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비전 & 정장 조끼

비전 & 정장 조끼

볼레스와프 프루스 (지은이), 리디아 자멘호프, 장정렬 (옮긴이)
진달래출판사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비전 & 정장 조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비전 & 정장 조끼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세계의 소설 > 동유럽소설
· ISBN : 9791193760062
· 쪽수 : 98쪽
· 출판일 : 2024-04-05

책 소개

볼레스와프 프루스 단편소설 『비전』은 1899년 5월 22일 썼다고 저술 시점을 기록해 놓고 있다. 이 작품은 작가의 유작 전집(1935년, 바르샤바) 중 『단편소설 제4권』에 실렸다. 그보다 앞서 1930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에스페란토 번역본이 발간되는데, 당시 이 작품을 번역한 이는 국제어 창안자 자멘호프의 딸 리디아 자멘호프이다.

목차

작가 소개 6
작품 소개 9

『La vizio(비전)』
Ĉapitro I 10
Ĉapitro Ⅱ 18
Ĉapitro Ⅲ 28
Ĉapitro Ⅳ 34
Ĉapitro Ⅴ 42
Ĉapitro Ⅵ 54
『La veŝto(정장 조끼)』 58
우리말 역자의 후기 92
편집실에서 94

저자소개

볼레스와프 프루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볼레스와프 프루스(Bolesław Prus, 본명: Aleksander Głowacki, 알렉산더 그오바츠키, 1847 – 1912)는 폴란드의 소설가이자 폴란드 문학과 철학사에서 선도적인 인물이었다. 15살의 학창 시절 러시아 지배에 저항하여 일어난 1863년 1월 봉기에 가담했다가 부상 당한 뒤 감옥에 수감되었다. 대학에 다니다 경제적 이유로 중퇴하고 가정 교사, 야금 공장 노동자 등으로 일했다. <니바Niwa>에 발표된 전류에 관한 논문이 유명해졌고, 이후 주간지 <파리Mucha> 편집에 참여하며 단편소설 『철학자와 무식꾼Filozof i prostak』과 『이것과 저것(To i owo)』을 이곳에 발표한다. <바르샤바 신문Kurier Warszawski>, <폴란드 신문Gazeta Polska> 등 신문, 잡지에 칼럼과 소설을 꾸준히 연재한다. 특히 1875년 <바르샤바 신문>에 연재하기 시작한 칼럼으로 유명해졌는데, 이 연재는 1887년까지 이어졌다(중간에 10개월 연재 중단). 1879년 국제문학협회 회원이 되었고 이 해에 소설 『스타시의 모험Przygoda Stasia』을 발표했다. 다음 해에 폴란드 문학으로는 처음으로 노동자들의 파업을 묘사한 중편소설 「돌아오는 물결」과 단편소설 『미하우코Michałko」를 발표했다. 1882년 일간지 <새 소식> 편집장이 되었으나 이듬해 폐간되어 다시 <바르샤바 신문>으로 복귀했다. 『침묵하는 목소리들』, 『어린 시절의 죄』, 『실수Omyłka』, 『초소Placowka』, 『인형Lalka』, 『여성 해방론자들Emancypantki』, 『파라온Faraon』, 『삶의 가장 일반적인 이상들』, 『어린이들』 등 많은 작품을 연재하고 발표했다. 1912년 65세의 나이로 바르샤바에서 사망했다. 1887년부터 신문에 연재하다가 1890년 단행본으로 출간한 『인형』은 폴란드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소설로 손꼽히는 작품이자, 세부적인 묘사와 단순하고 명쾌한 언어가 돋보이는 사실주의 대표작이다. 『인형』의 저자는 이 작품을 통해 폴란드 귀족들의 완고한 특권 의식, 도덕적 해이, 경제관념의 부재, 노동에 대한 경시, 시대 변화에 대한 무지 등 폴란드 근대화에 장애가 되는 봉건주의적 잔재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또 이 소설에는 작가의 온화한 심성과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이 잘 반영되어 있다. 귀족부터 빈민에 이르는 광범위한 사회 계층의 갖가지 인간관계를 분석하고 비판한, 폴란드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한국어로도 을유문화사에서 2016년 출간되었다. 이 작품은 영화, 연극, TV 연속극으로 방영된 폴란드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소설이다. 역사 소설인 『파라온Faraon』은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정치 권력과 국가 운명을 다룬 작품이다.
펼치기
장정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1년 창원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1988년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통상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국제어 에스페란토 전문번역가와 강사로 활동하며, 한국에스페란토협회 교육 이사를 역임하고, 에스페란토어 작가협회 회원으로 초대된 바 있다. 1980년 에스페란토를 학습하기 시작했으며, 에스페란토 잡지 La Espero el Koreujo, TERanO, TERanidO 편집위원, 한국에스페란토청년회 회장을 역임했다. 거제대학교 초빙교수, 동부산대학교 외래 교수로 일했다. 현재 한국에스페란토협회 부산지부 회보 ‘TERanidO’의 편집장이다. 세계에스페란토협회 아동문학 ‘올해의 책’ 선정 위원.
펼치기
리디아 자멘호프 (옮긴이)    정보 더보기
Lidja Zamenhof, 에스페란토 창안자 L. L. 자멘호프(L. L. Zamenhof)의 막내딸인 리디아(Lidia) 자멘호프(Lidja [Lidia] Zamenhof)(1904 - 1942)는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태어났다(당시 제정러시아) 그녀는 에스페란토와 또한 그녀의 아버지가 공식화한 일종의 종교적, 윤리적 세계 시민권인 인문주의의 적극적인 옹호자였다. 1925년경 그녀는 바하이(Bahai)교 운동의 일원이 되었다. 1937년 말에 그녀는 바하이교와 에스페란토를 가르치기 위해 미국으로 갔다. 1938년 미국 이민 문제로 인해 폴란드로 돌아가 그곳에서 계속 가르치고 많은 바하이 종교 서적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했다. 유대인 출신인 그녀는 1942년 여름 이후 독일의 트레블링카 수용소에서 살해당했다. 리디아 자멘호프는 에스페란토 운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훌륭한 에스페란토 언어 능력으로 1905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폴란드 작가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작품 『쿼바디스』를 번역했다. 서울에스페란토문화원 이중기 원장의 번역으로 그녀 삶을 소개한 『우리는 살 것입니다 Ni vivos!』(율리안 모데스트 지음)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