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5044870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6-07-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 1 부 현대소설과 도시미학의 가능성
인문적 도시연구를 위한 시론
1. 도시인문학과 도시성의 탐구: 공간적, 문화적, 감각적 전환의 의미
2. 연구방법의 검토
3. 도시문학에 나타난 감각의 재구성
4. 도시문학 연구의 방향
메트로폴리스의 시공간과 청년의 삶: 김애란 소설과 도시청년의 감정구조
1. 현대도시와 청년의 삶
2. ‘부재’를 견디는 연민의 양면성
3. ‘잔혹한 낙관’으로 연기된 ‘현재’: 수치심
4. 무기력에서 벗어나는 청년의방법: 마주침의 시도
5. 맺음말
대도시의 미학과 1990년대 한국소설: 하성란의 초기소설을 중심으로
1. 현대도시에서의 불안과 배회
2. 익숙한 새로움과 버려진 사물들의 몽타주
3. 이중도시의 주변인과 멜랑콜리
4. 적극적 수동성과 완성되지 않은 글쓰기
제 2 부 도시의 일상과 도시 공동체
재현공간으로서의 서울, 미아리 달동네: 김소진의 <장석조네 사람들>
1. 머리말
2. 후기 자본주의 도시 속 낯선 공간, 달동네
3. 산동네의 일상을 지배하는 가까움의 감각과 그 의미
4. 폐쇄성과 이질성, 미아리 달동네라는 헤테로토피아
5. 맺음말
<원미동 사람들>에 나타난 도시의 일상과 도시공동체의 의미
1. 텍스트로서의 도시와 도시성의 탐구
2. 강요된 침묵과 도시인의 우울
3. ‘거리’의 서사와 도시공동체
4. 공감과 공유에 기초한 감성적 연대
5. 맺음말
제 3 부 동아시아 국제도시에 투영된 월경의 상상력
이효석과 유진오의 도시 읽기: '하얼빈', '신경'
1. 머리말
2. 관찰자의 우울과 상상의 세계: 하얼빈
3. 부재의 흔적과 사실의 세계: 신경
4. 도시경관에 투영된 부정성과 그 의미
5. 맺음말
일제 말 북경의 의미와 동아시아의 미래: 김사량의 <향수>
1. 머리말
2. 북경의 중층성과 전향의 세 유형
3. 이중언어 상황과 민족적 표지로서의 전통문화
4. 유혹과 고통으로서의 ‘향수’와 구원의 의미
5. 김사량, 북경 그리고 동아시아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