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프로이트
· ISBN : 9791195095407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5-06-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왜 프로이트를 읽어야 하는가
1강 프로이트 사유의 지층들
사유의 도약과 단절 / 태초에 만남이 있었다 / 독서의 메소드 / 히스테리의 시대 / 성충동의 시대 / 나르시시즘의 시대 / 죽음 충동의?시대
첫 번째 패러다임 _히스테리의 시대
2강 태초에 사건이 있었다
정신분석의 기원 / 기억하는 인간 / 히스테리, 기억의 질병 / 증상 형성의 두 가지 축 / 무의식의 동력에서 무의식의 언어로 / 기억의 통시태 / 기억의 공시태
3강 무의식은 말한다
꿈의 작업 / 해석과 망상 사이 / 육체의 언어인가 언어의 육체인가 / 기억으로서의 욕망
두 번째 패러다임 _성충동의 시대
4강 태초에 성욕이 있었다
뉴로티카에서 에로티카로 / 충동의 제국 / 본능이 아닌 충동 / 유아기, 기억의 저편 / 퇴행과 고착
5강 프로이트의 고고학
유년의 선사시대 / 쾌락의 고고학 / 대상의 논리학 / 충동은 어디에 쓰이는가 / 충동은 지식을 좋아해 / 아이들의 이론들 / 기원적 수수께기
세 번째 패러다임 _나르시시즘의 시대
6강 나르시시즘의 메타심리학
편집증자 슈레버 / 자아도 대상이다 / 이상의 병리학 / 리비도의 분배와 이동 / 정신병에서의 전이의 문제 / 전이의 유형학 / 정신분석 치료의 진화 / 충동과 충동의 운명
7강 나르시시즘의 문제들
나르시스트 오이디푸스 / 남근적 나르시시즘 / 발달의 단계들 / 리비도의 등식들 / 환상의 변환 / 환상의 문법 / 망상의 문법
네 번째 패러다임 _죽음 충동의 시대
8강 죽음 충동의 아포리아
쾌락원칙을 넘어서 / 죽음 충동의 가설들 / 문제로서의 현상 / 여자의 마조히즘
9강 죽음 충동의 메타심리학
정신의 새로운 지형도 / 초자아의 역설 / 죽음 충동과 양가감정 / 새로운 수사학을 찾아서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세계에 대해, 그리고 인간에 대해 점점 더 많은 것들을 알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는 우리 자신의 삶 속의 분열에 대해서는 알고 싶어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과학의 발달에 의해 이뤄진 지식의 확장은 역설적이게도 더 많은 정신적인 나르시시즘을 생산해낸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나르시시즘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는 과거에 비해 더 많은 것들을 희생하고 있다. 예컨대, 진화심리학자가 학문의 차원에서 아무리 인간을 털 없는 원숭이 정도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하더라도, 정작 그 개인의 삶에서까지 그 스스로를 털 없는 원숭이로 격하시키진 않을 것이다. 한 명의 개별자로서 그는 자신은 이성을 가진 존재, ‘생각하는 주체’라고 굳게 믿을 것이며, 스스로가 자신의 삶 속에서 자기 자신의 주인이라는 믿음을, 소위 로고스에 대한 믿음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인간 일반에 대한 지식 속에서 정작 자신의 삶은 예외가 되는 것이다. 인간의 혁명에 대해 꿈꾸는 것보다 주체로서의 자신의 삶의 작은 변화에 대해 꿈꾸는 것이 더 어려운 것은 바로 그 때문일 것이다. (p.12)
프로이트의 위대함은 그가 무의식이라는 미지의 땅을 개척한 최초의 인간이었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을 그 누구의 삶도 아닌 자신의 삶을 통해 보여주었으며, 자신의 내밀한 영역까지도 공개하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는 데 있다. 그는 후세로 하여금 무의식이라는 미지의 땅에 발을 들여놓을 수 있도록 자신의 실패까지도 그대로 남겨놓았다. 무의식의 땅을 디딘 최초의 발견자로서 그는 자신이 그것을 어떻게 발견했는지, 어떤 도구로 그것을 발견했는지, 그런 발견을 위해 어떤 무수한 시행착오를 거쳤는지, 심지어 자신이 아는 것과 자신이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를 그대로 남겨주었던 것이다. (p.14)
철학자들과 프로이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종종 이런 이야기가 오갑니다. 프로이트는 누구누구랑 비슷하다, 가령 쇼펜하우어와 비슷하다, 니체와 비슷하다, 심지어는 플라톤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이런 이야기가 철학적인 담론에서는 중요할 수 있지만, 정신분석학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쇼펜하우어나 니체가 정신분석학을 만들어내지 못했다면, 그들은 어떤 식으로도 프로이트와 동일시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정신분석학은 개념으로만 성립되는 학문이 아니기 때문이죠. 비슷한 개념일 수 있지만 프로이트는 그러한 개념을 분석의 경험 속에서, 그 자신의 무의식에 대한 경험 속에서 도출해냈으며, 그리고 그 개념을 통해서 인간을 변화시킬 수 있을 기술을 만들어냈던 것이죠. 여기엔 프로이트의 결단력, 프로이트의 윤리적 선택이 있습니다. 그러한 선택으로 인해 프로이트는 인간 안에 있는 무의식이라는 미지의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고 그곳으로 들어갈 수 있는 문을 연 최초의 사람이자, 그것을 통해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본 최초의 사람이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것은 프로이트를 이해하는 데 굉장히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p.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