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95612222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6-01-18
책 소개
목차
서문 부동산은 어떻게 흘러갈까
1장 부동산에 대해 알아야 할 점
1 부동산의 의미
2 소득과 주택
3 주택이 사라진다
4 부동산의 실제가격
2장 공급과 수요
1. 주택이 필요한 사람들
2. 아무도 살지 않는 주택
3. 주택은 얼마나 공급되고 있을까
4. 누가 집을 살 수 있을까
3장 한국의 일본화 가능성
1. 일본 버블의 진실
2. 일본 부동산의 현실
3. 세계적인 버블 국가들
4. 생산가능 인구와 부동산
4장 장기적인 주택가격
1. 건설비의 상승
2. 아파트 단지 공화국
3. 주택 가격의 변화
4. 노후화 주택의 증가
5장 미분양과 주택가격의 함수
1. 미분양과 가격
2. 수도권 사례
3. 핫한 지역들 사례
4. 택지공급과 미분양
6장 금융과 부동산
1. 금리 조절 이유
2. 금리와 환율
3. 금리와 자산시장
4. 빚을 쌓은 집
7장 부동산은 어떻게 될까
1. 전세와 주택가격
2. 주택 면적의 변화
3. 필요 주택 숫자
에필로그 그래도 주택은 사는 것이 낫다
리뷰
책속에서
주택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개인소득은 중요하다. 모두들 아파트가 제일 좋다고 아무리 외쳐도 아파트에 입주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아파트가 편리하다고 해도 사생활 보호를 위해 고급빌라에 입주하는 사람도 있다. 2010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택 유형 중 아파트는 대략 60%를 차지한다. 아파트는 주로 2, 3분위부터 입주한다. 어떤 지역 아파트인가에 따라 입주하는 분위는 구분되어도 대체적으로 2, 3분위부터 입주하는 게 보통이다. 아파트는 한국의 대표적인 주택으로 대부분이 선호하는 주택 유형이다. 각종 편의시설이 구비된 아파트를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1, 2분위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5분위는 주상복합을 선호하기 때문에 아파트에 살지 않는다. 이처럼 소득에 따라 거주하는 공간은 달라진다.
_1장 부동산에 대해 알아야 할 점
이처럼 주택가격이 오른 국가와 떨어진 국가가 모두 있으므로, 단순히 노인 인구가 늘어나고 생산가능연령의 정점이 지났다는 등의 단순한 인구구조로만 부동산 가격 문제를 보면 안 된다. 여러 생체 기능이 유기적으로 작용해서 움직일 수 있는 생물처럼 부동산 가격은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결정된다.
_3장 한국의 일본화 가능성
표준건축비는 1994년에 ㎡당 83만 9,000원에서 1998년에 100만 7,000원으로 100만 원을 돌파한 후 지속적으로 올랐다. 2014년 12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880호 과밀부담금 부과를 위한 2015년도 표준건축비는 ㎡당 171만 5,000원으로 고시했다. 흔히 우리가 계산하는 평당 비용으로 따지면 약 565만 9,500원이다. 상가 주택이나 다가구주택의 경우 이보다 다소 적은 비용으로 건축되고 있다.
_4장 장기적인 주택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