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93790984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2000년대 젊은 시인들의 시적 원형구조
2부. 시의 발견, 기쁨의 자리
관계의 합치, 어울림의 감각 _정병근, 박형권, 유종인, 김유선
중년의 불안한 이중성 _전동균, 정병근, 장무령
삶의 무효성에 대한 고전적 응답 _최종천, 이정록, 길상호, 윤제림
풍경의 뉘앙스와 표정 _권대웅, 박소란, 유종인, 문정영
도시의 갈망 _전동균, 임동확, 안숭범, 조미희
해명할 수 없는 어떤 본래의 삶 _변종태, 이윤학, 문성해
유예된 관계의 시학 _천수호, 전원책, 장석남, 김경주, 전동균, 길상호
감각과 기억, 그리고 감정의 관계 _신달자, 오현정, 박성우, 문성해, 조용미, 허연
풍경의 조작 _최문자, 박철, 이상국, 임경묵, 황인찬
긴장으로 발현되는 시적 계기 _조용미, 조은길, 하린, 심상옥, 박완호, 황수아
초월의 또 다른 표정 _천서봉, 이인서, 박은형, 김경후, 오성인, 조정인
변두리적 삶에 대한 내파(內波) _최영철, 심재휘, 최문자, 황인숙, 조옥엽, 안희연
지속의 순간들 _박남희, 조용미, 김경후, 백인덕, 김관용, 전동균
익명성과 보편성의 관계 _원동우, 안정옥, 조성국, 이용헌, 조미희, 송재학
시인의 욕망 사용법 _감태준, 신혜정, 이진희, 최금진
정서의 파문 _김륭, 권오영, 이만영, 강연우
서정의 환경들 _이승희, 배한봉, 강인한, 임경묵
서정시의 능동성 _문성해, 문신, 이재연, 장만호
3부. 당선 시로 배우는 시의 기술
시작을 위한 준비 기술
발명과 발견을 위한 발상의 기술
이미지를 위한 기술
저자소개
책속에서
장르는 문자적 질량 아래에 감춰져 있는 의미의 외연과 내포를 동시에 거느리는 행위의 일종이다. 특히 시라는 장르는 시인이 이러한 언어의 이중적 작용을 통해 언어의 질량을 삶의 질량으로 치환하는 매력적 행위다. 위 작품에는 조정인 시인만의 고유한 시 쓰기 방식이 반영되어 있다. 모든 시인이 자신만의 방식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것이 어느 정도의 개성을 지니고, 얼마만큼의 변별력을 갖추고 있느냐에 따라 다른 차원의 것이 된다.
경험적 감각만으로 도달할 수 없는 저 너머의 세계에 대한 시인들의 탐구를 통해 우리는 시인들의 감각과 체험을 경험하고, 세계가 하나로 본질적으로 통합되는 과정과도 조응한다. 그리고 이러한 미학적 여정은 어떤 경계를 넘나드는 일이 된다. 현실과 내면의 초월 자체가 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초월을 향하는 견고한 입장이 비로소 한 편의 시가 된다.
시인은 누구나 인지하고 있는 보편적 대상에 깊고 참신한, 자신만의 특별한 발상으로 접근하여, 시적 대상에 드리운 친숙함을 무너뜨리고 이전에 없던 낯선 방식으로 자신의 절박함을 드러낼 때 진정한 개성을 발휘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