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천문학 > 우주과학
· ISBN : 9791194273165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5-03-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 사실 달은 가깝지 않다
세상에서 가장 높은 곳에 가족 사진을 걸어두고 온 여행자
지구에서 달까지의 시간은 빛의 속도로 1.25초
달 표면에 두고 온 인류의 특별한 전리품들
1mm의 차이가 만든 달 탐사의 운명
현대인보다 더 바빴던 공룡의 하루
손가락 하나로 달까지 거리 재기
우주의 지도를 그리는 첫 번째 관문, 시차
2장 | 외계 생명체 죽느냐 사느냐, 거리가 문제로다
금성에 외계 생명체가 있을 것이라는 소문
금성의 또 다른 이름, 샛별 또는 개밥바라기
수차례 시도된 금성의 태양면 통과 관측
전설 속의 대장장이 행성 벌칸
수성의 틀어짐 속에서 피어난 아인슈타인의 이론
우연이라기에는 너무 잘 들어맞는 우연
다시 주목받는 천문학의 흑역사
3장 |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지도 그리기
도굴꾼이 훔쳐간 우주를 담은 유물
오리온을 피해 밤하늘로 도망간 일곱 자매
진짜 별이 쏟아지는 진정한 별똥별
은하수를 부유하는 유목민
뒤늦게 입증된 갈릴레오의 지동설
광년, 사실 천문학에서 쓰지 않는 버려진 단위
혼자만 다른 값을 제시하는 히파르코스의 미스터리
지구를 벗어나는 순간 쓸모 없는 지구의 별자리
4장 | 영혼을 비추는 촛불은 밤하늘의 별빛이 된다
외계인을 찾는 가장 과학적인 방법
별의 밝기를 재는 기준이 되어준 촛불
모든 별에게 적용되는 공정한 규칙
별빛의 팔레트로 우주의 지도를 색칠한다
거리가 어긋나는 별에 외계인이 산다
5장 | 은하들의 바다를 비추는 변덕스러운 등대 불빛
유리 조각에 담긴 별빛의 추억
페루의 밤하늘이 레빗에게 전해지기까지
우주를 항해하는 여행자를 위한 길잡이
나선 성운이 빛나는 밤에
허블과 섀플리의 치명적인 실수
6장 | 보이는 세계 너머 보이지 않는 세계
우주에서 가장 보편적인 시계
외계인이 보낸 메시지로 완성한 우리은하의 지도
우리은하에 외계인이 아니라 유령이 살고 있다
은하의 지도를 너머, 은하 속 별 하나하나까지
7장 | 우주의 지평선은 계속 물러나고 있다
달리는 열차의 나팔 소리
우주를 떠도는 열차의 경적 소리
진실은 항상 꿈틀거린다
일제히 멀어지는 건포도 알갱이들의 움직임
도망가는 은하의 속도를 알면 거리를 알 수 있다
우주 끝자락까지 지도를 그릴 수 있는 방법
8장 | 별의 지도에서 미래를 내다보는 21세기 점성술사
예고 없이 찾아오는 별의 폭발
별의 죽음을 가르는 경계
별의 최후를 너머 우주의 최후를 향해
표준 촛불 vs 표준화 가능한 촛불
우리 우주는 운이 좋았다
에필로그 –끝나지 않은 거리 전쟁
은하들도 거리 두기를 한다
하나의 우주, 두 개의 팽창, 우주가 보여주는 불협화음
저자소개
책속에서
45억 년 전 지구는 지금보다 훨씬 빠르게 자전했다. 당시의 하루는 겨우 여섯 시간뿐이었다! 이후로 지구의 자전 속도는 꾸준히 느려졌고, 하루의 길이도 길어졌다. 100년마다 평균 약 2ms (밀리초), 대략 10만 년마다 하루가 1초씩 길어지고 있다. 일이 많이 밀려 있어서 하루가 너무 짧다고 불평해본 경험이 있다면 이제 행복해해도 좋다. 하루가 조금만 더 길어졌으면 좋겠다는 현대인의 바람은 아주 천천히 이루어지는 중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바쁜 하루는 공룡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닐지 모른다. 약 1억 년 전 지구에 살던 공룡들은 지금보다 무려 한 시간이나 짧은 23시간의 하루를 보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이 아무리 바쁘다 한들 23시간밖에 안 되는 하루를 살아야 했을 공룡보다 바쁘다고 이야기할 수 있겠는가!
_<현대인보다 더 바빴던 공룡의 하루> 중에서
더 이상 태양과 지구 사이 거리를 가늠하기 위해서 금성의 태양면 통과에 의지하지 않는다. 하지만 금성의 작고 귀여운 실루엣이 눈부신 태양 원반 앞을 가로질러 지나가는 모습은 여전히 눈길을 사로잡는 매력적인 우주 쇼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금성의 태양면 통과는 2012년 6월 5일에 있었다. 만약 그때의 기회를 놓쳤다면? 바로 다음에 있을 금성의 태양면 통과는 2117년에 있을 예정이다. 거의 100년 뒤다. 다음 기회를 노리는 건 거의 어려워 보인다. 이처럼 가혹하게도 우주 쇼는 자주 찾아오지 않는다. 우리가 매번 하늘에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하는 이유다.
_<수차례 시도된 금성의 태양면 통과 관측>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