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

김은주, 김재희, 유인혁, 이광석, 이양숙, 이중원, 이현재, 홍남희 (지은이)
갈무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6195262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6-29

책 소개

카이로스총서 75권. 근대를 전제하고 그로부터 벗어나거나 그 영향 이후라는 반응적 방식의 ‘포스트’(post)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고자 한다. 이 책은 포스트휴먼의 조건을 디지털 기술이 야기한 매체와 감각의 결합이라는 측면에서 좀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방식으로 해명한다.

목차

서문 : 매체와 감각으로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을 사유하다 (김은주) 5

1부 디지털 포스트휴먼 신체성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 주체가 될 수 있는가? (김재희) 18
포스트휴먼 신체와 공생의 거주하기 : 정동체로서 포스트휴먼 신체 (김은주) 60

2부 디지털 혼합현실과 사이보그
한국 혼합현실 서사에 나타난 ‘디지털 사이보그’ 표상 연구 : 웹소설을 중심으로 (유인혁) 104
자본주의 리얼리즘 시대의 호모데우스와 사이보그 글쓰기 (이양숙) 139
디지털 도시화와 사이보그 페미니즘 정치 분석 : 인정투쟁의 관점에서 본 폐쇄적 장소의 정치와 상상계적 정체성 정치 (이현재) 173

3부 디지털 감각의 변화와 포스트휴먼 윤리
포스트휴먼과 관계의 인문학 (이중원) 214
디지털 포스트휴먼 시대의 윤리 : 플랫폼, 개인, 그리고 디지털 쓰레기 (홍남희) 240
감염병 재앙 시대 포스트휴먼의 조건 : 인터넷과 사회적 감각 밀도의 공진화 (이광석) 265

수록글 출처 292
글쓴이 소개 294

저자소개

김재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을지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베르그손의 무의식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생명은 소중한가?』(공저, 2025), 『인공지능 시대의 철학자들』(공저, 2024), 『디지털 포스터휴먼의 조건』(공저, 2021),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공저, 2020), 『시몽동의 기술철학』(2017), 『베르그손의 잠재적 무의식』(2010)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포스트휴먼 지식』(공역, 2022),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2011),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2009), 『에코그라피』(공저, 2002)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교수다. 사회철학과 여성철학을 전공했다. 2004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에서 인정 이론을 여성주의의 관점과 접목한 논문 ≪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Identitatsbegriffe aus Feministischer Perspektive)≫(여이연, 2007)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도시인문학’이라는 융합 학문 분야를 구축하는 작업에 집중해 왔다. 도시성을 기반으로 친밀 관계와 감정 양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연구하는 데 몰두했다. 2016년부터는 국내에 새롭게 등장한 온라인 기반 페미니즘에 관심을 기울이는 가운데 ≪여성혐오, 그 후: 우리가 만난 비체들≫(들녘, 2016)을 출간했다. 최근에는 포스트휴먼, 돌봄, 신유물론, 성차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심화하고 있다. 공역서로는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사월의책, 2011)과 낸시 프레이저의 ≪모욕과 불평등을 넘어≫(그린비, 2016) 그리고 로지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 페미니즘≫(아카넷,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재의 다른 책 >
이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크놀로지, 사회, 생태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에 비판적 관심을 갖고 연구, 비평 및 저술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전공 교수이며,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의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문화 연구, 커먼즈, 플랫폼,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 사회 등에 걸쳐 있다. 《디지털 폭식 사회》, 《피지털 커먼즈》, 《포스트디지털》, 《디지털의 배신》, 《데이터 사회 미학》, 《데이터 사회 비판》, 《뉴아트행동주의》, 《사이방가르드》, 《디지털 야만》, 《옥상의 미학 노트》, IT development in Korea: A Broadband Nirvana?를 썼다. 직접 기획하고 엮은 책으로 《불순한 테크놀로지》,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사물에 수작 부리기》 등이 있고, 그 외 다수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의 다른 책 >
이중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 교수. 주요 연구 분야는 과학철학과 기술철학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석사학위를 받았고, 동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 과정에서 과학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과학철학회 회장과 한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학≫(공저), ≪인공지능의 존재론≫(공저), ≪포스트휴먼과 융합≫(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가 있다. ≪모든 순간의 물리학≫,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을 감수했다.
펼치기
이양숙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융합전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최재서 문학비평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대소설과 도시미학, 디지털 도시 문명과 도시공동체, 도시인의 감정과 친밀관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 :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 2 : 중국』(2018, 공저), 『임화문학연구 5』(2016, 공저), 『현대소설과 글로벌폴리스』(2016), 『서울의 인문학 : 도시를 읽는 12가지 시선』(2016, 편저), 『1930~40년대 경성의 도시체험과 도시문제』(2016, 공저) 등
펼치기
김은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들뢰즈와 브라이도티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포스트 휴먼의 윤리학과 페미니즘, 시민권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 : 『페미니즘 철학 입문』(2021), 『디지털 포스트 휴먼의 조건』(2021, 공저), 『21세기 사상의 최전선』(2020, 공저), 『여성-되기 :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2019), 『여성-되기 :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2019),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2017),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2017) 등 역서 : 『변신 : 되기의 유물론을 향해』(2020), 『페미니즘을 퀴어링!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페미니즘 이론, 실천, 행동』(2018, 공역), 『트랜스포지션 : 유목적 윤리학』(2011, 공역)
펼치기
김은주의 다른 책 >
홍남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미디어 연구자로 디지털 미디어와 기술문화, 디지털 저널리즘, 젠더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 : 『디지털 문해력 이해와 실천』(2023, 공저), 『편향된 기술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2023, 공저),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2022, 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AI와 더불어 살기』(2020, 공저), 『SNS 검열』(2019)
펼치기
홍남희의 다른 책 >
유인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대학교 한국어문학창작학부 조교수.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근대문학에서 웹소설에 이르는 다양한 서사 형식에 나타난 공간적 실천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웹소설은 네트워크화된 개인을 어떻게 재현하는가?」(2020), 「노동은 어떻게 놀이가 됐는가? : 한국 MMORPG와 게임 판타지 장르소설에 나타난 자기계발의 주체」(2019), 「한국 근대문학의 용산 ― 식민지시기 조선인의 용산 경험과 탈식민적 심상지리의 구축」(2019) 등이 있다. 저서 :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펼치기

책속에서

시몽동의 관점에 따르면, 융복합적 네트워킹을 구축하며 ‘구체화하는 기술적 대상들의 앙상블’과, 이를 매개로 정서적 공감과 내적 공명을 실현해 가는 ‘개체초월적인 인간 집단’이, 상호인과작용과 상호조정 속에서 공-진화하는 것이 포스트휴먼 사회의 모습일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 주체가 될 수 있는가?


코로나19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지만, 그것은 성장중심주의의 ‘더 많은 디지털화’나 자축적 ‘뉴노멀’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해야 할 바는 해마다 반복되는 가축 감염병과 기후변화 긴급행동을 실행하는 그레타 튠베리의 연설이다.
― 포스트휴먼 신체와 공생의 거주하기


혼합현실 서사의 독자들은 다만 자신에게 익숙한 대중문화의 재료를 소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상상력을 지지하고 있다.
― 한국 혼합현실 서사에 나타난 ‘디지털 사이보그’ 표상 연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1952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