재무학
14.2.3 버블
14.3 적응적 시장 가설과 지속가능성 통합
14.3.1 전환의 준비도
14.4 임팩트의 관점
14.4.1 임팩트 정보의 생산자
14.4.2 임팩트 시장과 가격결정
14.4.3 임팩트 성과
14.4.4 인디텍스 사례 연구
14.4.5 환경적 임팩트
14.5 통합적 가치와 임팩트 투자자
14.5.1 임팩트 조정 수익률
14.5.2 인디텍스 사례 연구
14.5.3 통합적 수익률
14.5.4 적극적 소유권 수익률
14.5.5 임팩트 투자자
14.6 결론

PartⅤ 기업의 재무정책
15. 자본구조
15.1 완전 자본시장에서의 재무적 자본구조
15.1.1 완전 자본시장과 재무적 자본구조 이론
15.2 불완전한 세계의 재무적 자본구조
15.2.1 정태적 트레이드오프 이론: 세금과 파산비용
15.2.2 대리인비용, 정보비대칭, 순위이론
15.3 재무적 자본구조에 대한 행동적 관점
15.3.1 내적 오류
15.3.2 외적 오류
15.4 재무적 자본구조 대한 E와 S의 영향
15.4.1 비즈니스 모델과 운영의 재무적 자본구조 영향
15.4.2 투자자 인식의 재무적 자본구조 영향
15.4.3 경영진 행동의 재무적 자본구조 영향
15.4.4 E와 S의 재무적 자본구조 영향에 대한 학술적 증거
15.5 E와 S의 자본구조
15.6 통합적 자본구조
15.6.1 인디텍스 사례 연구
15.7 결론

16. 발행과 배당: 자본구조의 변화
16.1 재무적 자본의 발행(조달)
16.1.1 발행의 작동 구조
16.1.2 발행에 대한 행동주의적 시각
16.2 재무적 자본에 대한 배당
16.2.1 완전한 자본시장에서의 배당
16.2.2 불완전성 하의 배당
16.2.3 현금배당
16.2.4 자기주식 매입
16.2.5 배당에 대한 행동주의 시각
16.3 재무적 자본의 발행과 배당에 대한 E와 S의 영향
16.3.1 위험의 내부화
16.3.2 기회의 내부화
16.3.3 지배구조와 조직자본의 배당 영향
16.4 사회 및 자연자본의 주식 발행과 배당 영향
16.5 발행과 배당에 대한 통합적 시각
16.5.1 통합적 배당 테스트
16.5.2 인디텍스 사례 연구
16.5.3 노보자임 사례 연구
16.6 결론

17. 보고와 IR
17.1 재무보고와 분석
17.1.1 재무보고
17.1.2 재무제표와 분석
17.2 회계감사와 IR
17.2.1 회계감사
17.2.2 IR
17.3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보고
17.3.1 IFRS 지속가능성기준
17.3.2 지속가능성 보고의 기업 사례
17.4 임팩트 보고
17.4.1 보고의 수렴
17.4.2 임팩트 보고 프레임워크
17.4.3 임팩트 보고의 기업 사례 연구
17.5 통합적 보고, 분석 및 IR
17.5.1 통합계산서
17.5.2 통합적 감사와 IR
17.6 결론
[첨부] 재무비율과 통합적 비율

18. 인수합병(M&A)
18.1 M&A의 동기와 트렌드
18.1.1 M&A에 대한 시장 반응
18.1.2 M&A의 유형
18.1.3 M&A의 동기
18.1.4 M&A 자문
18.1.5 M&A의 파도
18.2 M&A 가치평가
18.2.1 M&A 딜의 자금조달
18.2.2 M&A 가치평가의 행태적 이슈
18.2.3 헤지펀드 행동주의
18.3 E와 S의 M&A 가치평가 영향
18.3.1 가치평가 전 M&A에 대한 E와 S 효과
18.3.2 M&A 가치평가에 대한 E와 S의 효과
18.3.3 M&A 이후 성과에 대한 E와 S의 효과
18.3.4 E와 S 기반의 M&A 행동주의
18.4 M&A에서 E와 S의 가치평가
18.5 통합적 M&A 가치평가
18.5.1 크래프트 하인즈의 유니레버 인수 사례 연구
18.5.2 IPV 기준
18.5.3 통합적 인수 테스트
18.5.4 M&A 행동주의에 대한 통합적 시각
18.6 결론
[첨부] 사례 연구: 크래프트 하인즈의 유니레버 인수 시도

19. 옵션
19.1 금융옵션
19.1.1 콜옵션: 롱(매수) 포지션
19.1.2 콜옵션: 숏(매도) 포지션
19.1.3 풋옵션: 롱(매수) 포지션
19.1.4 풋옵션: 숏(매도) 포지션
19.1.5 옵션의 결합과 헤징
19.1.6 풋-콜 패리티
19.1.7 옵션으로 표현한 자본구조
19.1.8 옵션의 시세
19.2 옵션의 가치평가
19.2.1 이항옵션평가모형
19.2.2 다기간 이항모형
19.2.3 블랙-숄즈 옵션평가모형
19.2.4 옵션 가격의 동인
19.3 F에 대한 실물옵션
19.3.1 실물옵션의 적용
19.3.2 실물옵션의 유형
19.3.3 불확실성이 수반된 거래에 대한 실물옵션
19.3.4 실물옵션에 대한 의사결정 트리 이용
19.3.5 기업의 실물옵션 활용
19.4 E와 S에 기반한 F에 대한 실물옵션
19.4.1 E와 S에 기반한 실물 콜 포지션
19.4.2 E와 S에 기반한 실물 풋 포지션
19.5 F, E, S에 대한 실물옵션 집합으로써 통합적 가치
19.6 결론

저자소개

배연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직 이전에 그는 지속 가능한 재무에 관해 금융기관과 기업을 자문하는 독립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그 이전에는 NN Investment Partners에서 상장 임팩트 주식 포트폴리오 매너지로 일했고, Robeco, General Electric, PwC, Erasmus University에서도 재직했다. 그는 2006년 Erasmus University에서 재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전문 학술지에 지속 가능성 재무에 관한 논문을 기고하고 Nyenrode Business University와 Erasmus University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의 교과서 Principles of Sustainable Finance(Dirk Schoenmaker 공저)는 2019년 Oxford University Press에서 출간되었다. 배연주는 현재 국내 대기업 계열사에서 최고재무책임자(CFO)이자 최고지속가능경영책임자(CSO)로 재직 중이다. 현직 이전에는 그룹 내 주요 계열사에서 기획과 재무, 신사업 추진 업무를 담당해 왔다. 그에 앞서 금융기관과 컨설팅 회사에서도 일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는 성균관대학교에서 행정학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Syracuse University에서 경영학(재무관리)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05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재무관리(기업재무)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에 CFA 시험에 최종 통과하였으며, 이후 다수의 재무 관련 전문 자격을 취득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기업재무, 가치평가, 지속가능경영이며, 특히 기업재무와 가치평가와 관련해서는 다수의 저서와 역서를 출간한 바 있다. 이 책 번역 출간을 포함해 늘 힘이 되어 주고 응원해 주는 배우자와 철없이 해맑기만 한 쌍둥이, 그리고 가족들 모두에게 감사한다. 그리고 그 분이 그립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