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중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미·중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박정일 (지은이)
휴먼필드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3,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중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중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5511037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8-09-14

책 소개

산업혁명과 일자리의 역사, 무역 전쟁으로 일컬어지는 미·중 패권 다툼, G2를 비롯한 선진 각국의 중장기 경제 정책과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는 세계 IT산업의 전개 상황 등을 두루 살피면서 이를 ‘일자리 창출’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 제1부 ] 미·중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1장 미·중 패권 다툼

1. 중국의 야망
1) 송(宋)나라 번영을 꿈꾸는 중국
2) 중국의 신(新)실크로드 일대일로(一帶一路)
3) 미, 일대일로 맞서 인도·태평양 투자
4) 제조2025 목표, 2049년 경제 대국
5) 세계 500대 기업, 미 1위 중 2위
2. 미·중 일자리 전쟁
1) 21세기 아편전쟁
2) 미·중 무역전쟁의 배경
3) 5G 선점을 위한 일자리 전쟁
4) AI(인공지능) 인재 영입 전쟁
5) ICT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6) 미·중 패권 전쟁 최종 승자

2장 세계는 일자리 전쟁 중

1. 시대별 일자리 중심 도시의 변천
1) 모직 무역도시로서 일자리 넘쳤던 ‘브루게’
2) 무역 거점 확보로 일자리 창출 ‘베네치아’
3) 중개무역으로 일자리 창출 ‘앤트위프’
4) 무역업으로 일자리 창출 ‘제노바’
5) 동인도회사 설립으로 일자리 창출 ‘암스테르담’
6) 산업혁명과 금융산업으로 일자리 창출 ‘런던’
7) 하이테크산업으로 일자리 창출 ‘뉴욕’
8) 스타트업 주도로 일자리 창출 ‘실리콘밸리’
2. 강대국 부상과 일자리 창출
1) 글로벌 스트롱맨의 일자리 창출
2) 신항로 개척으로 일자리 창출한 ‘스페인·포르투칼’
3) 해상무역으로 일자리 창출한 ‘네덜란드’
4) 산업혁명과 식민지 확대로 일자리 창출한 ‘영국’
5) 과학기술대국으로 일자리 창출한 ‘독일’
6) 명치유신으로 일자리 창출한 ‘일본’
7) 2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 창출한 ‘미국’

3장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창출

1. 산업혁명과 일자리
1) 산업혁명이란
2) 산업혁명과 강대국 변화
3) 산업혁명시대별 기업 변화
4) 산업혁명의 마무리
2.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창출
1) 4차 산업혁명
2) 한국경제 재도약의 기회
3) 일자리 혁신과 본질
4) 미래사회 변화
5) 일자리 변화와 미래직업
6) 대응전략
7) 신기술과 일자리 창출

4장 청년실업과 일자리 창출

1. 청년실업
1) 실업률이란
2) 심각한 청년실업
3) 청년실업의 원인
4) 노동시장 변화와 문제
2. 일자리 창출
1) 일자리 문제 해결 방안
2) 기업 일자리 창출 방안
3) 기존의 청년실업 정책
4) 서비스산업 일자리 창출
5) 산업성장과 청년일자리

5장 소프트웨어산업과 일자리 창출

1. 4차 산업혁명 핵심은 소프트웨어
1) 소프트웨어의 혁신
2) 4차 산업혁명의 핵심
3) 시장 규모와 위상
4) 소프트웨어 일자리 탄생
2. 소프트웨어 산업과 일자리 창출
1) 소프트웨어산업 현황
2) 소프트웨어산업 전망
3) 소프트웨어산업 활성화
4) 소프트웨어 일자리 창출

6장 역대 정부의 일자리 정책

1. 고용 환경 변화와 역대 정부의 일자리 정책
1) 산업화시대 고용 정책
2) 외환위기 극복 ‘국민의 정부’
3) 고용 없는 성장 ‘참여정부’
4) 비정규직 양산 ‘이명박 정부’
5) 창조경제 ‘박근혜 정부’
6) 일자리 정부 ‘문재인 정부’
2. 역대 정부 정책 비교
1) 청년실업
2) 시사점
3) 실패 원인

7장 일자리 창출 어떻게 할 것인가

1. 일자리 정책
1) 일자리 개념
2) 일자리 공약(空約)
3) 일자리 정책
4) 청년일자리 정책
2, 일자리 창출
1) 2048년 대한민국
2) 일자리 만들기 붐 일으켜야
3) 신기술에 의한 청년일자리 창출
4) 흑묘(黑猫)든 백묘(白猫)든 상관없다
5) 일자리 창출 없이는 일자리 정부 성공 없다
6) 일자리 창출 어떻게 할 것인가

8장 청년들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

1, 미래사회의 모습
1) 사회 변화; 10년 후 변하지 않는 것에 주목하라.
2) 일자리 변화; 미래 직업 60%는 아직 나타나지도 않았다.
3) 교육 변화; 미래를 준비하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
4) 기업 변화; 자본에서 기술로
2. 청년들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1) 3C (Change·Chance·Challenge)
2) 인공지능 로봇과 공존하는 시대의 인재상
3) 2030년 돈 버는 직업 고르기
4)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 제2부 ] 일자리 창출 관련 기고

1. 소프트웨어산업, 전환 서둘러야/ 매경
2. 한국, 트럼프 보호무역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한경
3. 공대 위기, 창업으로 뚫자/ 매경
4. 국가과학기술인력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 한경
5. 미국 트럼프 정부 과학 정책,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한경
6. 4차 산업혁명 범정부컨트롤타워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전자
7. 일자리 창출 효과 큰 소프트웨어 산업/ 매경
8. 중소·벤처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어떻게 할 것인가/ 한경
9. 혁신 창업 국가, 어떻게 만들 것인가/ 전자
10. 민간 일자리 만들기 붐 일으켜야/ 매경
11. 일자리 창출 민간에 맡겨라/ 한경
12. 청년 일자리 정책 어떻게 할 것인가/ 한경
13. 블록체인 등 신기술에 청년일자리 있다/ 매경
14. 신기술을 통한 일자리 창출/ 재정정보원
15. 청년일자리 신기술에 있다/ 국가미래연구원
16.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국가미래연구원
17. 혁신성장 없인 일자리 창출도 없다/ 매경
18. 일자리 정부에 일자리 없다/ 국가미래연구원
19. 광주형일자리 어떻게 할 것인가/ 한경
20. 혁신성장, 민간에 맡겨라/ 한경
21. 일자리 창출, 흑묘든 백묘든 상관없다/ 국가미래연구원
22. 미래의 한국 주력 산업/ BBS 화쟁토론
23. 일자리 창출 없인, 일자리 정부 성공 없다/ 국가미래연구원
24. 일자리 창출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경제

맺음말 / 참고문헌 및 인용

저자소개

박정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産 삼성SDS(주) Tokyo 사무소장 (이하 모두 前)) 學 한양대학교 공대 Computer·Software학과 겸임교수 硏 경기도교육연구원장 경제위기관리연구소 부소장 法 법무법인(유한) 클라스 고문 政 민주당 IT 특별위원장 (2004) 민주당 Ubiquitous 위원장 (2005) 경기도지사 민주당 후보 (2006) 21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 (2025) 委 4차 산업혁명전략위원회 민간위원
 대한민국 AI Cluster Forum 위원
 광주광역시 인공지능(AI) 대표 도시 만들기 추진위원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중소벤처분과위원장(T/F장) 著 김치·스시·햄버거의 신 삼국지 (2004) 미·중 패권 다툼과 일자리 전쟁 (2018) AI 한국경영 지도자 편 (2020)
 AI 한국경영 정책제언 편 (2021) AI 한국경영 국정운영 편 (2021) AI 한국경영 미래비전 편 (2021) AI 한국경영 뉴거버넌스 편 (2022) ChatGPT 시대에 묻는 교육의 미래 (2023) AX 교육혁명 반값사교육 편 (2024) 양극화와 초저출생, AI에게 길을 묻다 (2025)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