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6195262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6-29
책 소개
목차
서문 : 매체와 감각으로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을 사유하다 (김은주) 5
1부 디지털 포스트휴먼 신체성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 주체가 될 수 있는가? (김재희) 18
포스트휴먼 신체와 공생의 거주하기 : 정동체로서 포스트휴먼 신체 (김은주) 60
2부 디지털 혼합현실과 사이보그
한국 혼합현실 서사에 나타난 ‘디지털 사이보그’ 표상 연구 : 웹소설을 중심으로 (유인혁) 104
자본주의 리얼리즘 시대의 호모데우스와 사이보그 글쓰기 (이양숙) 139
디지털 도시화와 사이보그 페미니즘 정치 분석 : 인정투쟁의 관점에서 본 폐쇄적 장소의 정치와 상상계적 정체성 정치 (이현재) 173
3부 디지털 감각의 변화와 포스트휴먼 윤리
포스트휴먼과 관계의 인문학 (이중원) 214
디지털 포스트휴먼 시대의 윤리 : 플랫폼, 개인, 그리고 디지털 쓰레기 (홍남희) 240
감염병 재앙 시대 포스트휴먼의 조건 : 인터넷과 사회적 감각 밀도의 공진화 (이광석) 265
수록글 출처 292
글쓴이 소개 294
저자소개
책속에서
시몽동의 관점에 따르면, 융복합적 네트워킹을 구축하며 ‘구체화하는 기술적 대상들의 앙상블’과, 이를 매개로 정서적 공감과 내적 공명을 실현해 가는 ‘개체초월적인 인간 집단’이, 상호인과작용과 상호조정 속에서 공-진화하는 것이 포스트휴먼 사회의 모습일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 주체가 될 수 있는가?
코로나19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지만, 그것은 성장중심주의의 ‘더 많은 디지털화’나 자축적 ‘뉴노멀’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해야 할 바는 해마다 반복되는 가축 감염병과 기후변화 긴급행동을 실행하는 그레타 튠베리의 연설이다.
― 포스트휴먼 신체와 공생의 거주하기
혼합현실 서사의 독자들은 다만 자신에게 익숙한 대중문화의 재료를 소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상상력을 지지하고 있다.
― 한국 혼합현실 서사에 나타난 ‘디지털 사이보그’ 표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