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한민국 건국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95452712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6-02-04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95452712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6-02-04
책 소개
대한민국의 건국에 기여한 주도적 인물을 이승만 박사로 보고 그의 사상과 행적의 전개를 추적하였다. 그는 1875년 생으로 일찍이 대한제국 시절 독립협회 활동으로 투옥된 독립운동의 전설적 인물이었다.
목차
제1장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장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
제3장 중국, 만주, 국내에서의 독립운동
제4장 대한민국 건국
제5장 건국의 완성은 통일
부 록: 북한 정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성립
저자소개
책속에서
3·1운동은 일본의 한국 지배체제가 헌병경찰체제 확립, 토지조사사업 완성, 지방행정구역 개편, 제1차 세계대전 승전국으로서의 일본의 위상 강화, 제1차 세계대전에 따른 특수 경기에 힘입은 일본 자본주의 완성 등으로 견고한 체제가 구축되어 기능하고 있던 시점에서 폭발한 독립운동이었다.
이승만은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역사상 최초로 수립된 민주공화국의 수반으로 추대되어 해외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이승만은 1919년 4월 5일 만주 접경에 수립된 대한공화국 임시정부의 국무경으로 추대되었고, 4월 11일에는 상해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총리로 선출되었으며, 이어서 4월 23일 '한성임시정부'의 집정관 총재로 추대됨으로써 명실 공히 3·1운동 후 독립운동의 최고지도자로 부상하였다.
중국과 만주에서 활동한 한국인 공산주의자들은 중국공산당 당원이었다. 그들의 독립운동은 중국공산당의 통제 하에 있었다. 1925년 국내에서 조선공산당이 조직되었으나 곧 붕괴되었다. 조선공산당은 네 차례에 걸쳐 조직의 재건을 시도하였지만 실패하였다. 1928년 12월 모스크바의 코민테른은 조선공산당 해체를 명하였다. 그에 따라 국내의 당 조직은 물론 조선공산당 만주총국도 해체되었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