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화폐/금융/재정
· ISBN : 9791193638705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5-05-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시진핑의 중국몽, 위안화는 달러를 대체할 수 있을까
1부 코앞까지 온 위안화의 현실
1장 디지털 선점 전략
디지털 위안화로 앞서간다
민간의 혁신이 몰고온 중국의 디지털 금융 혁명
엠브릿지로 국경을 넘는 위안화
2장 세계로 나가는 위안화
통화스와프로 신흥국을 엮어간다
판다본드와 딤섬본드로 세계에 침투하다
글로벌 위안화의 첨병, 중국 국부펀드
위안화 교두보이자 실험장, 홍콩
3장 달러 패권 전략을 따라 하는 위안화 전략
페트로위안화, 사우디와 손을 잡다
중국 버전의 세계은행, AIIB
시진핑의 중국몽, 일대일로 프로젝트
비장의 무기, SWIFT 대체 노리는 CIPS
비자와 마스터카드의 자리를 노리는 유니온페이
신용평가사 '다궁'의 도전
2부 위안화 영토 넓히기
4장 서방 주도 국제 질서의 재편 전략, 브릭스
G7에 대항하는 신흥국들의 협력체
서구 금융에 도전하는 브릭스의 금융 네트워크
브릭스 공동통화 구상
세계 영향력 확대를 꾀하는 브릭스플러스
5장 경제에 안보를 더해 끈끈해진, 국제협의체
‘3대 악’에 대응하는 상하이협력기구
중국과 아세안 간의 핵심,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둘러싼, RCEP vs. IPEF
인구와 에너지의 보고,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
3부 미국의 압박 vs. 중국의 도전
6장 미국의 견제와 봉쇄전략
어제의 우방이 오늘의 적국
달러 패권을 사수하는 미국
수위를 높여가는 대중국 압박 전략
USCC에서 마러라고 합의까지, 대중국 경제·안보 전략의 진화
7장 중국의 지구전
중국의 무기
중국의 모순과 도전
100년의 마라톤, 시간은 누구의 편인가
에필로그. 금융 패권으로 이동하는 미중 전쟁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디지털 위안화는 ‘프로그래머블 머니 Programmable Money’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중앙은행이 통화정 책을 실시할 때 모든 가입자에게 직접 적용할 수 있어 정책 효과가 극대화된다. 예를 들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여러 나라가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도입했지만 일반 시민들에게 직접 적용하기 어려웠다. 프로그래머블 머니가 보편화된다면 모든 계좌 소유자에게 마이너스 금리를 즉각 적용해 은행에 예치된 돈을 소비나 투자로 유도하는 것이 더 쉬워질 것이다. 또한 경기 부양을 위해 종종 사용되지만 결과가 불투명한 양적완화에 의지하기보다는 보조금을 직접 지급하거나 특정 계층에 선별적인 혜택을 주는 등의 훨씬 효율적인 정책 집행이 가능해진다.
프로그래머블 머니의 특성과 더불어 디지털 위안화는 금융 포용성을 높이는 데도 효율적이다. 은행 계좌가 없거나 신용도가 낮아 금융 서비스에서 소외되었던 사람들도 스마트폰만 있다면 쉽게 금융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의 경제활동이 활성화되고 소비가 촉진되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_‘디지털 위안화로 앞서나간다’ 중에서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전략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서 본 국가 간 통화스와프, 해외 직거래시장 설립, 그리고 국경 간 결제망이 바로 그것이다. 이 중 통화스와프와 직거래시장은 중국이 상대국 중앙은행과 협정을 맺어 운영하는 방식이다. 통화스와프가 중국 측에서 금융 지원을 제공하는 성격이라면, 직거래시장은 중국이 상대국에 요청하여 개설되는 특징을 갖는다. 통화스와프를 체결한 나라들은 주로 위안화를 차입하여 활용하는 반면, 직거래시장은 아직 개설된 국가가 많지 않고 거래 규모도 상대적으로 크지는 않다.
중국인민은행의 위안화 국제화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9월 기준으로 전 세계 29개국 31개 도시에 위안화 직거래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초기에는 2003년 홍콩을 시작으로 2012년에 대만과 마카오, 2013년에 싱가포르 등 중화권 지역을 중심으로 설치되었다. 2014년에는 런던, 프랑크푸르트, 파리 등 글로벌 금융 중심지에 집중적으로 진출했으며, 같은 해 서울에도 원/위안화 직거래시장이 문을 열었다. 보다 최근인 2022년에는 브라질 상파울루에 헤알/위안화 직거래시장을 비롯해 카자흐스탄, 파키스탄, 라오스 등으로 확장되면서 위안화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크게 확대되었다._‘통화스와프로 신흥국을 엮어간다’ 중에서
페트로달러를 통해 흔들리던 달러 패권을 안정시킨 역사적 경험은 중국에게 ‘페트로위안화’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만약 원유 거래를 위안화로 결제할 수 있다면, 국제 금융과 상품 시장에서 위안 화의 위상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미국 중심의 페트로달러 체제에 균열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한 경제적 이익을 넘어 기축통화 질서의 변화라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전략적 판단 속에서, 중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2022년 12월 원유 거래에서 위안화 결제 도입을 추진하는 데 합의했다. 이 소식은 국제 사회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전통적으로 중동 지역은 미국의 영향력이 강한 곳이었으며, 미국이 이 지역의 주요 분쟁을 중재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오랜 외교적 관행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이 원유 시장에서 위안화 사용을 확대하는 동시에 중동 외교 무대에서도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지정학적 변화가 감지되었다._‘페트로위안화, 사우디와 손을 잡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