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의정원 조선왕릉

신의정원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

이창환 (지은이), 서헌강 (사진)
한숲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의정원 조선왕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의정원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문화유산
· ISBN : 9791195159208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4-05-12

책 소개

그동안 축적된 연구내용과 등재 과정에서 얻은 내용을 정리하여 조선왕릉의 조영적 특성 및 문화유산적 가치, 27대에 걸친 조선의 왕과 왕비에 대한 탄생과 왕실생활 그리고 그들의 정치적 역량 등에 대하여 고증을 통해 서술하였다.

목차

추천사
권두언

제1장 조선왕릉의 개요
1. 조선 왕릉의 개요
2. 능원의 식생경관
3.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올렸던 왕실 제례

제2장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순례
1.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2.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 강씨 정릉
3. 태종과 원경왕후 헌릉
4. 세종과 소헌왕후 영릉
5. 문종과 현덕왕후 현릉
6. 단종의 장릉
7. 단종비 정순왕후 사릉
8. 세조와 정희왕후 광릉
9. 추존왕 덕종과 소혜왕후 경릉
10. 예종과 안순왕후 창릉
11. 예종의 원비 장순왕후 공릉
12. 성종과 정현왕후 선릉
13. 성종의 정비 공혜왕후 순릉
14. 중종 정릉
15.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 온릉
16. 중종의 제1계비 장경왕후 희릉
17. 중종의 제2계비 문정왕후 태릉
18. 인종과 인성왕후 효릉
19. 명종과 인순왕후 강릉
20. 선조와 의인왕후 계비 인목왕후 목릉
21. 추존왕 원종과 인헌왕후 장릉
22. 인조와 인열왕후 장릉
23.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휘릉
24. 효종과 인선왕후 영릉
25. 현종과 명성왕후 숭릉
26. 숙종과 제1계비 인현왕후, 제2계비 인원왕후의 명릉
27. 숙종의 원비 인경왕후 익릉
28. 경종과 그의 계비 선의왕후 의릉
29. 경종의 원비 단의왕후 혜릉
30.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 원릉
31.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 홍릉
32. 추존 진종과 효순왕후 영릉
33. 추존황제 장조(사도세자)와 헌경의황후(혜경궁 홍씨) 융릉
34. 정조와 효의선황후 건릉
35. 순조와 순원숙황후 인릉
36. 추존 황제 문조와 신정익황후 수릉
37. 헌종과 원비 효현성황후, 계비 효정성황후 경릉
38. 철종과 철인장황후 예릉
39. 고종황제와 명성황후 홍릉
40. 순종황제와 순명효황후와 순정효황후 유릉

제3장 조선왕릉의 세계문화유산적 가치와 향후 과제
1. 개요
2. 조선왕릉의 세계유산적 가치
3. 세계유산등재에 따른 기대효과
4.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등재 후 우리의 할일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창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횡성출생으로 성균관대학교에서 조경학으로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중국 북경임업대학교에서 원림건축을 공부하였다. 십수년간 우리나라 왕릉에 대하여 심도있는 연구를 해왔으며, 특히 조선왕릉의 경관 및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2009년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등재시 등재신청서작성과 실사수행을 하기도 했다. 현재는 상지영서대학교 도시조경인테리어과에서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전통조경학회 수석부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한국위원회 집행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조선왕릉 관련하여 《월간문화재》에 2년여간 연재했으며 문화재청 헤리테지채널에 연재한바 있다. 특히 《주간동아》에 43회에 걸쳐 ‘신의정원 조선왕릉’을 연재하였다. 문화재청 주관 ‘조선왕릉 능제복원 기본계획연구’의 책임연구를 수행했으며, 국립문화재 연구소에서 주관하는 ‘조선왕릉 종합학술보고서’를 집필하고 있다. 공저로 《동양조경문화사》 등이 있다.
펼치기
서헌강 (사진)    정보 더보기
충남 천안 출생으로, 중앙대학교 사진학과를 졸업했다. 『뿌리깊은나무』 『샘이깊은물』 사진기자를 역임했으며, 현재 프리랜서 사진가로 활동하고 있다. 「고교생활」(1986), 「보트피플」(1989), 「에이전트 오렌지」(1994), 「인간문화재 얼굴」(2003), 「신들의 정원」(2011) 등 다섯 차례의 개인전을 가진 바 있으며, 『국보대관』 『문화재대관』 『조선왕릉』 『종가의 제례와 음식』 등 문화재 관련 사진작업에 참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1408년 음력 5월 24일, 서울에 많은 비가 내렸다. 새벽 파루에 태상왕 이성계는 가래가 심해져 태종이 급히 달려와 청심원을 드렸으나 삼키지 못하고 눈을 들어 두 번 쳐다보고 창덕궁 별궁에서 74세를 일기로 승하했다. 이날을 양력으로 계산하면 6월 27일이다.
601년 후 2009년 6월 27일 새벽(한국 시각), 스페인의 역사도시 세비야에서 조선왕릉 40기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제33차 세계유산위원회기간 중 태조가 승하한 바로 그 날 그 시각, 그의 후대 왕과 왕비의 유택이 모두 세계유산이 된 것이다. 동방에서 중요시하는 환갑(육십갑자)을 10번 하고 다음해 그날 그 시각이니 우연치고는 대단한 우연이다. 이런 것을 두고 하늘의 뜻이라고 하는 걸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