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91195633012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15-10-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증오와 전쟁범죄
1장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총체성 · 사건의 구분 · 한국전쟁 시기 민간인 학살이 전쟁범죄일까?
2장 전쟁 전 시작된 전쟁범죄
정치적 충돌과 직접 공격 · 토벌작전 학살 · 이미 시작된 국민과의 전쟁
3장 전쟁, 국가폭력의 족쇄를 풀다
형무소에 갇힌 반정부인사 학살 · 적을 도울 것이라며 국민보도연맹원 학살 · 소개작전 등 피해 · 이승만 정부는 도망하는 점령세력이었나
4장 인민군 후퇴시기 민간인학살과 국가책임
인민군 측의 학살과 아군의 진격 · 진실왜곡 · 무정부상태의 피해와 실종된 국가책임
5장 9·28수복과 재판 없는 처형
수복하던 국군은 누구와 전투한 걸까? · 준비된 전쟁범죄인 “재판 없는 처형” · 이승만 정부의 부역자처리는 전쟁범죄였다
6장 9·28수복과 작전식 학살
국군 11사단의 피난민 공격 · 국군 8사단 등의 작전식 학살 · 경찰토벌부대의 작전식 학살 · 공비토벌인가 민간인학살인가
7장 1·4후퇴, 남겨진 유족들이 다시 죽음으로 내몰리다
또 다시 자행된 전쟁범죄 · 재수복과 부역혐의학살의 재연 · 이승만은 또 다시 물러나는 점령자였나
8장 전쟁범죄자 미군
인민군 점령지 주민은 적국민이었다 1 (1950년 7~8월) · 인민군 점령지 주민은 적국민이었다 2 (1951년 1~2월) · 민간인 피해만 부르는 폭격 전략과 전술
9장 제도화된 전쟁범죄 - 부역자재판과 학살의 규범화
재판에 의한 부역자처리는 학살의 연속이었다 · 비상조치령의 위헌과 국가보안법
10장 부역의 책임은 국가에 있었다
스페인 등 부역자 처리 비교 · 남북의 적대관계가 부역자를 낳다 · 부역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 · 대량학살사건의 발생과 대통령의 전쟁범죄 책임
11장 인정
인정을 위한 투쟁의 시작 · 국가범죄의 고의성과 연속성 · 전쟁범죄와 잔학행위
맺음말 기억과 평화
부록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사건 연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