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폐번치현

폐번치현

(일본 근대국가 탄생의 무대 뒤)

가쓰타 마사하루 (지은이), 김용범 (옮긴이)
교유서가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820원 -10% 0원
590원
17,230원 >
17,82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782원
16,038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500원 -10% 720원 12,330원 >

책 이미지

폐번치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폐번치현 (일본 근대국가 탄생의 무대 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93710258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4-04-25

책 소개

2014년 가도카와문고에서 출판된 가쓰타 마사하루의 『폐번치현 근대국가탄생의 무대 뒤(廃藩置県―近代国家誕生の舞台裏)』의 번역서로, 메이지유신기 폐번치현을 단독으로 다룬 책으로는 국내 첫 소개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장 번(藩)이 사라진 날

제1장 유신정권이 탄생한 날
1. 왕정복고 대호령
2. 부번현 세 통치 체제의 성립
3. 보신전쟁은 무엇을 바꾸었는가

제2장 판적봉환과 번체제
1. 기도·오쿠보의 계획
2. ‘토지 인민 반환’을 상주한 번주들
3. 봉건인가 군현인가―지방제도의 모색
4. 번주의 영유권이 부정된 때

제3장 중앙집권화로 가는 길
1. 핍박하는 번 재정
2. 번제(藩制) 제정
3. 서남 웅번들의 반발

제4장 일대비약으로서의 폐번치현
1. 폐번건백의 움직임
2. 친병창설의 위력
3. 혼미한 정부개혁
4. 폐번 단행으로

제5장 폐번치현의 충격
1. 반란은 어째서 일어나지 않았는가
2. ‘구 번주 만류’ 봉기
3. 외국인이 본 폐번치현

제6장 메이지 중앙집권국가의 탄생
1. 중앙관제 개혁
2. 구 번 세력과의 단절
3. 메이지 집권시스템의 성립

종장 이와쿠라사절단의 출발

저자 후기 | 문고판 저자 후기
참고 문헌 | 연표 | 부번현(府藩県) 대조표
역자 후기 | 찾아보기

저자소개

가쓰타 마사하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니가타현 출생. 와세다대학 졸업 후, 동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현재 고쿠시칸대학 명예교수. 전공은 일본 근대사. 저서로는 『내무성과 메이지국가형성』(吉川弘文館) 『〈정사가(政事家)〉오쿠보 도시미치― 근대일본의 설계자』(講談社選書メチエ) 『오노 아즈사와 자유민권』(有志舎) 『강좌 메이지유신 근대국가의 형성』(공저, 有志舎) 『오쿠보 도시미치와 동아시아』(吉川弘文館) 『메이지국가와 만국대치』(KADOKAWA)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 홋카이도대학 법학부 졸업. 일본 행정서사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근무중이다. 역서로 『민주주의는 끝나는가― 벼랑 끝에 서 있는 일본』 『새로운 인간관계를 창출하는 경영전략―일본의 호스피탈리티 매니지먼트』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필자가 폐번치현론을 발표하고 나서 이미 23년이나 시간이 흘렀다. 그간에 필자의 폐번치현론에 수정을 가할 정도의 비판이 밀려오지는 않았으며, 지금도 그 견해는 바꾸지 않고 있다. 또한 그와 별개로, 일본 이외의 나라에 처음 소개되는 것은 뜻하지 않은 기쁨이었기에, 이번의 한국어판 간행 및 서문을 흔쾌히 수락하게 되었다.
_「한국어판 서문」 첫 문단


폐번치현은 ‘만국과 대치’하는 데에 필요한 중앙집권을 실현하기 위함이 목적이었다. ‘만국과 대치’한다는 것은 ‘모든 나라들’과 ‘마주보며 선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만국대치(万??峙)는 당시 어떻게 사용되었던 것인가?
_「한국어판 서문」에서


에도시대의 체제는 막번체제로 불린다. 막부(쇼군)와 번(다이묘)을 기축으로 한 정치사회체제이다. 따라서 막부의 타도와 붕괴뿐만 아니라, 번을 소멸시키지 않으면 진정한 의미에서 에도막부체제 시대가 끝났다고 할 수 없다. 왕정복고를 결행하여 막부를 무너뜨린 것은 사쓰마·조슈 양 번을 중심으로 하는 제번과 공가(公家)에 의한 도막파이고, 번을 소멸시킨 것이 그 도막파에 의한 유신정권이다.
_「번(藩)이 사라진 날」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71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