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산협, 수탉, 들)

이효석 (지은이), 이양숙 (엮은이)
사피엔스21
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300원 -10% 2,500원
350원
8,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산협, 수탉, 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전 한국소설
· ISBN : 9788965881391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2-07-06

책 소개

한국을 대표하는 명불허전 작가들의 명불허전 작품들을 엄선하여 모은 '사피엔스 한국문학 중.단편소설'. 17권은 자연의 세계에서 초월을 꿈꾼 작가 이효석의 선집이다. '메밀꽃 필 무렵', '산협', '수탉', '들' 네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저자소개

이효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단편문학의 수작으로 손꼽히는 「메밀꽃 필 무렵」의 작가 이효석. 성(性) 본능과 개방을 추구한 새로운 작품경향으로 주목을 끌기도 했던 1920년대 대표적인 단편소설 작가였다. 강원도 평창 출생으로 경성 제1고보(현재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경성제국대학(현재의 서울대학교) 법문학부 영문과 를 졸업하고 1928년 [조선지광]에 단편 「도시와 유령」을 발표하면서 동반작가로 데뷔하였다. 「행진곡」, 「기우」 등을 발표하면서 동반작가를 청산하고 구인희(九人會)에 참여, 「돈」, 「수탉」 등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1934년 평양 숭실전문 교수가 된 후 「산 」, 「들 」 등 자 연과의 교감을 수필적인 필체로 유려하게 묘사한 작품들을 발표했고, 1936년에는 한국 단편문학의 전형적인 수작이라고 할 수 있는 「메밀꽃 필 무렵」을 발표하였다. 그의 문체는 세련된 언어, 풍부한 어휘, 시적인 분위기로 요약할 수 있으며, 시적인 정서로 소설의 예술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1942년 평양에서 결핵성 뇌막염으로 3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이양숙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융합전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최재서 문학비평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대소설과 도시미학, 디지털 도시 문명과 도시공동체, 도시인의 감정과 친밀관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 :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 2 : 중국』(2018, 공저), 『임화문학연구 5』(2016, 공저), 『현대소설과 글로벌폴리스』(2016), 『서울의 인문학 : 도시를 읽는 12가지 시선』(2016, 편저), 『1930~40년대 경성의 도시체험과 도시문제』(2016, 공저) 등
펼치기

책속에서



작품의 초반에 허 생원이 나귀를 못살게 구는 각다귀들을 내쫓는 장면에서 허 생원이 왼손잡이라는 것이 드러나는데, 이것은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서 동이가 왼손잡이라는 것과 겹치면서 이들이 한 핏줄임을 강하게 암시해 줍니다. 그리고 허 생원이 충줏집과의 일로 동이를 꾸짖는 자리에서 동이에게 “네게도 애비 에미 있겠지.”라고 말하는 장면은, 작품의 후반부에 동이가 제게는 애비가 없다는 고백과 연결되면서 동이로 하여금 자신의 출생을 이야기하게 만드는 계기를 부여합니다. 또한 밤길을 걷기 직전에 서술된 “장돌이를 시작한 지 이십 년이나 되어도 허 생원이 봉평장을 빼논 적은 드물었다.”는 부분 역시 이후에 밝혀지는 허 생원의 기구한 사연과 연결되어 독자로 하여금 앞과 뒤의 내용을 연결시켜 작품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줍니다. …
- <메밀꽃 필 무렵> 작품 해설 중에서


… 봉평면 남안리(현재는 ‘창동리’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는 작가 이효석이 태어난 곳이기도 합니다. 그곳은 대도시인 원주에서 삼백 리나 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울창한 산림으로 가로막혀 고립되어 있는 곳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작품 안에서 마을 사람들은 원줏집이 가져온 담배나 비누 등을 신기해하는가 하면, 자동차를 처음 보고 놀라 쓰러졌다는 말을 하기도 하는데 이를 통해 이곳이 얼마나 궁벽한 곳인지 잘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소금 정도를 제외한 거의 모든 물건을 농사를 통해 자급자족해 살아가는 마을입니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을 모호하게 처리하고 공간적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정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문명에서 고립되어 자족적으로 살아가는 산골 마을 사람들에게 닥쳐온 불행과 변화를 중심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
- <산협> 작품 해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