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천문학 > 천문학/별자리/역법
· ISBN : 979119463418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5-04-23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4
1장 우주
어디서부터 우주일까? 14
우주는 왜 깜깜할까? 20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29
우주는 정말 사람의 뇌를 닮았을까? 37
우리은하는 왜 납작할까? 48
우리은하는 왜 회전할까? 53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가 부딪히면 어떻게 될까? 62
2장 별과 행성
왜 초록색 별은 없을까? 72
태양은 왜 한 번에 타지 않을까? 79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 89
행성 궤도는 왜 납작할까? 95
소행성 충돌로부터 지구를 지킬 수 있을까? 104
달 주변에도 달이 있을까? 112
목성의 태풍은 언제 사라질까? 120
토성 고리가 왜 가장 뚜렷할까? 128
명왕성 너머에 또 다른 행성이 숨어 있을까? 138
3장 블랙홀과 천체
블랙홀은 뜨거울까? 152
블랙홀은 얼마나 무거울 수 있을까? 165
블랙홀의 사진은 어떻게 찍을까? 171
지구 주변에서 초신성이 터지면 어떻게 될까? 179
4장 우주 탐사와 인류의 도전
보이저 탐사선은 10억 년 뒤 어디로 가게 될까? 188
우주에 어떤 동물을 보내야 할까? 195
오우무아무아는 어디에서 왔을까? 203
스타링크 위성은 밤하늘 관측에 방해가 될까? 209
우주에서도 별자리를 보고 길을 찾을 수 있을까? 220
5장 외계 생명체와 문명
우리는 왜 아직 외계인을 만나지 못했을까? 228
생명체를 찾을 때 왜 물을 먼저 찾을까? 234
외계 생명체를 넘어 외계 문명을 찾을 수 있을까? 239
참고 문헌 25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과학은 당연해 보이는 것이 왜 당연할 수밖에 없는지 논리적으로 납득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과학은 모든 것에서 이유를 찾습니다. 과학의 사전에 당연함이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것도,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도, 그 어느 하나 당연한 것은 없습니다. 모두 그런 일이 벌어질 수밖에 없도록 하는 원리와 법칙이 반드시 숨어 있습니다.
- 책머리에
왜 우주는 깜깜할까? 이제 이 질문에 한 발짝 가까이 다가가 더 나은 답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래전 인류는 우주가 무한한 먼 과거부터 하염없이 존재했고, 그래서 우주에 있는 무한히 많은 별의 빛을 빠뜨리지 않고 모두 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자연스럽게 우주는 깜깜할 수 없었죠. 하지만 이제 우리는 적어도 빛으로 볼 수 있는 우주의 범위가 유한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주는 무한한 과거를 살지 않았고,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의 범위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우리의 관측 가능한 우주는 유한합니다.
- 우주는 왜 깜깜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