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91195633074
· 쪽수 : 586쪽
· 출판일 : 2020-11-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이것이 전쟁이었을까
제1장 전쟁이 시작되다 거짓이 시작되다
해군이 이루어 냈다는 최초의 승전이 사실일까? _1950년 6월 25일 대한해협
이북 사투리를 쓰면 적이다 _1950년 6월 27일 파주읍 봉암리
아침 8시 45분에도 잠 깨지 않은 적 _1950년 6월 28일 홍천 복골
제2장 피란길에서 벌어진 전투 I _경기, 충북
경비도 없는 인민군 보급부대 _1950년 7월 2일 이천 곤지암리
아군 1명 부상에 적 1천 명을 사살한 신의 전투 _1950년 7월 4일 충주 동락마을
배낭 메고 모자 쓰면 적 _1950년 7월 5일 음성 감우재
전투로 달성했다는 “소기의 목적”의 진실 _1950년 7월 8일 단양 매포
민간 피란지로 이동한 수도사단과 피란민들의 죽음 _1950년 7월 14일 쌍수리
제3장 적군 없는 전투 _충남
인민군 환영대회에 인민군이 없었다? _1950년 7월 11일 공주 유구
경찰과 육본 특공대에게 무슨 일이 _1950년 7월 17일 강경
경찰 후퇴 전 사살당했다는 인민군 선발부대 _1950년 7월 17일 서천 장항읍
제4장 피란길에서 벌어진 전투 II _경북, 충북
우마차를 공격한 1차 화령장 전투 _1950년 7월 17일 상주 화서면 상곡리
2차 화령장 전투도 우마차를 공격했다 _1950년 7월 19일 상주 화남면 동관리
식별할 수 없는 무리를 공격한 3차 화령장 전투 _1950년 7월 21일 동관리
전멸시켰다는 적의 소속을 알 수 없다? _1950년 7월 21일 문경 농암리
피란민 공격의 누명을 인민군에게 씌운 미군 _1950년 7월 26일 영동 노근리
제5장 누굴 공격한 걸까?
빨치산인가 피란민인가 국민보도연맹원인가 _1950년 7월 13일 영천 도유리
칼과 도끼로 무장했다는 인민군 유격대 _1950년 7월 17일 포항 죽장면
전투의 성과가 된 민간인 납치 _1950년 7월 20일 영덕 옥산리
피란민을 향해 산탄을 날린 국군 장갑차 _1950년 7월 27일 영덕 황장재
경계도 안하고 약탈만 집중한 공비 _1950년 7월 28일 청송 이전리
주민들까지 공격하다 _1950년 7월 28일 상주 경돌마을
모호함 속에 들어있는 전쟁 미화 의도 _1950년 7월 29일 곡성 압록리
제6장 군인과 민간인이 뒤섞인 낙동강 전선
경계도 하지 않고 몰려다니는 무리를 공격하다 _1950년 7월 31일 안동 상리리
주민 가운데에서 첩자를 발견하다니 _1950년 8월 2일 마산 고사리
마을까지 폭격하다 _1950년 8월 3일 상주 낙동리
열두 살 어린이가 인민군이라니 _1950년 8월 3일 창녕 월곡재실
700명의 적을 섬멸했다는데 _1950년 8월 7일 안동 명진리
적을 격파했다는 날 피란민들이 몰살당하다 _1950년 8월 11일 마산 곡안리
전차 옆 민간인 복장 무리를 공격하다 _1950년 9월 2일 창녕 영산면
국군 지휘소에 침투한 인민군 특공대의 정체 _1950년 9월 12일 대구 매골
인민군 패잔병을 격퇴하다 _1950년 9월 16일 영천 고경면 창상리 등
제7장 “적” 없는 상륙작전
701함, 인민군 없는 섬들을 공격하다 _1950년 8월 10일 덕적도
이(李) 작전의 시작 _1950년 8월 18일 덕적도
해군 313정의 대이작도 공격 _1950년 8월 20일 이작도
해군 육전대의 영흥 공격과 이(李) 작전의 끝 _1950년 8월 20일 영흥도
민간인 거주지만 폭격한 전투 _1950년 9월 10일 월미도
적군 없는 전투가 남해안에서도 벌어지다 _1950년 8월~9월 완도
1일 점령지 주민들이 색출할 적이었다 _1950년 8월 17일 통영
저항하는 인민군이 있었을까? _1950년 9월, 10월 남해, 여수, 목포, 고흥
제8장 적으로 취급된 국민들
인민공화국 만세를 불렀다고 사살하다 _1950년 9월 16일 인천
공격한 인민군보다 더 많이 체포당한 “적” _1950년 9월 21일 김포
선언에 그친 수복 _1950년 9월 21일 강화
국군 1사단 속리산 토벌작전 학살 1 _1950년 9월 25일 상주
국군 1사단 속리산 토벌작전 학살 2 _1950년 9월 29일 청주 괴산 보은
이미 수복된 곳에서 누구와 다시 전투를 벌였을까? _1950년 10월 2일 양평
제9장 제거당하는 잔적은 누구
계룡산에 숨어 지내는 무리를 공격하다 _1950년 10월 8일 공주경찰서
비무장 1,500여 명의 인민군 유격대 _1950년 10월 13일 영암 금정면 용흥리
피신하던 무리들이 해병대 매복조에 걸리다 _1950년 10월 영암 국사봉 등
피란민인가 빨치산인가 _1950년 10월 18일 장흥 유치 신원리
한때 전차로 무장했던 빨치산이 곡괭이로? _1950년 11월 17일 고창 흥덕리
없는 공비도 만들어내는 사찰공작대 _1950년 12월 11일 김천
경찰 토벌작전의 대상은 주민들이었다 _1951년 1월 20일 영광 구수산
아군 피해 없는 해병대의 전투가 계속되다 _1951년 1월 29일 안동 추목리
저항하지 않고 도망만 다녔다는 인민군 유격대 _1951년 2월 2일 의성 정자리
마을 주민들을 사살하고 “적”이라 하다 _1951년 2월 3일 안동 백자리
인민군 퇴각 후 벌어진 전투 _1951년 2월 10일 인천
민간 치안대 출신 피란민을 전투에 동원하다 _1951년 4월 교동 백령
기획된 민간인학살이 토벌작전이라니 _1951년 3월 14일 임실 청웅면 폐금광
백 야전사령부의 지리산 토벌작전 _1951년 12월 3일 구례
이북지역에서 보는 수복과 점령의 차이 _1950년 10~12월 신천 등
맺음말, 전쟁 범죄를 넘어 평화와 분단 극복으로
참고문헌
책의 내용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쟁 초기 전선이 이동하는 상황에서 피해를 입은 민간인들은 크게 두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