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95465330
· 쪽수 : 249쪽
· 출판일 : 2017-1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추천사
제1부 한글 제자 원리에 따른 문자 교육의 의의와 방향
1장 수업 원칙
발달 단계에 따른 수업
감성적 접근
제자 원리를 활용한 교육
2장 말과 글이 의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 의식 발달 단계
말과 글의 차이
3장 언어 발달 주체성, 시민 의식 관계
근대적 ‘개인’과 ‘국민’
감성과 이성의 조화 = 양심과 의식의 성숙
4장 한글 제자 원리 교육의 필요성
자질 문자의 의의: 문자 발달의 최고 진화 형태
음소의 표의성
훈민정음 제자 원리 교육의 기대 효과
5장 훈민정음의 구성과 주요 내용
예의편
정인지 후서
해례본 제자해
6장 파자해
기본 규칙
파자 적용
실례: 파자해 에세이
제2부 한글 수업 이렇게 해 보세요
1장 대표 수업 예시: ㅁ, ㅂ, ㅍ
· ㅁ―모으다, 종합한다, 뭉쳐 있다
첫 번째 수업―이야기로 ‘ㅁ’ 만나기/두 번째 수업― 그림으로 ‘ㅁ’ 만나기, 몸으로 ‘ㅁ’ 익히기/세 번째 수업―‘ㅁ’이 들어가는 낱말 만나기, 문장 만 들기
· ㅂ―붙고, 떨어지고, 쌓이고, 보이고, 부풀어 오르 고(수직 운동)
첫 번째 수업―이야기로, 그림으로 ‘ㅂ’ 만나기/두 번째 수업―몸으로 ‘ㅂ’ 익히기, ‘ㅂ’ 시 쓰기/세 번 째 수업―‘ㅂ’ 낱말 찾아 쓰기
· ㅍ―펼침, 퍼짐, 평평(수평 운동)
첫 번째 수업―이야기로 ‘ㅍ’ 만나기/두 번째 수업― 몸으로 ‘ㅍ’ 익히기, ‘ㅍ’ 시 쓰기/세 번째 수업― ‘ㅍ’ 낱말 찾아 쓰기
2장 마음 밭 다지기
여는 시
글자 이야기
몸 놀이(라이겐)
우리 말글 노래
3장 홀소리(모음) 자료
天地人(· ㅡ ㅣ)
초출모음(ㅗ ㅏ ㅜ ㅓ)
재출모음(ㅛ ㅑ ㅠ ㅕ)
4장 닿소리(모음) 자료
어금닛소리(아음) ㄱ ㅋ ㄲ
혓소리(설음) ㄴ ㄷ ㅌ ㄸ ㄹ
입술소리(순음) ㅁ ㅂ ㅍ
잇소리(치음) ㅅ ㅈ ㅊ ㅆ
목구멍소리(후음) ㅇ ㅎ
리뷰
책속에서
음소에 대한 교육을 이야기로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이 시기 아이들이 세계를 동화적 환상과 상상으로 이해하고 있을 때이고 교육은 철저히 학생의 의식상태에 부합하는 식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음소가 가진 의미와 형상이 한편으로는 동화적 상상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체험 가능한 형상에 의해 머릿속에서 연결될 때 아이는 문자를 자신이 다룰 수 있는 놀잇감으로 여기게 됩니다. 이 시기 아이들에게 놀이는 학습과 대립하는 과정이 아니고 오히려 학습 자체입니다.
감각 체험과 감성, 이성으로 이어지는 인식 발달은 몸과 말, 글로 이어지는 언어 발달과 조응합니다. 그런데 이 전체 과정을 포괄하고 연결해 주는 어떤 일관된 틀이 없다면 우리 인식은 분열과 파편화를 면할 수 없게 됩니다. 체험 없는 감성, 감성 없는 이성은 내용 없는 형식과 같은 것입니다. 다행히 우리에게는 한글이라는 최고의 문자가 있고, 더불어 세계 문자사에서 유일하게 그 제작과 형성 원리를 설명한 훈민정음이 있습니다. 음양오행이라는 세계관을 바탕으로 소리-형태-뜻을 일관되게 연결한 놀라운 문화유산이 있습니다.
‘한글’의 뜻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대부분 고개를 갸웃할 것입니다. 어떤 이는 고유명사이니 따로 정의가 필요치 않다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무슨 그런 질문이 있냐고. 그래도 어린이나 외국인은 순진하고 자연스러운 입장에서 얼마든지 물을 수 있는 질문이기도 합니다. 우리말에 대한 공부가 좀 있는 이들은 ‘큰(위대한)’ 글이란 뜻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한’이 왜 ‘크고 위대한’이란 뜻으로 풀이되느냐고 물으면 답할 수 있는 이가 있을까요? ‘한’이 ‘크고 위대하다’란 뜻을 가진 글자임을 이해하려면 자음과 모음, 한 자 한 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ㅎ은 오성 값은 후음. 오음 값은 우음입니다. 오행으로 변환하면 수(水)의 성질을 가진 음입니다. 그런데 동양 문화에서 수(水)는 모든 운동의 출발점이자 귀숙처란 의미를 지니고 음양이 분화되기 전 상태의 태극(太極)의 성질을 띠고 있습니다. 동양에서 수=태극의 위상은 도(道)나 신(神)과 같습니다. 성리학의 바탕이 된 태극도설이라는 그림이 이러한 사유를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후(우)음에도 음양이 나뉘어 ㅇ은 상대적으로 내적, 잠재적 근원이라면 ㅎ은 그것이 양적으로 드러난 형상이 됩니다. 모음 ㅏ는 초출 2번째 모음으로 사계절의 봄이자 목(木)값을 가진 각(角)음입니다. 목의 기본 성질은 외부로 발출하는 힘입니다. 종성 자음 ㄴ은 설음의 첫째이며 이제 막 피어난 불, 화(火)를 뜻합니다. 의미상으로는 밝고 환한 상태입니다. 초·중·종성의 오행 값을 회의문자 파자하듯 풀어보면, 양태극(근원, 영원의 나타남)이 힘차게 출현했다는 뜻이 됩니다. 한글은 근원적인 태극이 힘차게 드러난 글, 그래서 크고 위대한 글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