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물하나, 서른아홉

스물하나, 서른아홉

(요즘 여성들이 쓰는 뉴노멀)

김난도, 전미영, 최지혜, 권정윤, 한다혜, 김나은 (지은이)
미래의창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15,120원 -10% 0원
0원
15,1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8개 3,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760원 -10% 580원 10,000원 >

책 이미지

스물하나, 서른아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물하나, 서른아홉 (요즘 여성들이 쓰는 뉴노멀)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363863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5-02-11

책 소개

하나로 정의되길 거부하고, 라이프스테이지마다 당연한 것은 없으며, 매순간 나다운 방법을 찾는 2030 여성들. 패션·뷰티·식품·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이들을 트렌트코리아 팀은 ‘트렌드가 시작하는 출발점’으로서 살펴봤다.

목차

서문
인사말

ME_몸 포트폴리오로 완성하는 나만의 추구미
ME_마음 ”명랑한 멘탈 금수저가 되고 싶어요”
US_우정과 사랑 ”우리 성장하는 관계인가요?”
US_결혼과 출산 평균실종 시대, 모든 것은 선택사항?
GROWTH_커리어 일은 곧 나의 삶, 나의 브랜드
GROWTH_투자와 소비 이구’돈’성, 너무 이른 재테크는 없다


공저자 소개

저자소개

김난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작가, 서울대 명예교수. 트렌드코리아 소비트렌드분석센터를 이끌며, 세계 소비시장의 트렌드를 연구하고 유튜버, 컨설턴트, 멘토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트렌드서 <트렌드코리아> 시리즈를 2008년부터 18년간 써왔으며, 그 외에도 『김난도의 미래트렌드연구실』, 『청소년을 위한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수업』, 『K뷰티 트렌드』,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트렌드로드, 뉴욕 임파서블>, 『트렌드차이나』 등 많은 베스트셀러 트렌드 서적을 냈다. 온라인에서는, 유튜브 채널 <트렌드코리아 TV>를 2020년부터 진행하고, 온라인 공개 강좌 'K-MOOC'에서 〈소비자와 시장〉이라는 강좌를 운영하며, 2024년부터 <김난도 GPT>를 개설했다. 이는 오픈AI의 인공지능 서비스 GPTs에 그동안 집필한 30여 권의 도서와 다수의 학술논문을 학습시켜 트렌드·경제경영·자기계발·인생관 등의 질문에 특화된 답변을 제시하게 만든 김난도 작가의 '디지털 쌍둥이'다. 수많은 기업과 공공기관이 다가올 미래를 대비할 수 있도록 조언하는 컨설턴트와 멘토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청와대와 장차관워크숍, 경기·경남 등 여러 교육청과 학교, 서울특별시·경기도 등 지방자치단체, 삼성전자·현대자동차·LG전자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크고 작은 회사들에게 컨설팅과 강의를 해왔다. 『스물하나 서른아홉』, 『마켓컬리 인사이트』, 『더현대서울 인사이트』, 『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등의 경제경영서도 여러 권 썼다. 1997년부터 28년 동안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교수로 재직해오다가, 좀 더 자유롭고 활발한 저술에 집중하기 위해 2025년 명예퇴직했다. 앞으로 자유로운 작가로서, 더욱 다양하게 활동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펼치기
전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트렌드코리아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다수의 기업과 트렌드 기반 신제품개발 및 미래전략 기획 업무를 수행하며, 서울대에서 소비자조사방법과 신상품개발론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리서치 애널리스트와 서울대 소비자학과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소비자학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2009년부터 〈트렌드코리아〉 시리즈 공저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K뷰티 트렌드』, 『스물하나, 서른아홉』, 『트렌드 차이나』,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 『나를 돌파하는 힘』 등을 공저했다. 하나은행 경영자문위원, 하나손해보험 여성리더 자문위원, 농협축산 행복자문위원, 서울시 디자인자문위원, 한강시민위원, 통계청·프로축구연맹 자문위원, 교보문고 북멘토 등을 맡고 있으며, SBS 라디오 〈생활정보〉에 고정 출연하며 《동아일보》에 '트렌드 NOW'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펼치기
최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트렌드코리아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석사·박사. 소비자의 신제품수용, 세대별 라이프스타일 분석, 제품과 사용자 간의 관계 및 처분행동 등의 주제를 연구하며, 서울대에서 소비트렌드분석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2011년부터 〈트렌드코리아〉 시리즈 공저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K뷰티 트렌드』, 『더현대 서울 인사이트』, 『스물하나, 서른아홉』,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를 공저했다. 워싱턴주립대학교에서 공동연구자 자격으로 연수했으며, 삼성·LG·아모레·SK·코웨이·CJ 등 다수의 기업과 소비자 트렌드 발굴 및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현재 이마트 ESG위원회 위원장, 한국수력원자력 홍보자문협의체 자문위원, 사회공헌사업 심의위원, 피데스 개발 '공간보고서'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경제》에 '최지혜의 트렌드 인사이트', 《아시아경제》에 '트렌드 2025'를 연재한다.
펼치기
권정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트렌드코리아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세대 간 소비성향 전이, 물질소비와 경험소비 등의 주제를 연구하며, 웰니스 관련 소비트렌드에 관심이 많다. 『K뷰티 트렌드』, 『스물하나, 서른아홉』,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를 공저했으며 삼성·LG·CJ·한화·SK 등 여러 산업군의 기업과 소비자조사 및 소비트렌드 발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위원, 서울연구원·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CJ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TREND CODE' 진행, SBS 〈목돈연구소〉의 '트렌드연구소' 고정 패널로 출연하며 《국방일보》에 트렌드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펼치기
한다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트렌드코리아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심리학 학사, 서울대 소비자학 석사·박사. 소비자행태를 다양한 데이터와 실험설계를 통해 연구하며, 서울대 학부 및 대학원에서 소비자행태론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학문후속세대로 선발된 바 있으며, Q1(상위 25%) SSCI 국제 저명 학술지와 SCOPUS 등재 학술지에 논문들을 게재하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와 한국소비문화학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K뷰티 트렌드』, 『스물하나, 서른아홉』,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시리즈를 공저했으며, 현재 KBS1 라디오 〈성공예감〉의 '트렌드팔로우'에 고정 출연 중이다. 삼성·SK·LG 등 주요 기업과 소비트렌드 기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나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트렌드코리아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책임연구원.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석사, 박사과정 재학. 현대 사회에서 관찰되는 새로운 소비 양상과 이를 구성하는 소비자의 내면적 욕구 및 구조적 요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데 관심이 많다. 최근 스몰럭셔리에 관한 소비 동기와 이에 따른 소비자 유형화를 주제로 연구를 수행했다. 『스물하나, 서른아홉』, 『K뷰티 트렌드』를 공저했으며, 현재 삼성·LG·SK·GS홈쇼핑·배달의민족·한화손해보험·올리브영·파리바게트·한국공항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 등 다수의 기업과 소비자 트렌드 발굴 및 전략 기획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여러 세대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집단을 하나만 선택하라면 2030 여성을 꼽아야 할 것이다. 인구 규모로 보면 전체 인구의 10% 정도이지만, 트렌드에 미치는 파급력은 어떤 집단보다 강하다. 10대들은 대학생 같아 보인다고 이야기하면 기분 좋아한다. 40대 이상도 2~30대 같다고 해야 입꼬리가 올라간다. 그렇다. 2030은 인생의 모든 나이가 선망하는 시기다. 2030이 뭔가를 하면, 대체로 다른 연령대는 그것을 따라 한다. 그 결과 2030은 트렌드가 시작하는 출발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2030 여성은 패션·미용·식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가장 핵심적인 집단(segment)이다. 2030 여성은 트렌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세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트렌드연구자로서, 대학 교수로서, 오랜 시간 2030 여성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요즘 2030 여성에 대한 개인적 소감은 그 어느 때보다 자기관리 잘하고 당당한, 빛나는 세대라는 점이다. 먼저 성실하다. 학교 생활은 물론이고 건강 관리나 다이어트에 이르기까지 자기관리에 철저하다. 또한 당당하다. 과거에는 남성지향적 사회적 분위기 아래에서 뭔가 기를 펴지 못하는 느낌이 다소 있었는데, 요즘은 완전히 다르다. 학업은 물론이고, 동아리·학회 등 학생자치활동 등에서도 여학생들이 전혀 뒤지지 않고, 취업 시장에서도 매우 적극적이다. 한 마디로 스스로 빛나는 세대다.


예뻐진다는 것은 단지 용모의 문제가 아닙니다. 2030 여성에게 몸 관리란 단순히 좋은 피부와 머릿결을 유지하는 일을 넘어섭니다. 건강·화장·시술·성형·패션 등을 포괄하는 매우 총체적인 의미죠. 흔히 화장품으로 대표되는 뷰티에 건강까지 포함되는 셈입니다. 체중 조절을 위한 식단과 다이어트, 혈당 관리, 그리고 운동도 크게 보면 뷰티를 추구하려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외적인 관리와 내적인 관리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이상적인 모습으로 가꾸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최근 콜라겐·비오틴·유산균 등 ‘먹는 화장품’이라 불리는 이너 뷰티 제품을 찾는 2030 세대가 증가한 현상도 이를 반영한 흐름입니다.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싱글즈〉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2030 여성 10명 중 6명은 이너 뷰티 제품을 구매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 중 41%는 이너 뷰티 제품을 규칙적으로 챙겨 먹는다고 응답했고요. 근래 해외 동년배 사이에서도 외면과 함께 내면을 가꾸는 ‘인사이드 아웃(Inside-out)’ 뷰티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는 등 다방면의 자기관리를 통해 총체적인 뷰티를 추구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고요.
30대에 접어들면서는 건강이 뷰티를 포함한다고 인식하는 사람이 늘어납니다. 뷰티를 건강의 일부로 보고, 외형보다 건강함을 중요하게 여기기도 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들 또한 한때는 자기관리의 최종적인 목표가 외형을 가꾸는 데 있다고 여겼다는 점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저마다의 이유로 건강을 더 중시하는 자기관리 가치관을 갖게 되면서, 이제는 건강해야 외적인 아름다움도 자연스럽게 드러난다고 믿게 된 것이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638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